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과 유가행 - 가츠라 쇼류,사쿠마 히데노리,다카하시 고이치,호리우치 도시오,델레아누 플로린,야마베 노부요시,규마 다이켄,요시무라 마코토 (지은이),김성철 (옮긴이)CIR(씨아이알)제1장 유식과 유가행(가츠라 쇼류) 제2장 유가행 유식사상이란 무엇인가(사쿠마 히데노리) 제3장 초기 유가행파 사상-『유가사지론』을 중심으로(다카하시 고이치) 제4장 중기 유가행파 사상(호리우치 도시오) 제5장 유가행의 실천(델레아누 플로린) 제6장 알라야식론(야마베 노부요시) 제7장 후기 유가행파 사상 - 유식사상과 외계실재론의 관계(규마 다이켄) 제8장 중국 유식사상사의 전개(요시무라 마코토) 3 인도불교 최후기(11~12세기)에 나타나 『논리의 언어』라는 탁월한 불교논리학개론서를 남긴 목샤카라굽타는, 같은 책 제3장 타..
기독교 이단연구 | 탁명환 - 탁명환 (지은이)국제종교문제연구소머리말 38쇄에 붙여 제1장 이단론 개론 ... 15 제1절 이단의 정의 ... 15 제2절 이단에 대한 역사적 조명 ... 19 제3절 정통기독교진리의 기준 ... 47 제4절 이단분별의 기준 ... 85 제5절 이단발생의 원인 ... 93 제6절 이단의 공통점 ... 103 제2장 한국교회의 분파 및 이단 발생사 ... 109 제1절 선교 초기의 분파 및 이단들 ... 109 제2절 해방 전후의 이단들 ... 125 제3절 최근 한국기독교 이단들의 변천 ... 139 제3장 주요이단각론 ... 151 제1절 통일교 ... 151 제2절 한국천부교전도관(구 전도관) ... 195 제3절 여호와의증인 ... 234 제4절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
예루살렘 이전의 아이히만 | 베티나 슈탕네트 - 베티나 슈탕네트 (지은이),이동기,이재규 (옮긴이)글항아리한국어판 서문 주요 등장인물 서론 1장 “제 이름은 상징이 됐죠” 2장 막간극 3장 아르헨티나의 아이히만 4장 이른바 사선 인터뷰 5장 안전하다는 착각 6장 역할 변경 7장 막후극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005 이 책은 독일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별로 알고 싶어하지 않는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저는 독일 역사를 다루었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독일 과거의 불명예스러운 부분을 다루었죠. 아직도 많은 독일인은 이 문제를 직시하길 꺼리며 다른 사람들까지 그렇게 하지 못하도록 용쓰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렇지만 감춰진 사실을 들추려는 이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을 충격에 빠트리..
재즈 잇 업! Jazz It Up! - 남무성 (지은이)서해문집개정판을 펴내며 추천의 글 서문 PROLOGUE 제1장 재즈의 여명: 1900~1930년대 제2장 위대한 과도기: 1940년대 제3장 모던재즈 시대: 1950년대 제4장 혼돈의 시대 속 재즈의 탈출구: 1960년대 제5장 재즈의 퓨전: 1970년대 제6장 재즈의 다변화와 자기 성찰: 1980년대 이후 EPILOGUE 개정판을 펴내며 은 내 이름으로 내놓은 첫 번째 단행본이었기에 의미가 남다른 책이다. 2003년 가을에 초판이 나왔으니 지금 개정판을 내기까지 거의 15년이 지났다. 긴 시간을 보내고 뒤늦게 손질을 했다는 게 자랑할 일은 못 된다. 첫 작품이었다는 것도 서툶의 다름 아니다. 조악한 그림체, 투박한 문장 그대로 뻔뻔한 세월을 버텼다..
왜 그리스도인인가? - 한스 큉 (지은이)분도출판사A. 식별 Ⅰ. 오늘의 지평 Ⅱ. 다른 차원 Ⅲ. 그리스도교의 특징 B.설계 Ⅰ. 사회적 맥락 Ⅱ. 하느님의 일 Ⅲ. 사람의 일 Ⅳ. 분쟁 Ⅴ. 새 삶 C.실천 Ⅱ. 사람과 그리스도인 50 신앙인은 무신론자와 경쟁 관계에서 누가 더 인간의 근본 경험을 설득력있게 해석할 수 있느냐를 겨루고 있다. 1) 삶의 불안정성, 앎의 불확실성, 갖가지 두려움과 방향상실이라는 ─ 여기서 굳이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도 없는 극히 구체적인 인간 경험에서 불가피하게 제기되는 물음: 이처럼 존재와 비존재, 의미와 무의미 사이에 떠 있고 버틸 데 없이 버티고 있으며 갈 데 없이 나아가고 있는, 근본적으로 불확실한 실재는 어디서 오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믿지 않는 사람이라..
