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 선생님의 저서와 역서, 강의 정리

저서

• 《근대실천철학연구》, 1998년 3월

• 《인터넷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1998년 6월

• 《》, 야간비행, 2003년 5월

• 《서양문명의 기반 - 철학적 탐구》, 미토, 2003년 11월

• 《책과 세계》, 살림, 2004년 4월

•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 김용섭과의 공저, 미토, 2004년 11월

• 《장미의 이름 읽기》, 미토, 2004년 12월 (《책 읽기의 끝과 시작》에 실림)

• 《몸으로 하는 공부》, 여름언덕, 2005년 7월

• 《주제 - 강유원 서평집》, 뿌리와이파리, 2005년 12월

•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정훈이(그림), 뿌리와이파리, 2006년 5월

•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 통합적 사유를 위한 인문학 강의》, 라티오, 2008년 4월

• 《인문 古典 강의 - 오래된 지식, 새로운 지혜》, 라티오, 2010년 4월

• 《역사 古典 강의 - 전진하는 세계, 성찰하는 인간》, 라티오, 2012년 6월

• 《철학 古典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라티오, 2016년 8월

• 《숨은 신을 찾아서 - 신념 체계와 삶의 방식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6년 11월

• 《문학 古典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라티오, 2017년 5월

•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라티오, 2017년 12월

• 《책 읽기의 끝과 시작 - 책 읽기가 지식이 되기까지》, 라티오, 2020년 4월

•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체제 탐구》, 라티오, 2021년 11월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 《국가》 탐구》, 라티오, 2023년 02월 

 

역서

•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C.B. 맥퍼슨 (지은이), 황경식과 공역, 박영사, 1990년 10월

• 《법철학1 - 서문과 서론》, G.W.F. 헤겔 (지은이), 사람생각, 1999년 9월

• 《로크》, 마이클 에이어스 (지은이), 궁리, 2003년 6월

• 《낭만주의의 뿌리 - 서구 세계를 바꾼 사상 혁명》, 이사야 벌린 (지은이), 나현영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6월

•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근대 철학의 문제와 흐름》, 하워드 P. 케인즈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이제이북스, 2005년 9월

• 《경제학-철학 수고》, 칼 마르크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6년 12월

• 《제국》, 스티븐 하우 (지은이), 한동희와 공역, 뿌리와이파리, 2007년 8월

• 《달인 - 천 가지 성공에 이르는 단 하나의 길》, 조지 레오나르드 (지은이), 여름언덕, 2007년 9월

• 《파시즘》, 케빈 패스모어 (지은이), 뿌리와이파리, 2007년 11월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월

•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 브렌다 아몬드 외 (지은이), 석기용과 공역, 유토피아, 2008년 3월

• 《공산당 선언》,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08년 11월

• 《르네상스의 마지막 날들》, 시어도어 래브 (지은이), 정지인과 공역, 르네상스, 2008년 12월

• 《역사와 역사가들 - 서양사 연구를 위한 입문》, 마크 길더러스 (지은이), 이재만과 공역, 이론과실천, 2009년 10월

• 《인문학 스터디》, 마크 C. 헨리 (지은이), 서민우, 손세정, 양유성, 이명훈, 지주형과 엮음, 라티오, 2009년 1월

• 《중국의 역사와 역사가들 - 중국사 연구를 위한 입문》, 오카다 히데히로 (지은이), 임경준과 공역, 이론과실천, 2010년 7월

•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 (엮은이), 최봉실과 공역 , 돌베개, 2010년 7월

• 《헤겔 법철학 비판》, 칼 마르크스 (지은이), 이론과실천, 2011년 6월

• 《철학으로서의 철학사》, 훌리안 마리아스 (지은이), 박수민과 공역, 유유, 2016년 8월

 

강의 모음

❧ 강의 정리

2004.07.06~2004.07.27책과 세계

2006.07.10~2009.09.04낭만주의의 뿌리 (필사본)

2006.09.21~2006.11.16철학의 기본개념들 (필사본)

2008.04.07~2008.12.29철학이야기I,II

2012.02.03~2012.11.30서양철학사

2013.02.07~2013.12.05인문고전강의

 

❧ 라디오 / 방송

2012.11.03~2013.11.23CBS 라디오 | 라디오 인문학

2018.05.28~2018.12.31KBS 라디오 | 강유원의 책과 세계

2017.11.04~2019.01.26CBS 라디오 | 강유원의 책을 읽다보면

2021.11.01~2021.11.01EBS 클래스 e | 강유원의 책읽기와 글쓰기

2023.03.07~2023.03.28국악방송 문화시대 | 이달의 문화시선 :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 라티오출판사 ─ 책읽기 20분

2014.04.02~2014.12.29일본근현대사

2015.01.12~2015.12.14중국정치사상사

2016.01.25~2017.01.09세계사 공부의 기초, 역사, 옥스퍼드 중국사 등

2017.01.16~2017.12.18제국, 영락제, 폭정, 파시즘, 직업의 지리학 등

2018.01.08~2018.05.21복지국가의 정치학,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 PODCAST

라티오의 책들 [↗]

2021.05.04~2021.05.04철학 고전 강의

2021.05.04~2021.07.03숨은 신을 찾아서

2021.07.17~2022.03.26역사 고전 강의

2023.03.07~2023.03.09문학 고전 강의

2025.01.08~2025.01.15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강유원의 북리스트 [↗]

2021.11.30~2022.07.22가르침과 배움

2021.07.24~2022.05.24옥스퍼드 세계사

2022.06.07~2023.02.23몽유병자들

2023.02.21~2023.07.04사회사상의 역사

2022.07.21~2023.07.13정치철학

책담화冊談話 [↗]

2023.05.15~2023.06.26인문고전 읽기의 기초와 방법

2023.05.26~2023.05.26소크라테스의 변론을 통해 살펴보는 개인과 사회

2023.05.31~2023.07.26인문고전 읽기의 실제

2023.07.31~2023.08.22향연

2023.09.06~2023.11.15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2023.10.17~2023.10.25신학의 영토들, 도스토옙스키

2023.10.10~2023.12.21사회사상의 흐름

2023.10.30~2023.11.02경험공간과 기대지평

2023.11.24~2023.11.24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

2024.01.04~2024.02.01역사주의의 빈곤

2024.01.24~2024.03.20변증법, 정치, 수사학 / 특강 철학·인문학

2024.03.20~2025.05.26唐詩三百首

2024.03.11~2024.07.06ε. Gilson, God & Philosophy

2024.04.16~2024.05.21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

2024.04.17~2024.06.12시학 강독

2024.08.12~2024.09.22ε. Vindication of Tradition

2024.08.21~2024.10.30사회지리학

2024.11.06~2024.11.27공공역사란 무엇인가

2024.12.14~2025.07.05사통史通

2025.02.05~옥스퍼드 세계사

2025.07.12~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