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1 -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돌베개 역자 서문― 왜 다시 『열하일기』인가? 압록강을 건너며―도강록渡江錄 심양의 이모저모―성경잡지盛京雜識 말을 타고 가듯 빠르게 쓴 수필―일신수필馹迅隨筆 산해관에서 북경까지의 이야기―관내정사關內程史 북경에서 북으로 열하를 향해―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역자서문 4 는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중국 기행문이다. 그는 1780년 청나라 건륭 황제의 70회 생일을 축하하는 사절단에 끼어 중국에 다녀왔다. 공적인 소임이 없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었던 연암은 북경과 전인미답의 열하 지방을 체험하고, 귀국한 뒤에 견문한 내용을 정리하여 라는 기념비적 저술을 내놓았다. [...] 이제 에서 주목할 내용 몇 가지를 추려서 제시한다. 각 편마다 역자가 간단한 해제를 달아..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031 34강 모비딕 20131107 35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독일어로 학문은 Wissenschaft. 문학이다라는 할때 구조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강의에서 제시하는 독법은 '에이해브의 이야기' 라는 것. 에이해브가 인간이 할 수있는 신에 대한 도전을 계속해 나가는 것. 그런데 그 이야기를 의 틀을 가지고 푼다. 위대한 문학은 위대한 문학을 모방한다. mimesis. 진리를 모방하는 것. 우리가 진리를 모방할 수 있느..
식탁 위의 논어 (5): 위정편 시작식탁 위의 논어 (6): 위정편 마무리와 팔일편 시작 一.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共之 자왈 위정이덕 비여북진 거기소 이중성공지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정치는 덕망으로 한다라는 옛말이 있다. 이 말은 북극성이 그 위치를 조금도 바꾸지 않고 뭇 별들이 북극성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것과 같음을 비유한 것이다.+ 爲政以德 : 옛말을 공자가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 北辰: 북진,북신으로 읽을 수 있다.+ 衆星: 뭇 별들이+ 共: 함께의 뜻이 아니라 동사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에워싸다는 뜻.+ 덕은 좋은 의미의 영향력이라는 뜻. virtue로 쓸 때도 있고 expower로 쓸 때도 있다. 二.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思無邪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왈사무사 선생님께서 ..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서문 / 책머리에 학이學而 제1(1-16) 위정爲政 제2(17-40) 팔일八佾 제3(41-66) 이인里仁 제4(67-92) 공야장公冶長 제5(93-119) 옹야雍也 제6(120-147) 술이述而 제7(148-184) 태백泰伯 제8(185-205) 자한子罕 제9(206-235) 향당鄕黨 제10(236-253) 선진先進 제11(254-278) 안연顔淵 제12(279-302) 자로子路 제13(303-332) 헌문憲問 제14(333-379) 위령공衛靈公 제15(380-420) 계씨季氏 제16(421-434) 양화陽貨 제17(435-460) 미자微子 제18(461-471) 자장子張 제19(472-496) 요왈堯曰 제20(497-499) 후기 / 공자 연보 / 관..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 박을미 지음/가람기획 머리말 제1부 고대음악 제2부 중세(450~1450) 음악 제3부 르네상스(1450~1600) 음악 제4부 바로크(1600~2750) 음악 참고문헌 찾아보기 31 보에티우스는 의 서장 부분에서 여러 그리스 철학자들, 특히 피타고라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된 음악musica의 개념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음악을 무지카 문다나Musica Mundana,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 그리고 무지카 인스트루멘탈리스Musica Instrumentalis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보에티우스의 이 같은 음악 분류법은 중세 음악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고대 그리스 이론가들처럼 음악의 수학적인 면과, 우주와 음악 사이의 ..
타르튀프 - 몰리에르 지음, 신은영 옮김/열린책들 타르튀프 혹은 위선자 동 쥐앙 혹은 석상의 잔치 인간 혐오자 역자 해설: 몰리에르의 작품 세계 몰리에르 연보 타르튀프 혹은 위선자 등장인물 페르넬 부인 오르공의 어머니 오르공 엘미르의 남편 엘미르 오르공의 아내 다미스 오르공의 아들 마리안 오르공의 딸이자 발레르의 연인 발레르 마리안의 연인 클레앙트 오르공의 처남 타르튀프 가짜 독신자, 위선자 도린 마리안의 하녀 루아얄 씨 집달리 집행관 플리포트 페르넬 부인의 하녀 장소 파리 158 집행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고 싶은 사람은 당신이 아니야. 많이 놀라셨을 텐데 이제 진정하시지요. 우리 국왕께서는 사기 행각을 끔찍이 싫어하십니다. 폐하의 눈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훤히 들여다보시어 어떤 사기꾼의 술수에도 넘어가..
