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발흥 - 로드니 스타크 지음, 손현선 옮김, 이현수 감수/좋은씨앗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2장 초기 기독교의 계급적 기반 3장 유대인 선교: 성공의 개연성과 성공 요인 4장 역병, 네트워크, 개종 5장 기독교의 성장과 여성의 역할 6장 도시 제국의 기독교화: 정량적 접근 7장 도시의 혼돈과 위기: 안디옥의 사례 8장 순교자: 희생은 합리적 선택이었다 9장 기회와 조직 10장 미덕에 관한 소고(小考) 도서 소개: http://ratiopress.com/editio/?cat=3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17 결국 기독교의 발흥에 관한 모든 물음은 하나로 수렴된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어떻게 로마 제국 변방에서 시작된 미약하고 이름 없는 메시아 운동이 고전시대의 이방 종교를 밀어내고 ..
직업으로서의 정치 - 막스 베버 지음, 전성우 옮김/나남출판 역자서문 01. 문제제기와 개념틀 02. 의 제측면 03. 직업 정치가의 역사적 제유형 04. 근대적 정당과 직업 정치가 05. 직업 정치가의 자질 06. 와 결론 : 와 의 상보성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7 - 30강: 직업으로서의정치1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7 - 31강: 직업으로서의정치2 역자서문 6 베버가 이 강연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중심 화두는, 현대의 대의 민주주의적 조건하에서 정치를 '직업' 또는 '소명'으로 삼으려는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은 무엇이며, 정치적 지도자의 덕목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01. 문제제..
방법서설 - 르네 데카르트 지음, 이현복 옮김/문예출판사 1.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2. 방법서설 3. 주해 4. 해설/데카르트적 방법과 도덕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7강: 방법서설1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8강: 방법서설2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9강: 방법서설3 《방법서설》 143 이성을 잘 인도하고, 학문에 있어 진리를 탐구하기 위한 《방법서설》 145 이 서설이 너무 길어 한 번에 읽을 수 없다면,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읽어도 좋을 것이다. 제1부에서는 제반 학문들이 다양하게 고찰되고 있다. 제 2부에서는 저자가 찾고 있는 방법의 주요한 ..
땅과 바다 - 칼 슈미트 지음, 김남시 옮김/꾸리에 01 : : : 20 후기 133 옮긴이의 말 _『땅과 바다』에 대한 몇 가지 추언 134 관련 공부 글 보기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1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2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3 [1] 도입부: 1-2 [2] 핵심테제, 기본원리: 3 [3] 땅의 힘과 바다의 힘의 투쟁에 관한 역사적 사실들: 4-9(9에서는 영국에 의해 성취된 공간혁명) [4] 공간혁명의 문화적·법적 의미: 10-19 [5] 에필로그: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하늘, 향후 전망: 20 01 7 인간은 땅의 존재, 땅을 밝고 있는 존재다. 인간은 견고하게 정초된 대지 위에 서서 걸어가고 움직이지. 그 대지가 그가..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머리말 번역 방침과 범례들 헌정사 제01장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식에 대하여 제02장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제03장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제04장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된 다리우스의 왕국은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왜 그의 후계자들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05장정복되기 전에 자신의 법제하에서 살던 [도시]국가(civitates)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제06장자신의 군대와 비르투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7장타국의 무력과 행운을 바탕으로 정복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8장사악한 방법으로 군주 지위에 오른 사람에 대하여 제09장시민형 군주국 제10장여러 군주국들의 힘은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가 제11장교회 군..
논어를 읽다 - 양자오 지음, 김택규 옮김/유유 서문: 동양고전 읽는 법 제1장 『논어』의 연원 제2장 스승으로서의 공자 제3장 공자는 진리의 확성기가 아니었다 제4장 본래의 공자로 돌아가기 제5장 스승에게는 정답이 없었다 결론 지금 공자를 읽는 의미 역자 후기: 자공의 눈에 비친 공자 31 『논어』 의 두 가지 발음 현대 중국어에서는 보통 '論語'(논어)의 첫 번째 글자인 '論'을 2성으로 읽습니다. 이렇게 읽는 것은 동한 말, 유희의 『석명』 「석전예」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논어』는 공자가 제자들과 나눈 말을 기록한 책이다. '論'은 '倫'(륜)이니 조리가 있다는 것이고, '語'는 '敍'(서)이니 자기가 하려는 말을 서술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여, 『논어』를 '조리있게 자기가 하려는 말을 ..
