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管子)> 제20권 제64편 형세해(形勢解): <형세>편의 해설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山者 物之高者也 / 산자 물지고자야

산이란 사물 가운데 숭고한 것이다.


惠者 主之高行也 / 혜자 주지고행야

은혜란 군주의 숭고한 행위이다.


慈者 父母之高行也 / 자자 부모지고행야

사랑이란 부모의 숭고한 행위이다.


忠者 臣之高行也 / 충자 신지고행야

충성이란 신하의 숭고한 행위이다.


孝者 子婦之高行也 / 효자 자부지고행야

효란 자식과 며느리의 숭고한 행위이다.


故山高而不崩고 則祈羊至 / 산고이불붕 즉기양지

그러므로 산이 높고 무너지지 않으면, 양을 바쳐 복을 구하려는 사람이 모인다.


主惠而不解 則民奉養 / 주혜이불해 즉민봉량

군주가 은혜 베풀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받들어 모신다.


父母慈而不解 則子婦順 / 부모자이불해 즉자부순

부모가 사랑 베풀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자식과 며느리가 효성스럽게 따른다.


臣下忠而不解 則爵祿至 / 신하충이불해 즉작록지

신하가 충성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작위와 녹봉이 찾아온다.


子婦孝而不解 則美名附 / 자부효이불해 즉미명부

자식과 며느리가 효도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아름다운 명성이 따른다.


故節高而不解 則所欲得矣 / 고절고이불해 즉소욕득의

그러므로 높은 절개를 가지고 게을리 하지 않으면, 하고자 하는 바를 얻을 것이다.


解則不得 / 해즉부득

게을리 하게 되면 얻을 수 없다.


故曰 / 고왈

그러므로


山高而不崩 則祈羊至矣 / 산고이불붕 즉기양지의

"산이 높고 무너지지 않으면, (복을 구하기 위해서) 양을 바치는 제사를 드린다"고 한다.



………



淵者 衆物之所生也 / 연자 중물지소생야

깊은 연못이란 생물이 생장하는 곳이어서,


能深而不涸 則沈玉至 / 능심이부학 즉심옥지

깊고 마르지 않으면 옥을 물에 던져서 신神을 구하는 사람들이 모인다.


主者 人之所仰而生也 / 주자 인지소앙이생야

군주란 사람들이 우러러 받들고 삶을 의지하는 사람이어서,


能寬裕純厚而不苛忮 則民人附 / 능관유순후이불가기 즉민인부

너그럽고 넉넉하여 가혹하거나 탐욕을 부리지 않으면 백성들은 군주를 따르게 된다.


父母者 子婦之所受敎也 / 부모자 자부지소수교야

부모란 자식과 며느리가 가르침을 받는 사람이어서,


能慈仁敎訓而不失理 則子婦孝 / 능자인교훈이불실리 즉자부효

사랑과 교훈을 주고 이치를 잃지 않으면 자식과 며느리가 효성스럽게 따르게 된다.


臣下者 主之所用也 / 신하자 주지소용야

신하란 군주가 등용하는 사람이어서,


能盡力事上 則當於主 / 능진력사상 즉당어주

힘을 다하여 군주를 섬기면 군주의 마음을 만족시킨다.


子婦者 親之所以安也 / 자부자 친지소이안야

자식과 며느리란 부모를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이어서,


能孝弟順親 則當於親 / 능효제순친 즉당어친

형제가 우애롭고 효성스럽게 공손히 부모를 따르면, 부모의 마음에 합한다.


故淵涸而無水 則沈玉不至 / 고연학이무수 즉침옥부지

그러므로 깊은 못이 말라서 물이 없으면, 옥을 던져 신을 구하는 사람이 오지 않는다.


主苛而無厚 則萬民不附 / 주가이무후 즉만민불부

군주가 가혹하고 너그럽지 않으면, 백성들이 따르지 않는다.


父母暴而無恩 則子婦不親 / 부모폭이무은 즉자부불친

부모가 포악하고 은혜롭지 못하면, 자식과 며느리가 친근해지지 않는다.


臣下隨而不忠 則卑辱困窮 / 신하수이불충 즉비욕곤궁

신하가 게으르고 충성하지 않으면, 굴욕과 곤궁을 당하게 된다.


子婦不安親 則禍憂至 / 자부불안친 즉화우지

자식과 며느리가 부모를 편히 모시지 않으면 재앙과 우환이 닥친다.


故淵不涸 則所欲者至 / 고연불학 즉소욕자지

깊은 못이 마르지 않으면 하고자 하는 바를 얻을 것이다.


涸학 則不至 / 즉부지

마르면 얻을 수 없다.


故曰 / 고왈

그러므로


淵深而不涸 則沈玉極 / 연심이불학 즉침옥극

"연못이 깊고 물이 마르지 않으면 (그곳에 신이 있다고 여겨서) 옥을 빠트리는 제사를 드린다"고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