책을 읽다보면 | 15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6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 10점
움베르토 에코.리카르도 페드리가 지음, 윤병언 옮김/arte(아르테)


2017년 11월 4일부터 CBS 라디오 프로그램인 변상욱의 이야기쇼 2부에서 진행되는 "강유원의 책을 읽다보면"을 듣고 정리한다. 변상욱 대기자님과 강유원 선생님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1631



20181124_55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6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의 여섯 번째 시간이다. 지난 시간에 철학과 신화가 어떤 관계가 있고 신화를 어떻게 바라볼 지 이야기했다. 요즘에는 철학분야에서도 신화와 같은 것을 통해서 새로운 학문적 방법론을 생각해보고 철학이 그 동안 소홀히 했던 것이 무엇인가, 아무리 생각해봐도 사람들에게 신화를 완전히 걷어내지는 못한다. 현대의 철학이라는 것이 계몽주의적인 생각, 과학적 합리적 이성에 따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에 신화를 무시했는데 우리 일상을 보면 대다수가 신화적 설화적이다. 


일단 원조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신들의 계보>이다. 제목 그대로 신들의 계보를 담고 있다. 계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위계질서와 역할분담이 있는 것이다. 누가 높고 누가 낮은가, 누가 먼저 태어났는가, 속된 말로 위아래를 가리는 것이다. 결코 서로 평등한 존재가 아니고 위계질서 속에 짜여 있고, 해야할 일이 있고, 경계를 넘어서면 안된다. 신들도 영역을 넘어가면 벌을 받는다. 그래서 신들의 계보와 명예를 분배하는 것, 신들이 사는 세계의 내부조직과 각각의 신들에게 고유한 능력을 부여해서 만신전(판테온)을 구축하는 재분배의 논리를 신들의 계보에서 드러내 보인다. 하늘의 신들이 이러한 구조 속에 있으니까 이것이 대우주이고, 반영하는 소우주로서의 지상은 이를 본뜬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분배'라는 것이다. 


모이라 moira는 희랍 신화나 희랍 철학을 읽을 때 굉장히 중요한 단어이다. 사실 희랍 철학은 모이라에 대한 생각부터 시작되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동아시아 용어로 말하면 명命이다. 중국 고대철학자들은 명에 따른다는 말을 다 한다. 능력을 개발한다기보다도 하늘이 이렇게 명하였다는 말부터 시작한다. 이를테면 서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발굴된 청동기에 새겨진 글을 보면 천명이라는 글자가 나온다. 하늘이 명령한 것이고, 내가 그것을 할당 받는 것, 그것이 운명이다. 희랍어로 모이라는 할당된 몫을 가리키는 것이고, 비슷한 단어가 아이사 aisa라는 것이다. 전투가 끝난 다음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전리품을 가리킬 때도 아이사라는 말을 쓰고, 또 손님들을 초대했을 때 음식을 나눠줄 때도 아이사라는 말을 쓴다. 그러니까 희랍에서 나온 옛 글들을 보면, 미사를 볼 때도 '이 성찬에 초대받은 이는 행복하나니' 이것이 사실은 이스라엘이 아닌 희랍적인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니까 에개 해로 넘어오면서 헬레니즘을 받아들이면서 이런 의례들이 나오는 것. 사실 유대에는 분배라는 개념이 없다. 희랍 문명을 생각할 때는 항상 사람마다 주어진 할당이 있고 그것은 신들도 벗어날 수 없는 것. 그리고 운명을 가리키는 가장 센 단어가 다이몬이라는 단어이다. 소크라테스가 신성한 음성이 나를 이렇게 하라고 시켰다고 할 때 다이몬이라는 말을 쓴다. 초창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헬레니즘 세계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얘기할 때 그가 다이몬이냐고 물었다. 