유럽 1914-1949 | 유럽 | 이언 커쇼 - 이언 커쇼 (지은이),류한수 (옮긴이)이데아들어가는 글·13 감사의 말·19 서문: 유럽의 자기파괴 시대·22 1. 벼랑 끝에서 2. 대재앙 3. 요동치는 평화 4. 화산 위에서 춤을 추다 5. 짙어지는 어스름 6. 위험 구역 7. 구렁텅이를 향해 8. 지상의 지옥 9. 암울한 몇십 년 동안의 소리 없는 이행 10. 잿더미로부터 옮긴이의 글·865 참고문헌·870 삽화 및 지도 목록·903 찾아보기·905 서문: 유럽의 자기파괴 시대 22 유럽의 20세기는 전쟁의 세기였다. 두 번의 세계대전과 뒤이은 (그 자체가 제2차 세계대전의 직접적 산물인) 40년 이상의 '냉전'이 20세기를 규정했다. 20세기는 예사롭지 않게 인상적이고 비극적이고 한없이 매혹적인 ..
천국을 다시 묻다 - 크리스토퍼 모스 (지은이),윤상필 (옮긴이)비아들어가며 1. 오늘날 천국은 무엇을 말하는가 익숙한 천국 / 낯선 천국 / 도래하는 천국 / 몇 가지 반향들 2. 천국의 신학 하늘 소식에 관한 유죄 판결 / 천국 소식에 대한 재검토 / 3. 천국의 현실성 끝까지 수수께끼이고 ... / 무화과나무 교훈 / “예언의 상상력”과 “신실한 불신” – 바르트 / 세속성과의 기이한 단절을 엿듣기 4. 천국의 윤리 하늘의 방향성 / 역방향 - 바이스가 불러온 논쟁 / 현실 세계에 대한 책임 - 본회퍼 / 하늘에서와 같이 5. 천국의 희망 두려움 / 생명이 도착하고 죽음이 떠나가다 / 천국의 계보 / 영원한 영광을 위한 “이 날” 찾아보기 71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라면 이런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리커버 특별판) |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리커버 특별판) 1 | 죠반니노 과레스끼 - 조반니노 과레스키 (지은이),이승수 (옮긴이)서교출판사프롤로그- 돈 까밀로와 뻬뽀네의 재미난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 및 토막 하느님마저 겁을 집어먹으셨던 이야기∣ 약속을 지킨 소녀와 소년의 이야기 ∣ 고해성사∣세례 ∣성명서∣ 추적 ∣ 때늦은 공부∣ 사냥∣ 화재사건 ∣보물 ∣ 무기여 잘 있거라∣ 경쟁 ∣ 돈 까밀로의 응징∣폭탄 ∣ 기적의 달걀∣ 죄와 벌 ∣ 돌아온 돈 까밀로∣ 축구시합 ∣ 기이한 복수전 ∣돈 까밀로와 뻬뽀네의 공동작업 ∣행렬 ∣ 무관심하기 운동∣ 종 ∣총파업∣도회지 공산당원들 ∣ 옹고집 영감∣ 무식자의 철학 / 로미오와 줄리엣 세례 42 예수님이 엄한 목소리로 물으셨다...
독일 철학 개론 - 앤드류 보위 (지은이),김지호 (옮긴이)도서출판100 • 머리말 서론 1. 칸트의 혁명 2. 언어의 발견: 하만과 헤르더 3. 독일 관념론: 피히테에서 초기 셸링까지 4. 독일 관념론: 헤겔 5. 관념론 비판 I: 초기 낭만주의에서 포이어바흐까지 6. 관념론 비판 II: 마르크스 7. 관념론 비판 III: 니체 8. 언어적 전환 9. 현상학 10. 하이데거: 존재와 해석학 11. 비판 이론 결론 • 용어 설명 • 참고 문헌 • 인명 및 저술 찾아보기 • 주제 찾아보기 서론11 왜 독일 철학은 우리의 철학 문화와 이론 문화에서 핵심을 이루면서도 동시에 사상과 역사적 현실이 잘못된 방식으로 만날 때 발생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경고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들은 이론적 성찰이 전례 없이 널..
