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管子)> 제01권 제04편 입정(立政): 정무의 주요 사항
- 정리노트/논어와 노자, 관자
- 2017. 10. 26.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國之所以治亂者三 殺戮刑罰 不足用也 / 국지소이치란 살육형벌 부족용야
나라의 어지러움을 다스리는 것은 세 가지인데, 살육과 형벌은 쓸만한 것이 못 된다.
國之所以安危者四 城郭險阻 不足守也 / 국지소이안위자사 성곽험조 부족수야
나라의 위태로움을 안정시키는 것은 네 가지인데, 성곽과 험준한 지형은 의지할 만한 것이 못 된다.
國之所以富貧者五 / 국지소이부빈자오
나라의 가난함을 부유하게 하는 것은 다섯 가지인데,
輕稅租 薄賦斂 不足恃也 / 경세조 박부렴 부족시야
조세를 가볍게 하고 부렴을 줄이는 것 만으로는 의지할 것이 못 된다.
治國有三本 而安國有四固 / 치국유삼본 이안국유사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세 가지 근본이 있고, 나라를 안정시키는 데는 네 가지 힘써야 할 것이 있고,
而富國有五事 五事五經也 / 이부국유오사 오사오경야
나라를 부유하게 하는 데는 다섯 가지 일이 있다. 다섯 가지 일은 다섯 가지 법이다.
삼본 三本: 나라를 다스리는 세 가지 근본
君之所審者三 一曰德不當其位 / 군지소심자삼 일왈덕부당기위
군주가 살필 것은 세 가지이다. 첫째 (대신의) 덕이 그 지위에 맞는지 아닌지,
二曰功不當其祿 三曰能不當其官 / 이왈공부당기록 삼왈능부당기관
둘째 공적이 그 녹봉에 맞는지 아닌지, 셋째 능력이 그 관직에 맞는지 아닌지를 살피는 것이다.
此三本者 治亂之原也 / 차삼본자 치란지원야
이 세가지 근본은 어지러움을 다스리는 근원이다.
故國有德義未明於朝者 則不可加于尊位 / 고국유덕의미명어조자 즉불가가우존위
그러므로 나라에는 덕과 의리가 조정에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사람을 높은 지위에 두어서는 안 된다.
功力未見於國者 則不可授以重祿 / 공력미견어국자 즉불가수이중록
공로나 능력이 나라에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사람에게 많은 녹봉을 주어서는 안 된다.
臨事不信於民者 則不可使任大官 / 임사불신어민자 즉불가사임대관
일에서 백성에게 신임 받지 못한 사람이 큰 관직을 맡게 해서는 안 된다.
故德厚而位卑者謂之過 德薄而位尊者謂之失 / 고덕후이위비자위지과 덕박이위존자위지실
덕은 높은데 지위가 낮은 사람의 경우는 신중함이 지나친 것이라 하고, 덕은 낮은데 지위가 높은 이의 경우에는 경솔하여 잘못된 것이라 한다.
寧過於君子 而毋失於小人 / 영과어군자 이무실어소인
차라리 군자처럼 신중함에 지나침이 있을지언정, 소인처럼 경솔함 때문에 잘못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過於君子 其爲怨淺 失於小人 其爲禍深 / 과어군자 기위원천 실어소인 기위과심
군자같은 지나침에 대해서는 그 원망이 적으나 소인 같은 경솔함이 잘못되면 그 재앙이 크다.
是故國有德義未明於朝而處尊位者 則良臣不進 / 시고국유덕의미명어조이처존위자 즉량신부진
이 때문에 나라의 덕과 의리가 조정에서 아직 드러나지 않았는데도 높은 지위에 처한 사람이 있으면, 훌륭한 신하가 나오지 않는다.
有功力未見於國而有重祿者 則勞臣不勸 / 유공력미견어국이유중록자 즉로신불권
공로와 능력이 나라에서 아직 드러나지 않았는데도 많은 녹봉을 받는 사람이 있으면, 공로있는 신하가 권장되지 않는다.
有臨事不信於民而任大官者 則材臣不用 / 유임사불신어민이임대관자 즉재신불용
일에서 백성에게 신임을 받지 못하였는데도 큰 관직을 맡은 이가 있으면, 재능있는 신하가 쓰이지 않는다.
三本者審 則下不敢求 / 삼본자심 즉하불감구
세 가지 근본을 살피면, 아랫 사람이 감히 벼슬을 요구하지 못한다.
三本者不審 則邪臣上通 而便辟制威 / 삼본자불심 즉사신상통 이편벽제위
세 가지 근본을 살피지 않으면, 사악한 신하가 조정에 내통하고 아첨하는 사람이 위엄을 부린다.
