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 군주론


군주론 - 10점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머리말

번역 방침과 범례들


헌정사

제01장 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식에 대하여

제02장 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제03장 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제04장 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된 다리우스의 왕국은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왜 그의 후계자들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05장 정복되기 전에 자신의 법제하에서 살던 [도시]국가(civitates)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제06장 자신의 군대와 비르투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7장 타국의 무력과 행운을 바탕으로 정복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8장 사악한 방법으로 군주 지위에 오른 사람에 대하여

제09장 시민형 군주국

제10장 여러 군주국들의 힘은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가

제11장 교회 군주국에 대하여

제12장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군에 대하여

제13장 외국 원군, 혼성군 및 자국군에 대하여

제14장 군사문제와 관련하여 군주에게 적합한 행동은 무엇인가

제15장 사람들, 특히 군주들이 칭찬 또는 비난받게 될 일들에 대하여

제16장 너그러운 씀씀이와 인색함에 대하여

제17장 가혹성과 자비심

제18장 군주는 어떤 방식으로 약속을 지키는가

제19장 경멸과 증오의 회피에 대하여

제20장 성채와 군주들이 매일 행하는 다른 많은 일들이 유용한 것인가 무용한 것인가

제21장 명성을 얻기 위해 군주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제22장 군주의 보좌관에 대하여

제23장 아첨꾼은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24장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왜 자신의 국가들을 상실했는가

제25장 인간사에서 운은 얼마나 강력하고 어떻게 대항할 수 있는가

제26장 야만족으로부터 이탈리아를 탈환하고 해방시키기 위한 간곡한 권고


<부록> 1513년 12월 10일 프란체스코 베토리에게 보낸 서한

해설

마키아벨리 연보

인명 사전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4 - 18강: 군주론 1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4 - 19강: 군주론 2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4 - 20강: 군주론 3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4 - 21강: 군주론 4


Dedica

NICOLAUS MACLAVELLUS AD MAGNIFICUM LAURENTIUM MEDICEM.

[Nicolo Machiavelli al Magnifico Lorenzo de’ Medici]


헌정사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로렌초 메디치 전하께 드립니다.


Sogliono, el piu delle volte, coloro che desiderano acquistare grazia appresso uno Principe, farseli incontro con quelle cose che infra le loro abbino piu care, o delle quali vegghino lui piu delettarsi; donde si vede molte volte essere loro presentati cavalli, arme, drappi d’oro, prete preziose e simili ornamenti, degni della grandezza di quelli. 


군주[=최고 통치자]로부터 은혜 입기를 바라는 사람은 자신이 지니고 있는 것 중에 가장 귀중한 것이나 자신이 보기에 그 군주가 제일 기뻐할 물건을 갖고 배알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따라서 많은 경우 군주들에게 그들의 위대함에 합당한 마필, 갑옷, 금실로 수놓은 천, 보석이나 그와 유사한 장신구등이 헌상되는 것을 봅니다. 


Desiderando io adunque, offerirmi, alla vostra Magnificenzia con qualche testimone della servitu mia verso di quella, non ho trovato intra la mia suppellettile cosa, quale io abbia piu cara o tanto esistimi quanto la cognizione delle azioni delli uomini grandi, imparata con una lunga esperienzia delle cose moderne et una continua lezione delle antique: le quali avendo io con gran diligenzia lungamente escogitate et esaminate, et ora in uno piccolo volume ridotte, mando alla Magnificenzia Vostra. 


그래서 전하에 대한 헌신의 징표를 보이면서 전하의 위대함에 저 자신을 바치고자 합니다. 그러나 제가 갖고 있는 것 중에 귀중하거나 가치있는 것은 오로지 최근의 정세와 관련된 오랜 경험과 고대 역사를 꾸준히 공부하여 얻게된 위대한 인물들의 행적에 대한 지식뿐이고 다른 것은 없습니다. 저는 이 문제들을 오랫동안 부지런히 숙고하고 검토해 왔는데 이제 이것들을 작은 책자로 줄여 전하께 바치고자 합니다. 