신앙의 논리 - 마크 A. 매킨토시 (지은이),안에스더 (옮긴이)비아들어가며 1. 신앙의 신비 2. 삼위일체의 신비 - 하느님과의 새로운 만남 3. 창조의 신비 - 하느님의 위대하심 4. 계시의 신비 - 하느님의 목소리 5. 성육신의 신비 - 하느님의 인간성 6. 구원의 신비 - 인간성의 승리 7. 친교의 신비 - 우주의 드라마 참고 자료 9 기도가 "무언가"를 "어렴풋이 이해하는 활동이라면 신학은 기도를 통해 이해한 바를 말로 표현해내려는 지난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학을 순전히 명제와 논증을 다루는 활동으로 본 것은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물론 명제와 논증은 언제나 신학의 중요한 요소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 신학은 둘 만큼이나 순교자들의 직관적 통찰, 성인들의 체..
중국사상문화사전 - 미조구치 유조,마루야마 마쓰유키,이케다 도모히사 (엮은이),김석근,박규태,김용천 (옮긴이)책과함께1부 우주宇宙·인륜人倫 천天 | 도道 | 기氣 | 리理 | 자연自然 | 무無 | 물物 | 명命 | 성性 | 심心 | 욕欲 | 성 인聖人 | 인仁 | 의義 | 리利 | 충忠·효孝 | 체용體用 | 정좌靜坐 2부 정치政治·사회社會 천하天下 | 국가國家 | 화이華夷 | 혁명革命 | 재이災異 | 봉건封建·군현郡縣 | 정전井田 | 종법宗法 | 여자女子 | 사社 | 군신君臣 | 사대부士大夫 | 민民 | 예禮 | 법法 | 명분名分 | 공사公私 3부 종교宗敎·민속民俗 귀신鬼神 | 제사祭祀 | 유교儒敎 | 도교道敎 | 불교佛敎 | 민간종교民間宗敎 4부 학문學問 지知 | 경학經學 | 사학史學 | 제자학諸子學 ..
엔치클로페디 : 제1부 논리의 학 -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은이),이신철 (옮긴이)비(도서출판b)일러두기 4 제1판 서문 9 제2판 서문 15 제3판 머리말 37 서론 45 제1부 논리의 학 예비 개념 75 A. 객관성에 대한 사상의 첫 번째 태도. 형이상학 113 B. 객관성에 대한 사상의 두 번째 태도 133 논리학의 제1편 존재론 233 A. 질 239 B. 양 277 C. 도량 299 논리학의 제2편 본질론 309 A. 실존의 근거로서 본질 319 B. 현상 355 C. 현실성 379 논리학의 제3편 개념론 415 A. 주관적 개념 423 B. 객관 475 C. 이념 499 옮긴이 후기 535 §1 철학은 다른 학문들에 도움이 되는 장점, 즉 자기의 대상들을 직접적으로 표상에 의해..
암흑의 대륙 - 마크 마조워 (지은이),김준형 (옮긴이)후마니타스서문 1. 버려진 성전 : 민주주의의 부상과 몰락 2. 제국, 민족국가, 소수민족 3. 건강한 육체, 병든 육체 4. 자본주의의 위기 5. 히틀러의 신질서, 1938~45년 6. 황금기를 위한 청사진 7. 가혹한 평화, 1943~49년 8. 인민민주주의의 건설 9. 민주주의의 변화 : 서유럽, 1950~75년 10. 위기에 처한 사회 협약 11. 상어와 돌고래 : 공산주의의 붕괴 에필로그 : 어떤 유럽을 만들 것인가 부록 옮긴이 후기 미주 좀 더 읽을 만한 책 인명사전 찾아보기 9 우리는 늘 유럽을 역사가 오래된 국가와 사람들의 대륙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럽은 20세기를 전후로 정치적 격변과 자기 변신을 경험한 매우 젊은 대륙이다. 프로..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정초』 입문 - 폴 가이어 (지은이),김성호 (옮긴이)서광사옮긴이의 말 …5 인용 표시와 생략형 …11 1장 맥락 …15 2장 주제들의 개관 …29 3장 본문 읽기: 머리말 …49 4장 본문 읽기: 1절 선의지에서 보편법칙의 정식에로 …69 5장 본문 읽기: 2절 정언명령의 정식화 …117 6장 본문 읽기: 3절 정언명령의 적용 …243 참고문헌 …285 찾아보기 …292 19 칸트는 15년 동안 낮은 보수를 받는 사강사 생활을 하다가 1770년 마침내 논리학과 형이상학의 정식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는 교수 취임 논문을 발표하고 옹호해야 했는데 이때 발표한 논문이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에 관하여』 (De mundi sensibilis atque intelligib..
