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05_1–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다섯 가지 주제들: 제국헌법체제 형성과정; ‘근대국가’를 둘러싼 메이지정부, 자유민권운동, 민중파의 三極관계; 사회의 근대화가 초래한 변화; ‘문명’의 대외적·대내적 층위; 일본의 독자성 형성 요인 – 보론인 제10권 제2장의 논의 주제: 왜 메이지국가는 천황을 필요로 했던가? – 천황제와 관련하여 참고할 책: 야스마루 요시오, , 논형. – 근대국민국가(Modern Nation State)라는 체제[regime]의 구성요소: 특정한 영토, 영토에 살고 있는 국민, 이것들로써 성립되는 주권 – 근대국민국가 설립의 기본 요건으로서의 헌법 – 근대국민국가 성립 이전 시기의 전통사..
막말.유신 - 이노우에 가쓰오 지음, 이원우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428_5– ‘半西歐’의식을 가진 일본의 동아시아 침략: 1875년 운양호(雲揚號) 사건 이후 1876년에 조선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이른바 강화도 조약) 체결. 조선을 ‘자주국’으로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청의 종주권을 부인함– “서양이 후발국(반미개국)과 체결한 불평등 조약을 조선과 맺고, 조선을 개국시키는 일. 에도 시대에는 이웃 나라 조선과 대등외교를 계속하고 있었는데, 그 조선을 일본의 후발국으로 끌어내리려 하고 있었다.”– “일본은 조선에 대하여 서양과 입장을 같이 하여 동아시아의 小서양으로서 임한 것이다.”– “무리한 서양화, 만국대치라는 대국주의, 이것이 막부토벌파인 소수파가 신정부..
막말.유신 - 이노우에 가쓰오 지음, 이원우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421_4– ‘문명-미개’라는 상대적이고도 절대적인 이분법의 성립 – “종래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았을 것이다. 일본은 쇄국정책으로 폐쇄된 사회였다. 서양인과 만나면 혐오와 경계, 허세와 공포의 감정이 생겼을 것이라며 긴박한 상황을 상정해 버린다. 그러나 사실은 달랐다… 종래의 혐오와 경계라는 이미지는 현대의 문명개화 이후에 생겨난 것이다. 서양문명을 따라가고자 하는 의식이 문화 후진 의식, 문화열등감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에도 후기 사람들은 그러한 열등 의식과는 무연했다.” – 일본의 식민지화를 막은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탈아시아’로의 길 첫 단계: 열강과의 관계 안정과 이와쿠라 사..
막말.유신 - 이노우에 가쓰오 지음, 이원우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414_3– 존양[尊王攘夷]파와 막부토벌[討幕]파의 대립 – 고메이 천황은 “그야말로 무모하고 현실적인 전쟁을 상정하고 있었다.” – “전쟁을 하려는 강력한 국가나 대국주의를 추구하는 것이 국가의 자립을 위한 유일한 길은 아니다. 일본 열도에는 서양 열강의 균형이 빚어낸 고유의 지정학적 조건이 있으며, 개국에 대응하는 국내의 성숙도 있었다. 조약에 의해 외교를 수립하는 것은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 막부의 점진적인 개국노선과 천황의 무모함의 대립 – 메이지[明治] 정부 성립에 관련된 유력번[雄藩] 연합세력과 천황의 결합, 비합리적 신국사상 – 일본 근대국가 성립에서 천황의 역할과 천황제의 재정립 과정 – ‘판적..
막말.유신 - 이노우에 가쓰오 지음, 이원우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407_2– 제1장 에도 만의 외교; 제2장 존양(尊攘)·막부 토벌(討幕)의 시대; 제3장 개항과 일본 사회; 제4장 근대국가의 탄생; 제5장 ‘탈 아시아’로의 길 – 에도 막부와 네덜란드의 정보교환의 증거인 ‘別段風說書’의 내용: 유럽 자체의 정세(나폴레옹 전쟁이후의 빈체제의 성립으로 안정된 정치상황, 2차 산업혁명과 그에따른 세계무역의 발전이라는 경제적 상황), 구미와 동양의 관계(아편전쟁의 패배에 따른 중국 개항과 배상금 지급, 영국의 동양 지배 전략) – 일본에서 관철된 외교 방침: 타국의 사례를 알아야 한다, 자국의 이익을 지켜야 한다, 자국내 합의를 거쳐야 한다. – 근대 국제법인 ‘萬國公法’에 근거한..
막말.유신 - 이노우에 가쓰오 지음, 이원우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402_1– 1800년 이후 한반도 역사에 대한 이해는 일본과 구미열강이라는 이른바 ‘해양세력’에 대한 파악을 매개로 해야만 한다.– 구미와의 군사력 차이 인식, 전쟁회피를 위한 외교노력, 정보집적, 국내의 합의와 여론 등을 통해 점진적 개국노선을 정립하려 한 도쿠가와 막부(徳川幕府, 江戶幕府)의 노력을 평가해야 한다.– ‘개국/쇄국’, ‘존왕(尊王)/좌막(佐幕, 막부를 보좌한다)’의 단선적 시각에서 벗어나 복합적 시각과 유연한 역사적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번 주부터 시작해서 올 연말까지 정확하게 언제까지는 모르겠는데 일본 근현대사 시리즈를 읽으려고 한다. 다시말해서 근현대사 시리즈는 제1권이 《막말•유신..
강유원 선생님의 2014년 책읽기 20분 강의 내용을 듣고 정리한다. 목차 일본 근현대사 | 01 막말·유신 1 일본 근현대사 | 01 막말·유신 2 일본 근현대사 | 01 막말·유신 3 일본 근현대사 | 01 막말·유신 4 일본 근현대사 | 01 막말·유신 5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1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2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3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4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5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6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7 일본 근현대사 | 03 청일·러일전쟁 1 일본 근현대사 | 03 청일·러일전쟁 2 일본 근현대사 | 03 청일·러일전쟁 3 일본 근현대사 | 03 청일·러일전쟁 4 일본 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