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사 2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김경희.신철희 옮김/박영사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역자 해제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5권1. 일반적으로 나라들은 거의 항상 질서에서 무질서로, 그리고 다시 무질서에서 질서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세상사는 본성상 고정되어 있도록 용납되지 않기 때문이다. 궁극의 완성에 도달하여 더 이상 오를 곳이 없으면 하강해야만 한다. 또 하강하여 그 무질서로 인해 더 이상 내려갈 곳 없는 심연에 도달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상승해야 한다. 세상사는 이런 식으로 항상 선에서 악으로 하강하고, 악에서 선으로 상승한다. 역량(virtu)은 평온을, 평온은 나태를, 나태는 무질서를 무질서는 몰락을 가져온다. 비슷하게 몰락에서 질서가, 질서에서 역량이, 역량에서 영광과 행운이 ..
피렌체사 1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김경희.신철희 옮김/박영사헌정사 서 문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역자 해제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문피렌체인들이 국내외에서 행했던 일들에 대하여 쓰기로 처음 작정했을 때, 나의 의도는 코지모와 그의 아버지 조반니의 공적으로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의 어느 누구보다도 큰 권위를 획득한 서기 1434년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었다. 1434년 이전에 발생한 모든 이야기는 두 명의 위대한 역사가인 아레초의 레오나르도와 포조가 상세하게 말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그들을 모방함으로써 나의 역사책이 독자들로부터 더 인정받게 되지 않을까 하여, 그들이 어떤 질서와 방식(ordini e modi)으로 글을 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저작들을 면밀하게 읽었다..
All Time Jazz 명반 가이드북 - 장병욱 지음/안나푸르나1부 Ella Fitzgerald & Louis Armstrong — Ella and Louis Paul Desmond & Gerry Mulligan — Two of a Mind Jelly Roll Morton — Plays Jelly Roll Joe Pass — Virtuoso The 360 Degree Music Experience — In: Sanity Ornett Coleman & Pat Metheny — Song X Chick Corea & Gary Burton — In Concert, Zürich, October 28, 1979 Frank Sinatra & Antonio Carlos Jobim — Francis Albert Sin..
중국사유 - 마르셀 그라네 지음, 유병태 옮김/한길사서론 제1부 사유의 표현 제2부 주개념 제3부 세계체계 제4부 교파와 학파 결론 그라네 당대의 중국학 주요 도서목록 그라네 사후의 중국학 주요 도서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41 고대의 앎은 교파와 학파들이 사유의 노력을 통해 도달했던 교조철학의 기조를 이룬다. 따라서 나는 중국인이 구상했던 세계체계는 제3부의 몫으로 했다. 더욱이 체계의 핵심사상을 끌어내는 일은 사전에 중국 사유의 주개념을 분석하여 체계의 기층을 천착함으로써 다소 무난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중국인의 우주관은 소우주론에 서 있으며, 이 이론은 중국사유가 시도한 최초의 분류체계와도 밀접하게 관계된다. 이 이론은 지극히 뿌리 깊은 믿음, 즉 인간과 자연은 분립된 두 세계의 존재가 아니라 하나..
픽션들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민음사1부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서문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떼르띠우스 알모따심에로의 접근 삐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 원형의 폐허들 바빌로니아의 복권 허버트 쾌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 바벨의 도서관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2부기교들 서문 1956년의 후기 기억의 천재 푸네스 칼의 형상 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고 죽음과 나침반 비밀의 기적 유다에 관한 세 가지 다른 이야기 끝 불사조 교파 남부 작품 해설 작가 연보 작품 연보 15 서문 방대한 양의 책을 쓴다는 것은 쓸데없이 힘만 낭비하는 정신나간 짓이다. 단 몇 분에 걸쳐 말로 완벽하게 표현해 보일 수 있는 어떤 생각을 500 여 페이지에 걸쳐 길..
원서발췌 16세기의 무신앙 문제 - 뤼시앵 페브르 지음, 김응종 옮김/지식을만드는지식머리말 서론 제1장 삶을 장악한 종교 제2장 무종교의 받침대 : 철학? 제3장 무종교의 받침대 : 과학? 제4장 무종교의 받침대 : 비학(秘學) 결론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19 서구사회는 근본적으로 기독교적이다. 16세기는 더더욱 그러했다. 기독교는 사람들이 숨쉬는 공기 그 자체였다. 그것은 사람이 삶─지적인 삶 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동으로 이루어진 사적인 삶, 다양한 직업을 가진 공적인 삶, 여러 분야에서의 전문적인 삶─을 살아가는 대기였다. 이 모든 것이 자기의 종교를 받아들이고 실천하려는 명백한 의지와 무관하게 숙명적으로 이루어졌다. 오늘날에는 기독교인이 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한다. 16세기에는 선택이..