윤리형이상학 정초 -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백종현 (옮긴이)아카넷제1부 『윤리형이상학 정초』 해제 제2부 『윤리형이상학 정초』 역주 역주의 원칙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표 『윤리형이상학 정초』 역주 제1절 평범한 윤리적 이성인식에서 철학적 이성인식으로의 이행 제2절 대중적 윤리 세계지혜에서 윤리 형이상학으로의 이행 제3절 윤리 형이상학에서 순수 실천이성 비판으로의 이행 찾아보기 113 고대 그리스 철학은 세 가지 학문, 즉 물리학, 윤리학 및 논리학으로 나뉘었다. 이 구분은 사태의 본성에 완전히 알맞은 것으로, 사람들은 이것에 가령 구분의 원리를 덧붙이는 일 같은 것 외에는 아무것도 개선할 것이 없다. 이렇게 하여, 한편으로는 구분의 완벽성을 확보하고, 한편으로는 필연적인 하위 분과들을 올바르..
세계를 향한 의지 - 스티븐 그린블랫 (지은이),박소현 (옮긴이)민음사추천사 셰익스피어 400주기 기념사: 한 시대가 아니라 영원히 남을 작가 서문: 세계 최고의 작가가 된 시골 청년 감사의 말 독자에게 1 원색 장면들 2 재건의 염원 3 거대한 공포 4 연애, 결혼식, 후회 5 다리를 건너며 6 도시 근교에서의 삶 7 무대를 흔들다 8 주인/애인 9 사형대에서 터진 웃음소리 10 망자와의 대화 11 왕에게 마법 걸기 12 일상적인 것의 승리 참고 문헌 13 1616년 4월 23일에 일어난 셰익스피어의 죽음은, 그와 아주 가까운 몇몇 동시대인들에게만 알려졌을 뿐 거의 주목받지 못한 채 지나갔다. 스트랫퍼드(Stratford)의 홀리트리니티 교회 (Holy Trinity Church)에 그의 유해가 안식을..
공과 중관 - 기시네 도시유키,사이토 아키라,고시마 기요타카,게이라 류우세이,아카바 리츠,미야자키 이즈미,요시미즈 지즈코,오쿠노 미츠요시 (지은이),남수영 (옮긴이)CIR(씨아이알)제1장 중관사상의 성립과 전개 - 용수의 사상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사이토 아키라 제2장 나가르주나작 『십이문론』과 그 주변 고시마 기요타카 제3장 찬드라키르티의 중관사상 기시네 도시유키 제4장 카말라실라의 중관사상 게이라 류우세이 제5장 즈냐나가르바의 중관사상 아카바 리츠 제6장 아티샤의 중관사상 미야자키 이즈미 제7장 티벳의 중관사상 요시미즈 지즈코 제8장 중관사상의 중국적 전개 - 길장의 중관사상 오쿠노 미츠요시 3 중관사상은 일반적으로 나가르주나(150-250년경)가 확립한 중관학파의 사상이라고 말해진다. 티벳의 전승에서..
신은 존재하는가 1 - 한스 큉 (지은이),성염 (옮긴이)분도출판사서언 가. 이성이냐 신앙이냐? 1.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르네 데카르트 2. 나는 믿는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블래스 파스칼 3. 합리성을 위한 합리주의 반박 나. 새로운 신이해 1. 세계 안에 있는 하느님: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2. 역사 안의 있는 하느님 3. 세속적이고 역사적인 하느님 다. 무신론의 도전 1. 하느님: 인간의 투사(投射)?: 루드비히 포이에르바하 2. 하느님: 기득권에 이바지하는 위안?: 칼 마르크스 3. 신: 유치한 환상인가?: 지그문트 프로이드 라. 허무주의 - 무신론의 결말 1. 허무주의의 대두: 프리드리히 니체 2. 허무주의의 극복? 266 신은 초세계적 존재, 구름 위..