대포, 범선, 제국 - 카를로 M. 치폴라 지음, 최파일 옮김/미지북스 서문프롤로그 1장 유럽의 도약 2장 유럽 너머의 대포와 범선에필로그부록1부록2감사의 말참고 문헌역자 후기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1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2 4 서문파니카 교수가 썼듯이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캘리컷 도착부터 1947년 영국군의 인도철수 그리고 1949년 중국에서 유럽 해군의 철수까지 지난 450년은 근본적으로 매우 주목할 만한 일관성을 보여준다. 그 일관성이란 아시아의 광대한 대륙을 해상력이 좌지우지했다는 것과 바다를 장악한 유럽 민족들의 지배로 요약할 수 있다." 12 프롤로그1453년 5월 28일 투르크 인..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 지리 이야기 - 케네스 C. 데이비스 지음, 심차섭 그림, 노태영 옮김, 송치중 감수/푸른숲주니어 작가의 말 1. 지구가 왜 특별하지? _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 지구에 관한 이야기 2. 1년 내내 여름 방학을 해야 하는 곳은? _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날씨와 기후, 환경 이야기 3. 만약 우리가 하루를 잃어버리게 된다면? _ 지도의 탄생과 제작에 얽힌 이야기 4. 우리 조상들은 모두 아프리카에 살았을까? _ 껌껌해서 속을 알 수 없는 아프리카 대륙 5. 중국의 만리장성이 우주에서도 보인다고? _ 세계에서 진기록을 가장 많이 가진 아시아 대륙 6. 왜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할까? _ 세계적인 문화의 중심지, 유럽 대륙 7.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맨 처음 발견..
서기 1000년과 서기 2000년 그 두려움의 흔적들 - 조르주 뒤비 지음, 양영란 옮김/동문선 1. 서론 2. 궁핍에 대한 두려움 3. 타인에 대한 두려움 4.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 5. 폭력에 대한 두려움 6. 사후 세계에 대한 두려움 1. 서론 14 중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20세기 말에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을 잠시 잊고 8-10세기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처럼 생각하고자 애를 써야 합니다. 중세 문화는 현대 문화와 아주 다르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는 눈에 보이는 세상 너머에 또 다른 세상이 있다는 사실을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이승에서 죽고 나면 저승에서 삶이 계속되는 것이 자명한 이치였습니다. 유대인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은 신 이 구체적인 형상으로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모든 관습 ━ 종교..
옥스퍼드 중국사 수업 - 폴 로프 지음, 강창훈 옮김/유유 편집자 서문 저자 서문 1장 형성기: 역사의 시작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 2장 최초의 제국: 진나라(기원전 221?기원전 206)와 한나라(기원전 206?220) 3장 혼돈의 시대(220?589) 4장 다시 통일된 제국: 수 왕조(581?618)와 당 왕조(618?907) 5장 축소된 제국과 유목 민족 도전자들: 송 왕조(960?1279)와 원 왕조(1279?1368) 6장 근대 초기의 중국: 명 왕조(1368?1644)와 청 왕조 전반기(1644?1800) 7장 청 제국의 쇠퇴와 몰락, 그 후(1800?1920) 8장 내전, 일본의 침략, 공산주의의 흥기(1920?1949) 9장 중화인민공화국(1949?현재) 옮긴이의 말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서문 인물로보는 연표 1.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2.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3. 과학과 종교 사이-근대 철학과 계몽사상 4.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20세기 옮긴이 후기 선택된 도서목록 찾아보기 + 강의 녹음파일을 들으며 책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올린다.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1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2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3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4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강유원의 ..
역사 - 존 H. 아널드 지음, 이재만 옮김/교유서가 1. 살인과 역사에 관한 물음들 2. 돌고래의 꼬리부터 정치의 탑까지 3. “그것은 실제로 어떠했는가”―진실, 문서고, 옛것에 대한 애정 4. 목소리와 침묵 5. 천릿길의 여정 6. 고양이 죽이기, 또는 과거는 낯선 나라인가? 7. 진실 말하기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역자 후기/ 도판 목록 도서목록: 알라딘 서재 옮긴이 이재만 님의 더 읽을거리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4 1. 살인과 역사에 관한 물음들 12 이건 진실한 이야기이다. 1301년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