나치 시대의 일상사 -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지음, 김학이 옮김/개마고원서문 서론 1. 비상사태에 처한 "일상" 2. "민족공동체"와 "인민저항" 사이에서 3. "민족의 동지"와 "공동체의 이방인" 나치즘을 근대의 병리사(病理史)로 경험하기 위한 13가지 논거 역자해설 12 독일사의 특수성 이론을 수정한 해석과 나치즘에서 의도와 달리 근대화 동력이 가해졌다는 해석은, 1945년 이후 경악한 세계가 도덕적으로는 정당하지만 분석적으로는 부당하게 뒤집어씌웠던 특수한 악마성으로부터 독일사를 해방시켰다. 그런데 그렇게 독일사를 근대사회의 정상적인 발전 과정에 위치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1914년까지의 독일사가, 다른 한편으로는 1945년 이후의 독일사가 정상’이었다고 주장한다면 나치즘의 잔혹함과 야만성과 대량 범죄..
철학의 위안 - 보에티우스 지음, 정의채 옮김/바오로딸(성바오로딸)옮긴이의 글 제1서 제2서 제3서 제4서 제5서 제5서 산문6224 신이 영원하다는 것은 이성을 부여받고 생활하는 모든 존재의 공통된 판단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 영원이란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신의 영원성을 아는 것은 신의 본질과 그 지식을 우리에게 명백히 알게 하여 줄 것이기 때문이다. 영원성이란 끝없는 생명의 전체적이고 동시적이며 완전한 소유를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시간적인 사물과 비교해 볼 때 더 명확해지니 시간 안에 살고 있는 현재적 존재는 그 어느 것이든 과거에서 미래로 진행하여 나간다. 곧 시간 안에 존재하는 것은 그 어느 것이든 자기 생명의 전폭을 동시에 포괄할 수 없는 것으로서, 내일은 아직..
비주얼 재즈 - 앨린 시프턴 지음, 백지선 옮김, 존 에드워드 하세 서문/시그마북스서문 프롤로그 : 재즈가 탄생하기까지 제1장 재즈의 탄생 제2장 재즈 시대 제3장 스윙 시대 제4장 제2차 세계대전 제5장 비밥과 모던 재즈 vs 뉴올리언스 재즈의 부활 제6장 쿨 재즈와 웨스트코스트 재즈의 탄생 제7장 뉴 메인스트림 제8장 재즈의 지형을 바꾼 밍거스, 콜트레인, 콜맨 제9장 퓨전 재즈 제10장 포스트모던 재즈 제11장 21세기 재즈 프롤로그 : 재즈가 탄생하기까지재즈라는 단어는 1928년에 출간된 10권짜리 옥스퍼드 영어사전 초판본에는 빠졌다가 '재즈 시대'의 절정기였던 1933년에야 제1증보판에 등재되었다. 사전에 최초로 등재된 바에 따르면 '재즈'는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제1차 세계대전..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3 - 움베르토 에코.리카르도 페드리가 지음, 윤병언 옮김/arte(아르테)I. 독일 관념주의 9 1. 피히테 — Gaetano Rametta 14 2. 역사, 과거, 고전주의 혹은 낭만주의 미학의 주제들 — Paola Giacomoni 44 3. 셸링 — Tonino Griffero 51 4. 헤겔 — Remo Bodei 76 II. 헤겔 이후의 철학과 마르크스 101 1. 사회적 유토피아 — Laura Barletta, Antonio Senta 106 2.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 Francesco Tomasoni 114 3. 카를 마르크스 — Salvatore Veca 123 III. 체계적 철학에 대한 비판 145 1. 쇠렌 키르케고르 — Matteo d’Alf..
인생의 의미 -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 지음, 이영래 옮김/더퀘스트서문 첫 번째 의미 : 관계 두 번째 의미 : 결핍 세 번째 의미 : 꿈 네 번째 의미 : 느린 시간 다섯 번째 의미 : 순간 여섯 번째 의미 : 균형 일곱 번째 : 실 끊기 주석이 있는 참고 문헌 13 삶의 의미,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면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사람들이 동시대인처럼 느껴진다. 셰익스피어, 몽테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같은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동등한 파트너다. 이들에게 삶의 의미가 아닌 진화의 메커니즘이나 암의 원인에 대해 묻는다면 이런 상상은 결코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메리카 원주민, 서아프리카의 그리오, 고대의 철학자, 근대 초기의 극작가들이 제시한 해답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 누구도..
유교란 무엇인가 - 가지노부유끼 지음, 김태준 옮김/지영사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서장 유교에서 말하는 죽음 1장 유교의 종교성 2장 유교 문화권 3장 유교의 성립 4장 경학시대(상) 5장 경학시대(하) 6장 유교와 현대 마지막장 유교와 현대 저자 후기 역자 후기 26 동북아시아를 보기로 하자. 중국, 한국, 일본 ─ 이들 나라는 서아시아인 중근동이나 남아시아인 인도보다는 훨씬 살기 좋은 데다가, 다신교의 나라들이다. 그 대표라고 할 중국 사람들은 인도 사람들처럼 이 세상은 괴로운 세계라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이 기독교처럼 인간이 원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중국 사람들은 이 세상을 즐거운 곳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런 점이 인도 사람이나 중근동의 사막지방 사람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