칼빈의 제네바 - 윌리엄 몬터 (지은이),신복윤 (옮긴이)합신대학원출판부서문 : 2012년 재판본을 내면서 초판 서문 그림자료 목록 약어표 제1장 대성당과 시장 제1부 도시의 발전 제2장 제네바의 혁명 제3장 독립의 소란(1536-1555) 제4장 칼빈의 전성기(1555-1564) 제2부 칼빈 당시 제네바를 떠받치는 주요 기둥들 제5장 1564년까지으 제네바의 교회 제6장 세속 권력 제7장 망명 이주민들 제3부 칼빈주의의 유산 제8장 칼빈 이후의 제네바 제9장 제네바의 위대함 참고도서 목록 부록 : 목사들에게 행한 칼빈의 고별사 원본 색인(인명, 지명 및 주제) 148 목사들에 대한 칼빈의 고별사는 진기한 문서이다. 그것은 칼빈 생애의 가장 위대한 측면의 많은 부분에 대하여 침묵하고, 그의 많은 저작들에..
존재의 대연쇄 - 아서 O. 러브조이 (지은이),차하순 (옮긴이)탐구당 윌리엄 제임스 강연 시리즈에 관하여 • 3 서문 • 7 개역판에 붙여 • 11 역자서문 • 13 Ⅰ. 서론: 관념사의 연구 • 15 Ⅱ. 그리스 철학에서의 존재의 연쇄 관념의 시작: 3대원리 • 41 Ⅲ. 존재의 연쇄와 중세사상에 있어서의 내적 대립 • 103 Ⅳ. 충만의 원리와 새로운 우주관 • 154 Ⅴ. 라이프니츠와 스피노자에 있어서의 충만과 충분이유 • 223 Ⅵ. 18세기 사상에 있어서의 존재의 연쇄와 자연 속의 인간의 위치와 역할 • 285 Ⅶ. 충만의 원리와 18세기의 낙관주의 • 327 Ⅷ. 존재의 연쇄와 18세기 생물학의 양상 • 359 Ⅸ. 존재의 연쇄의 시간화時間化 • 382 Ⅹ. 로만주의와 충만의 원리 • 453..
신, 우주와 인류의 궁극적 의미 - 키스 워드 (지은이),한문덕 (옮긴이)비아서론 1. 신은 누구인가? 혹은 무엇인가? 2. 우주는 어떻게 신을 가리키는가? 3. 신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가? 해설 함께 읽어볼 만한 책 11 신이 무한하다고 말하는 것은 신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제한될 수 없음을 뜻합니다. 신에게는 어떠한 한계도 없고 따라서 신을 유한하게 만들 수는 없습니다. 신은 여러 사물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신이 여러 존재 중 하나가 아님을 뜻합니다. 심지어 우리가 신을 우주보다 더 큰 존재로 여긴다 할지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을 우주 바깥에 있는 존재라고 생각한다면 그 신은 우주에 의해 제한되고 우주에서 배제됩니다. 많은 신학자는 이를 고려해 신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려 노력했습니다. 어떤 이..
태초에 사랑이 있었다 - 두미트루 스터닐로에 (지은이),김인수 (옮긴이)비아머리말 서문 1. 실존의 의미 2. 무한에 대한 갈증 3. 완전한 사랑 4. 구별되나 연결되는 5. 아들의 사랑 6. 성육신 7. 셋은 완전하다 8. 연합의 영 9. 성화 10. 생명의 영을 찬미하라 두미트루 스터닐로에에 관하여 두미트루 스터닐로에 저서 목록 13 거룩한 삼위일체는 존재의 지고한 신비다. 존재하는 모든 것의 근거가 되기에, 삼위일체 없이 해명할 수 있는 존재는 없다. 이것이 삼위일체가 신비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고, 어느 정도까지는 논리가 있는 이유다. 달리 말해, 삼위일체는 모든 존재의 깊이임과 동시에 이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로서 참된 형이상학을 제시한다. 형이상학에 관해 말하는 철학자들도 존..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김호동 (지은이)돌베개1장 실크로드와 유목제국 2장 세계를 제패한 몽골제국 3장 팍스 몽골리카 4장 세계사의 탄생 65 그동안 우리가 익숙해져 있던 농경문화 중심의 역사관은 역사의 실상을 정확하고 균형 있게 파악하지 못한 채 상당한 왜곡을 낳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에 관해서는 가장 영향력이 강한 중국 중심의 관점이 지금까지도 그대로 통용되고 있다. 중국인들이 남긴 자료를 읽을 수밖에 없고 그러다 보면 거기에 투영된 그들의 관점에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젖어 들기 때문이다. 그러니 북방초원의 유목민이라고 하면 기마전에 능했던 민족, 그래서 군사적으로는 강력했지만 문화적으로는 후진적인 사람들이라는 인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세계사의 전개과정에서 유목민..