E benche io iudichi questa opera indegna della presenzia di quella, tamen confido assai che per sua umanita li debba essere accetta, considerato come da me non li possa esser fatto maggiore dono, che darle faculta di potere in brevissimo tempo intendere tutto quello che io in tanti anni e con tanti mia disagi e periculi ho conosciuto. 


저는 비록 이 책이 전하께 바칠 만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그동안 여러 해에 걸쳐 많은 어려움과 위험을 겪어 가면서 경험하고 깨달은 바들을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전하께 드리는 것 이상으로 더 큰 선물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전하께서는 자비롭게 이 선물을 받아 들이실 것으로 확신합니다. 


La quale opera io non ho ornata ne ripiena di clausule ample, o di parole ampullose e magnifiche, o di qualunque altro lenocinio o ornamento estrinseco con li quali molti sogliono le loro cose descrivere et ornare; perche io ho voluto, o che veruna cosa la onori, o che solamente la varieta della materia e la gravita del subietto la facci grata. 


저는 이 책을 꾸미지도 않았고 과장된 구절이나 화려하고 격조 높은 말들로 채우지도 않았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논제를 서술하고 장식하기 위해 관례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어떤 기교나 피상적인 장식도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이 책이 전혀 존중되지 않거나 [또는 된다면] 논의되는 주제의 다양성이나 중요성 때문에 받아들여 지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Ne voglio sia reputata presunzione se uno uomo di basso et infimo stato ardisce discorrere e regolare e’ governi de’ principi; perche, cosi come coloro che disegnono e’ paesi si pongano bassi nel piano a considerare la natura de’ monti e de’ luoghi alti, e per considerare quella de’ bassi si pongano alto sopra monti, similmente, a conoscere bene la natura

de’ populi, bisogna essere principe, et a conoscere bene quella de’ principi, bisogna essere populare.


또한 저같이 낮고 미천한 사람이 군주들의 통치 문제를 감히 토론하고 평가하는 일이 건방지다고 여겨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경관의 모습[=지 도]을 그리고자 하는 사람이 산이나 다른 높은 장소의 성격을 알기 위해 평원으로 내려가고, 낮은 곳의 성격을 알기 위해서 산으로 높이 올라가는 것처럼, 백성의 성격을 잘 알기 위해서는 군주가 되어 볼 필요가 있고 군주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백성이 되어 볼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Pigli, adunque, Vostra Magnificenzia questo piccolo dono con quello animo che io lo mando; il quale se da quella fia diligentemente considerato e letto, vi conoscera drento uno estremo mio desiderio, che Lei pervenga a quella grandezza che la fortuna e le altre sue qualita li promettano. 


전하, 이 작은 선물을 제가 드리고자 하는 뜻을 헤아리시어 부디 받아 주십시오. 만일 이 책을 부지런히 읽고 숙고하신다면 행운과 전하의 다른 자질[=비르투]이 약속해 주는 위대함에 전하께서 도달할 수 있기를 바라는 제 간절한 소원을 전하께서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E, se Vostra Magnificenzia dallo apice della sua altezza qualche volta volgera li occhi in questi luoghi bassi, conoscera quanto io indegnamente sopporti una grande e continua malignita di fortuna.


그리고 만일 전하께서 높은 곳의 정점에서 어쩌다가 이 낮은 곳으로 눈을 돌리시면 제가 그동안 부당하게도 대단히 크고 지속적인 악운에 시달려 왔음을 아시게 되실 것입니다.


* 이탈리아어 헌정사 출처: http://www.liberliber.it/online/autori/autori-m/niccol-machiavelli/il-principe/





번역 방침과 범례들

17 주요 용어의 번역과 관련한 주의사항

1. principe.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principe(영어로는 prince)는 관행상 '군주'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 관행이 너무 강하게 굳어 있어 다른 말로 바꾸기가 매우 어렵고 사실상 마땅한 대안도 없는 형편이다.