如此 則明塞於上 而治壅於下 正道捐棄 而邪事日長 / 여차 즉명색어상 이치옹어하 정도손기 이사사일장
이와 같으면 군주의 명철함은 위에서 막히고 다스림은 아래에서 막히며, 바른 도가 폐기되어 사악한 일이 나날이 늘어 난다.
三本者審 則便辟無威於國 / 삼본자심 즉편벽무위어국
세 가지 근본을 살피면 아첨하는 사람이 나라에서 위엄을 부릴 일이 없다.
道塗無行禽 疏遠無蔽獄 / 도도무행금 소원무폐옥
또한 길에는 압송되는 죄수가 없고, 힘없는 사람이 억울한 옥살이를 하지 않는다.
孤寡無隱治 / 고과무은치
그리고 고아와 과부처럼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에게도 억울한 송사가 없다.
故曰 刑省治寡 朝不合衆 / 고왈 형생치과 조불합중
그러므로 말하기를 "형벌은 줄어들고 정무는 간결하여, 조정에 많은 관리가 모여 할 일이 별로 없다"고 하는 것이다.
사고 四固: 네 가지 힘써야 할 일
君之所愼者四 / 군지소신자사
군주가 신중히 할 바는 네 가지이다.
一曰大德不至仁 不可以授國柄 / 일왈대덕부지인 불가이수국병
첫째, 지위만 높고 인을 시행하지 않는 사람에게 나라의 권력을 주어서는 안 된다.
二曰見賢不能讓 不可與尊位 / 이왈견현불능양 불가여존위
둘째, 현명한 이를 보고도 양보하지 않는 사람에게 높은 지위를 주면 안 된다.
三曰罰避親貴 不可使主兵 / 삼왈벌피친귀 불가사주병
셋째, 형벌을 행함에 있어 군주의 종친이나 귀척을 피하는 사람에게 병권을 주장하게 하면 안 된다.
四曰不好本事 不務地利 而輕賦斂 不可與都邑 / 사왈불호본사 불무지리 이경부렴 불가여도읍
넷째, 농사를 좋아하지 않고 땅의 이로움을 개발하는 데 힘쓰지 않으며 부렴을 함부로 거두는 사람에게 도읍을 맡기면 안 된다.
此四務者 安危之本也 / 차사무자 안위지본야
이 네 가지 견고한 것은 위태로움을 안정시키는 근본이다.
故曰 卿相不得衆 國之危也 / 고왈 경상부득중 국지위야
그러므로 말하기를, 경상이 대중의 마음을 얻지 못하는 것은 나라의 위태로움이고,
大臣不和同 國之危也 / 대신불화동 국지위야
대신이 협동하지 않는 것은 나라의 위태로움이고,
兵主不足畏 國之危也 / 병주부족외 국지위야
병권 주장자가 사졸들에게 위엄을 주기에 부족하면 나라의 위태로움이고,
民不懷其産 國之危也 / 민불회기산 국지위야
백성이 그 직업에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은 나라의 위태로움이라고 하는 것이다.
故大德至仁 則操國得衆 / 고대덕지인 친조국득중
그러므로 지위가 높은 사람이 인을 시행하면, 나라를 유지하고 대중의 마음을 얻는다.
見賢能讓 則大臣和同 / 견현능양 즉대신화동
현명한 이를 보고 능히 양보하면, 대신이 협동한다.
罰不避親貴 則威行於鄰敵 / 벌불피친귀 즉위행어린적
형벌에서 군주의 종친이나 귀척이라도 봐주지 않으면, 위엄이 인접한 적국에 통한다.
好本事 務地利 重賦斂 / 則民懷其産 / 호본사 무지리 중부렴 즉민회기산
농사를 좋아하고 땅의 이로움을 개발하는 데 힘쓰며 부렴을 신중히 하면, 백성은 생산만 관심을 둔다.
'정리노트 > 논어와 노자, 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자(管子)> 제03권 제08편 유관(幼官): 군주의 일상생활과 정치 (0) | 2017.11.07 |
---|---|
<관자(管子)> 제02권 제07편 판법(版法): 정치의 요체 (0) | 2017.11.02 |
<관자(管子)> 제02권 제06편 칠법(七法): 군사와 용병 전략 (0) | 2017.10.31 |
<관자(管子)> 제01권 제05편 승마(乘馬): 국가 기본 정책의 수립 (0) | 2017.10.26 |
<관자(管子)> 제01권 제03편 권수(權修):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 (0) | 2017.10.24 |
<관자(管子)> 제01권 제02편 형세(形勢): 위정자의 자세와 통치 방법 (0) | 2017.10.23 |
<관자(管子)> 제01권 제01편 목민(牧民): 정치의 근본 원리 (0) | 2017.10.20 |
초간본 〈노자〉 | 병본(丙本) | 제3장 군자는 평상시에 왼쪽을 높이고 (0) | 201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