희랍 세계에서는 신화를 통해서 이 사람들은 사회가 가진 위계질서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희랍 세계에서 보기에는 우리의 삶이라는 것이 어찌할 수 없는 힘에 의해서 할당 받아서 정해진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이고, 이렇게 생명이 지나가는 시간을 아이온 aion이라고 말한다. 측정된 크로노스 chronos라고 말한다. 그리고 카이로스 kairos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순간, 찰라이다. 크로노스가 아무리 쌓여도 인간의 행위가 특정한 계기를 만들어 내지 못하면, 즉 카이로스가 없으면 그것이 쌓인 시간이 무의미한 것이다. 자신의 인생이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요한 카이로스를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가 사실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일 테고, 무의미하게 생명을 연장해서 크로노스만 늘릴 것이 아니라 카이로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49 그리스인들은 시간의 개념을 떠올리며 항상 살 날의 기한을 생명력과 결부시켰다. 그리스어 아이온 Aion은 삶, 생명력을 뜻했지만 동시에. 삶의 기한, 나이, 심지어 플라톤 이후로는 영원함을 뜻하기도 했다. 한 인간이 살아온 기간을 가리키며 지나간 시간을 의미하는 아이온은 크로노스 chronos, 즉 측량된 시간, 예를 들어 날이나 계절과는 정반대되는 개념이었다. 아이온은 생명력으로서의 시간이고 크로노스는 계산된 시간이다. 시간에는 아이온과 크로노스 외에도 카이로스 kairos, 즉 순간이있다. 카이로스는 예기치 않은 순간 놓치지 말아야 할 절호의 기회, 지속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견되는 한 순간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카이로스는 인간의 행동과 시간의 만남이다. 무분별한 시간과 시대의 흐름 속에서 카이로스는 지금과 일치한다. 결코 반복될 수 없는 순간 따라서 절대로 놓치지 말아야 할 순간 카이로스 속에서 시간은 절정에 달한다. 시간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측정하는 것과는 다르다. 시간을 재려면 무엇보다도 자연적인 현상을 주의 깊게 바라봐야 한다. 


주역에 보면 "군자는 역을 다스림으로써 때를 밝힌다(君子以治歷明時)"는 말이 있다. 역이라는 것이 달릴 때의 역인데 말 그대로 크로노스이다. 때를 밝히는 것은 카이로스이다. 달력이라는 것은 봄여름가을겨울 돌아가는 순화적 시간인데, 우리가 '그래봤자 세월은 돌고 도는거야' 이렇게 말하면 시간에 굴복해서 쌓이는 시간만을 따져보는데 그 시간을 쫙 펴서 직선으로 생각하면 어느 지점에서 끊어내서 여기서부터는 지금까지 한 관행들을 폐기한다든가 하는 것은 時이다. 한자에서도 달력의 歷자와 시간의 時는 구별해서 써야겠다. 희랍식의 말로 하면 카이로스에 해당하는 것. 자연적 시간에 따라서 살아가면 장자의 세계관일 테고, 그런 사람을 장자는 眞을 써서 진인이라고 불렀다. "군자는 역을 다스림으로써 때를 밝힌다"는 周易의 상전 象傳에 나오는 말이다. 거기에 붙어있는 주석들이기 때문에 유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유가는 자연의 순환적 시간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도모해야 하는 행위들을 언제 할 것인가를 굉장히 생각하고 있었던 학파였기 때문에 그 지점에서 노장계열와 유가계열이 구별된다. 시간에 대한 생각들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장자는 인간의 행위나 판단을 철저하게 상대화해서 자연에 맡겨버리는 것. 그것도 좋긴 한데 어차피 이 세계에서 인간이 행위하고 결단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는 유가적인 세계관을 받아들이는 것이 어떨까 생각된다. 희랍에서도 이 두 가지가 서로 대립되는 지점이 있었다. 플라톤과 같은 사람들은 우리 식으로 말하자면 훨씬 더 유가적인 세계관에 가깝고 그 이전에 신화적인 사유를 했던 사람들은 장자적인 세계관에 가깝다. 이렇게 비교할 수 있겠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유한한 생명을 가진 존재이므로 자연에 순응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한없이 자연에 순응해서 살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을 폐기할 수밖에 없다. 어느 지점에서는 타협을 해야 한다. 


다음 시간에는 피타고라스에 대해서 생각해보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