18 그러나 군주라는 말을 사용할 때 일상적으로 뜻하는 왕(king)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마키아벨리의 글에서 군주는 왕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지배자 또는 통치자에 대한 일반적 통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18 이 책의 제목은 앞서 말한 바대로 Il Principe로 통용되고 있지만 마키아벨리 생전에 출판된 적이 없기 때문에 정확히 말해 저자 자신이 붙인 제목은 아니다. 다만 이 《군주론》에 대한 저자의 첫 번째 언급은 그가 1513년 12월 10일자로 친구 프란체스코 베토리(Francesco Vettori)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편지에서 그는 "작은 책자인 군주 국론"(uno opusculo De principatibus)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지금은 《군주론》으로 알려져 있는 소책자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18 마키아벨리는 자신의 《로마사 논고》 에서 이 《군주론》을 두번 언급하고 있는데 제3권 42장에서는 라틴어로 De Principe라는 표현을 쓰고 있고 2권 1장에서는 이탈리아어로 Principati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1장

4 모든 국가(stato), 즉 주민에 대한 명령권(imperio)을 가져왔거나 갖고 있는 [영토적] 지배조직(dominio)은 공화국이거나 군주국이다.


6장

30 여기에서 모든 무장한 예언가들은 승리했고 무장하지 않은 예언가들은 멸망했다는 점이 나타나게 된다. 


12장

60 신생국이든 오래된 국가든 혼합국이든 모든 국가들이 갖는 기본적인 기초는 좋은 법제와 좋은 군대이다.


60 좋은 군대가 없는 곳에 좋은 법제가 있을 수 없고 좋은 군대가 있는 곳에 반드시 좋은 법제가 있기 때문에 나는 법제에 관한 논의는 뒤로 미루고 군대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62 무장한 공화국만이 대단히 큰 진척을 볼 수 있고 용병군은 손해를 끼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는 일이 없다. 자신의 군대로 무장한 공화국이 자신의 한 시민의 [전제적] 지배하에 들어가는 일은 외부 군대로 무장한 공화국에 비해 훨씬 어렵다.


13장

71 따라서 자국 군대 없이는 어떤 군주국도 안전하지 못하며 역경 시에 자신 있게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비르투[=군대]를 갖지 못하면 운에 전적으로 따라야만 한다고 결론짓고자 한다. 


71 자국군대는 당신의 백성 또는 시민 또는 당신의 수하로 구성된 군대를 말하고 나머지는 전부 외국 원군이거나 용병군이다.


14장

72 따라서 군주는 전쟁, 전쟁의 방식 및 숙련 외에는 다른 어떤 목표도, 생각도, 직업도 가져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전쟁이 통치자에게 기대되는 유일한 전문기술이기 때문이다. 전쟁은 많은 양의 비르투가 필요한 업무로서 군주로 태어난 사람을 그 자리에 유지케할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 일개 시민 지위의 사람을 군주의 지위로 오르게 해주기도 한다. 반대로 군사문제보다는 우아하고 세련된 삶을 더 많이 생각했던 군주들이 자신의 군자를 상실했던 점은 잘 알려져 있다. 당신이 국가를 상실하게 되는 일차적 요인은 이 전문기술을 소홀히 하는 것이고 그것을 정복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은 이 [군사] 기술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76 이제 군주가 백성이나 동맹국들을 상대로 취할 행동의 방식이나 지침에 대해 살펴볼 일이 남았다. 이 점에 관해서 많은 사람들이 책을 썼음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또다시 글을 쓴다는 사실이, 무엇보다도 이 문제를 논의하면서 다른 사람의 논지와 멀어지기 때문에, 주제넘은 일처럼 여겨질까 두렵다.


76 그러나 그 점을 이해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무언인가를 저술하는 것이 내 의도이기 때문에 나는 논제와 관련해 상상된 바가 아니라 사안의 유효한 진실을 추구하는 일이 더 적합한 것이라 여긴다. 


76 [실제] 어떻게 살고 있는가의 문제는 어떻게 살아야만 하는가라는 문제와 대단히 거리가 멀기 때문에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의 문제에 매달려 무엇이 [실제] 행해지는가의 문제를 소홀히 하는 사람은 자신의 보존보다 파멸을 훨씬 빠르게 배우게 된다.