마르틴 루터 소교리문답·해설 - 마틴 루터 (지은이),최주훈 (옮긴이)복있는사람해설의 글 제1부 마르틴 루터 소교리문답 마르틴 루터 서문 1. 십계명 2. 신조 3. 주기도 4. 세례 5. 열쇠의 직무와 참회 6. 성만찬 7. 아침기도와 저녁기도 8. 식사 전후 기도 9. 의무표 제2부 해설_신앙의 대화 1. 십계명 2. 신조 3. 주기도 4. 세례 5. 성만찬 성구색인 2. 신조제1조 |창조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 이것은 무슨 뜻입니까? 나는 믿습니다. 하나님은 나와 모든 만물을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내 몸과 영혼, 눈과 귀, 몸의 모든 기관, 이성과 모든 감각을 나에게 주셨고, 지금도 돌보아 주십니다. 하나님은 입을 것과 신을 것, 먹을 것과 마실 것, 집과 ..
마침내 그들이 로마를 바꾸어 갈 때 - 피터 브라운 (지은이),양세규 (옮긴이)비아들어가며 1. 그리스도교화 - 서사와 과정 2. 불관용의 한계 3. 거룩함의 중재자 - 고대 후기 그리스도교의 성자 부록: 배우는 삶 인물 색인 및 소개 11 로마 세계에서 그리스도교의 발흥을 연구하는 현대 역사가는 당대 그 과정을 경험했던 이들이 남긴 단순한 해석, 문제를 간편하게 만드는 해석을 그대로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312년, 콘스탄티누스의 개종과 이후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여, 그리스도교인들과 이교도 모두는 상황을 설명하는 서사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그리스도교인들은 성공을 설명해야 했고, 이교도들은 몰락을 변명해야 했습니다. 이 책의 첫 장은 4세기와 5세기 여러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지배하던 그리스도교화 서사를 ..
한비자 2 - 한비자 (지은이),이운구 (옮긴이)한길사 32. 외저설 좌상(外儲說左上) 33. 외저설 좌하(外儲說左下) 34. 외저설 우상(外儲說右上) 35. 외저설 우하(外儲說右下) 36. 난일(難一) 37. 난이(難二) 38. 난삼(難三) 39. 난사(難四) 40. 난세(難勢) 41. 문변(問辯) 42. 문전(問田) 43. 정법(定法) 44. 설의(說疑) 45. 궤사(詭使) 46. 육반(六反) 47. 팔설(八說) 48. 팔경(八經) 49. 오두(五蠹) 50. 현학(顯學) 51. 충효(忠孝) 52. 인주(人主) 53. 칙령(飭令) 54. 심도(心度) 55. 제분(制分) 49. 오두(五蠹) 885 상고 시대에는 사람은 적고 새나 짐승이 많았다. 사람들이 새 · 짐승 · 벌레 · 뱀을 이기지 못하였다. 어..
법철학 (베를린, 1821년) - 게오르크 W.F. 헤겔 지음, 서정혁 옮김/지식을만드는지식해설 ·······················9 서문 ······················33 서론 ······················71 제1부. 추상법 ··················135 제2부. 도덕 ···················239 제3부. 인륜 ···················317 참고문헌 ····················613 찾아보기 ····················619 지은이에 대해 ··················633 옮긴이에 대해 ··················634 서문 52 법[권리]과 인륜, 그리고 법과 인륜의 현실 세계가 사상(思想)에 의해 파악되며, ..
사통 (한정보급판) - 유지기 지음, 오항녕 옮김/역사비평사일러두기 8 책머리에: 1500년 전에 쓴 ‘역사란 무엇인가’ 10 을 읽기에 앞서: 의 구조와 역사 비평 15 서문 序 54 내편 內篇 01. 역사가의 여섯 유파_六家 60 / 02. 두 갈래의 역사 체재_二體 88 / 03. 말을 기록하는 역사_載言 98 04. 본기의 유래와 변화_本紀 106 / 05. 세가의 유래와 성격_世家 116 / 06. 열전의 유래와 성격_列傳 126 07. 표력의 유래와 특징_表歷 136 / 08. 서지의 유래와 변화_書志 144 / 09. 다양한 사론의 전개_論贊 188 10. 서문과 범례의 발달_序例 200 / 11. 역사서의 서명과 편제_題目 212 / 12. 역사 편찬 대상 시기_斷限 224 13. 편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