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의 역사 4 - 에두아르트 푹스 지음, 이기웅 외 옮김/까치 1. 부르주아 시대의 육체적 인간 2. 부르주아적 복장 3. 연애와 결혼 4. 성과급으로서의 연애 5. 부르주아의 향락력 6. 출판과 광고 7. 맺음말 28 자본주의 발전은 여성을 다시 부르주아 계급의 남자들을 위한 고급스러운 사치품으로 전락시켜버렸다. 그런데 사치품이라는 것은 주지하듯이 어느 시대에나 물질적인 의미로서 향락을 누리기 위해서만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향락에 일치하는 공상적인 곡선이 아름답다고 입을 모아 찬양되었다. 그리고 그런 곡선은 여성의 에로틱한 아름다움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에로틱한 아름다움이 가장 강하게 표출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유산계급은 여성을 다시 에로틱한 미식으로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