식탁 위의 논어 (1) : 논어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식탁 위의 논어 (2): 공자의 시대적 배경과 '학이'편식탁 위의 논어 (3): 공자는 어떤 가치로 이상사회를 구현하려 했을까?식탁 위의 논어 (4): 학이편 계속 공자의 인이라고 하는 것이 어떤 관념이었나지금 생각해보면 그 당시 지배계층의 상호간의 인륜도덕을 가르키는 것이지 우리가 지금 막연하게 생각하기 쉬운 보편적인 인간애가 아니었다.인에 대해서 공자 스스로가 설명한 대목이 여기저기 나오는데 2가지가 특히 많이 인용.논어 안연편. 克己復禮爲仁 극기복례위인. 그 다음에 인은애인이다. 이 두가지. 여기서 극기라는 것은 자신의 욕망을 누르고 억압하는 것. 자기자신을 극복하는 것. 복례는 넓은 의미의 사회규범에 복귀하는것. 지금까지의 일탈에서 벗어나서 사..
「식탁 위의 논어」라는 이름으로 2011년 팟캐스트에 연재되었던 강의를 정리한다. 책은 미야자키 이치사다 번역의 논어를 가지고 공부를 하였고, 녹음파일과 책의 번역을 대조하면서 정리하였다. PODCAST 정보http://www.podbbang.com/ch/534 목차식탁 위의 논어 01 학이편(學而篇) 식탁 위의 논어 02 위정편(爲政篇) 식탁 위의 논어 03 팔일편(八佾篇) 식탁 위의 논어 04 이인편(里仁篇) 식탁 위의 논어 05 공야장편(公冶長篇) 식탁 위의 논어 06 옹야편(雍也篇) 식탁 위의 논어 07 술이편(述而篇) 식탁 위의 논어 08 태백편(泰伯篇) 식탁 위의 논어 09 자한편(子罕篇) 식탁 위의 논어 10 향당편(鄕黨篇) 식탁 위의 논어 11 선진편(先進篇) 식탁 위의 논어 12 안연편(..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1031 34강 모비딕20131107 35강 모비딕20131114 36강 모비딕 + 강의에 사용된 교재가 아닌 열린책들에서 출간된 모비딕을 읽고 강의를 들으니 페이지와 번역이 다르다. 페이지는 맞춰서 따라가면 되지만 중요한 부분에서 번역이 다르게 되어있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인다. 강의 정리 후 교재에 사용된 책을 구입해서 다시 읽을 예정이다. 20131107 35강 모비딕 문학고전작품들은 연대가 앞에 나온 것부터 읽는 것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 순서를 잘 정해야 한다. 188 (96..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031 34강 모비딕 20131107 35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 강의에 사용된 교재가 아닌 열린책들에서 출간된 모비딕을 읽고 강의를 들으니 페이지와 번역이 다르다. 페이지는 맞춰서 따라가면 되지만 중요한 부분에서 번역이 다르게 되어있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인다. 강의 정리 후 교재에 사용된 책을 구입해서 다시 읽을 예정이다. 20131031 34강 모비딕 모비딕은 1800년 후반에 나온 텍스트, 즉 현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900년대를 역사학계에서는 현대..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 - 테리 이글턴 지음, 황정아 옮김/길 서문 7 1. 마르크스주의는 끝났다? 13 2. 마르크스주의는 이론적으로만 괜찮다? 23 3.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이다? 39 4. 마르크스주의는 유토피아를 꿈꾼다? 69 5. 마르크스주의는 만사를 경제로 환원한다? 105 6. 마르크스에게 세계는 물질 덩어리였다? 123 7. 마르크스주의는 이미 사라진 노동계급에만 집착한다? 151 8.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폭력적인 정치 행동을 선호한다? 167 9. 마르크스주의는 전권을 가진 국가를 믿는다? 181 10. 마르크스주의는 최근의 급진적 운동에 기여한 바 없다? 193 결론 216 옮긴이의 말 : 다시 마르크스에서 출발하는 길 218 찾아보기 225 18 마르크스주의의 신빙성을 떨어뜨린 것은 자..
2013년에 진행된 강유선 선생님의 인문고전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2009년 인문고전강의 / 2011년 역사고전강의 / 2012년 서양철학사에 이어서 진행된 도서관 강의이다. 2009년 인문고전강의와 비교하여 오뒷세이아, 오셀로/맥베스, 모비딕이 추가되었고, 반대로 일리아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통치론, 법의 정신, 거대한 전환은 빠졌다.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호메로스, 오뒷세이아(천병희 옮김, 도서출판 숲), 6회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천병희 옮김, 문예출판사), 4회 소포클레스, 안티고네(천병희 옮김, 문예출판사), 2회 단테, 신곡(김운찬 옮김, 열린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