77 군주는 착하지 않을 수 있음(petere)[=능력]과 그 착하지 않음[=악덕]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15장

78 비르투[=미덕]로 보이는 것을 따르게 되면 파멸로 이르고 악덕으로 보이는 다른 것을 따를 경우 자신의 안전과 안녕을 가져오게 됨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16장

82 모든 일 가운데 군주가 반드시 조심해야 할 일은 경멸이나 증오의 대상이 되는 것인데 


17장

84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논쟁이 생겨난다.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 보다는 사랑 받는 것이 더 나은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84 사랑 받는 것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


85 군주는 사랑을 얻지 못해도 증오는 피할 수 있는 방식으로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두려움의 대상이 되면서 동시에 증오를 받지 않는 것은 아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군주가 시민과 백성의 소유물과 부녀자들에 손을 대지 않으면 항상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87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군주는 증오심만은 피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18장

89 덫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여우가 될 필요가 있고 늑대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사자가 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사자에게만 의존하는 사람은 [정치세계의 성격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90 군주는 앞에서 말한 다섯 개의 자질[=자비심, 성실성, 인정, 고결성, 신앙심]로 충만한 것이 아닌 것은 하나라도 자신의 입에서 새어 나오지 않도록 대단히 조심해야만 한다. 그를 보고 그를 듣는 사람들에게 군주는 자비심, 성실성, 인정, 고결성과 신앙심의 화신처럼 보여야 한다.


19장

92 군주는 자신을 증오 또는 경멸의 대상으로 만들 수 있는 일을 회피하는 것에 대해 반드시 생각해 두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고자 한다.


96 국왕이 평민을 우호적으로 대할 때 갖게 되는 귀족층에 대한 부담과 귀족층을 애호할 때 생기는 평민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96 군주는 부담스러운 일은 반드시 다른 사람이 집행하도록 하고 자신은 고마움이 느껴질 일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결론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 군주는 귀족들을 존중해야 하나 백성들의 미움을 사서는 안 된다는 점을 또 다른 결론으로 말하고자 한다.


100 그의 이러한 행동을 자세하게 검토하면 그가 대단히 사나운 사자와 대단히 교활한 여우였음을 알게 된다.


104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로부터는 국가를 창건하는 데 필요한 부분[=기술]을 그리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부터는 일단 견고하게 수립되어 있는 국가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고 영광을 가져올 수 있는 부분[=방법]을 끄집어내야만 한다.


24장

123 우리가 앞에서 길게 논의한 이유에서 연유하는 군대 조직과 관련한 공통된 결함을 발견하게 된다.


123 이들 가운데 일부는 백성이 적대적이었거나, 아니면 우호적인 백성을 갖는 경우에도 귀족을 상대로 자신의 지위를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1513년 12월 10일 프란체스코 베토리에게 보낸 서한

143 한 번에 네 시간 가량 지속되는 이러한 대화에 아무런 권태도 느끼지 않고 그동안 저의 모든 시름을 잊고 가난을 겁내지 않고 죽음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습니다. 저는 그 [대화] 속에 완전히 몰입합니다. 그리고 단테가 말하기를 사람들이 공부한 바를 잡아두지 않으면 아무런 지식도 되지 않는다고 했기 때문에 그들[=숭엄한 고대인들]과의 대화에서 얻은 바를 기록해서 《군주국에 관해서》 (De principatibus)라는 제명의 작은 책자를 만들었습니다. 


143 여기에서 저는 이 주제에 관한 생각에 가능한 한 깊이 탐구하여 군주국의 정의, 군주국의 종류. 군주국의 획득과 유지 방법및 상실 이유 등의 문제를 논의하였습니다. 만일 저의 기발한 [과거의] 연동이 대사님께 재미를 주었던 적이 있다고 한다면 이 소책자도 당신을 불쾌하게 만들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책자는 군주 특히 신생군주에게는 환영받을 것입니다. 



해설

176 그의 정치학은 polis의 문제를 다루는 politica가 아니라 stato의 문제를 다루는 arte dello stato(경세지술=국가 건설과 경영의 기술)이었다. 즉 정치문제는 더 이상 윤리 문제가 아니라 권력의 조직, 유지 및 확장의 문제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