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7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 도서 목록: 조르주 뒤비: 서기 1000년과 서기 2000년 그 두려움의 흔적들 스티븐 툴민: 코스모폴리스 2006년 가을 풀로엮은집 철학의 기본개념들 강사: 강유원 필사: 임경준 철학의 기본개념들 7강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누군가를 갈아 ..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 존 엘리스 지음, 정병선 옮김/마티 글머리 문명 한복판의 사막‥‥‥‥‥‥‥‥‥7 1부 땅 속의 일상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다 ‥‥‥‥‥‥‥‥‥13 세상에서 점점 멀어져 ‥‥‥‥‥‥‥‥‥‥37 제발 전투 중에 죽을 수 있기를 ‥‥‥‥‥‥59 참호 밖으로 머리를 내밀지 마라 ‥‥‥‥‥82 2부 전투의 실상 한밤의 외출 ‥‥‥‥‥‥‥‥‥‥‥‥‥‥99 기계 시대의 ‘돌격 앞으로’ ‥‥‥‥‥‥‥111 돌격 속에 와해된 자아 ‥‥‥‥‥‥‥‥‥123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 ‥‥‥‥‥‥‥‥‥146 3부 고향에서 온 편지 덜 먹고 배설량도 줄이자 ‥‥‥‥‥‥‥‥185 살아 있다는 달콤한 만족감 ‥‥‥‥‥‥‥208 4부 금지된 우정 크리스마스가 선물한 평화 ‥‥‥‥‥‥‥237 땅 속보다 깊..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6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도서 목록: 콜링우드: 자연이라는 개념 홍성욱: 과학은 얼마나 철학의 기본개념들 6강 : 가치란 무엇인가강사: 강유원필사: 임경준 오늘 강의할 가치론은 철학에서 응용철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시간까지 강의했던 내용이 다소 딱딱하고 낯설었..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5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 도서 목록: 키케로: 수사학 움베르트 에코: 장미의 이름 2006년 가을 풀로엮은집철학의 기본개념들강사: 강유원필사: 임경준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철학적 개념들을 접하다 보면 그것의 사용범례가 우리의 일상적인 사용범례와 다른 까닭에 퍽..
판단력 비판 - 임마누엘 칸트 지음, 김상현 옮김/책세상 들어가는 말 제1장 미의 분석론 취미판단의 제1계기: 성질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2계기: 분량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3계기: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 취미판단의 제4계기: 대상들에 관한 만족의 양상 분석론 제1장에 대한 총주 제2장 숭고의 분석론 A. 수학적 숭고에 관하여 B. 자연의 역학적 숭고에 관하여 해제 - 비판철학의 완성과 낭만주의로의 여행 용어해설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 칸트의 중 제1부의『미의 분석론』과『숭고의 분석론』을 옮긴 것이다. 용어 해설 감성 Sinnlichkeit 일반적으로 감각과 관련된 일체의 능력을 지칭한다고 보면 된다. 칸트는 에서는 감성을 "대상에 의해서 우리가 촉발..
만(卍).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반양장) - 다니자키 준이치로 지음, 김춘미.이호철 옮김/문학동네 만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해설|다니자키 문학, 내밀한 탐미의 결정체 다니자키 준이치로 연보 만 33 "자, 이제 됐죠? 나 옷 입을게" 하는 걸 "싫어, 싫어. 더 보여줘"라며 저는 어리광 부리듯 고개를 흔들면서 졸랐어요. "아유, 웃겨. 이렇게 계속 발가벗고 있으면 어쩌라고." "어쩌기는, 아직 진짜 발가벗은 게 아니잖아. 이 하얀 것만 벗겨버리면!" 그렇게 말하고 제가 갑자기 어깨에 걸친 시트를 붙잡자 미스코 씨는 "하지마 하지마!" 소리치면서 기를 쓰고 안 뺏기려고 했는데, 그러다가 시트가 쭉 찢어져버렸어요. 저는 욱해서 분한 눈물을 가득 머금고 "그럼, 다 필요 없어. 미쓰코 씨가 그렇게 남 대하..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4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 도서 목록: 사이델: 고전적 형이상학에 대한 현대적 접근 풀로엮은집, 2006년 가을강좌철학의 기본개념들강사: 강유원필사: 임경준 4강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인문학에 대한 사회적 호응이나 지원이 없다 해서 징징거리면 안 된다. 한국은 인문..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3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 도서 목록: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 비판 풀로엮은집, 2006년 가을강좌철학의 기본개념들강사: 강유원필사: 임경준 3. 비판과 종합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것을 정리해보겠다.근대철학은 진리의 규준과 근거를 신에게서 구하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서 구한..
** 2013-06-25 정리 시작** 2013-07-22 정리 완료 BC 4300년 > BC 2500년 메소포타미아에 도시 문명이 일어나다황화 유역에 앙사오 문화와 룽산문화 형성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에 인더스 문명 발생 / 이집트 통일 왕조 출현 / 초기 헬라딕·크레타문명 시작 BC 2400년 > BC 1810년 단군왕검, 고조선을 세우다중국 최고(最古)의 하왕조 성립 / 바빌로니아에 최초의 중앙집권적 통일 국가 성립 / 그리스인, 발칸반도 남부에 들어오기 시작함 / 이집트, 중왕국 시대 개막 BC 1792년 > BC 1500년 고바빌로니아, 첫 세계지도 제작탕왕, 은왕조를 세움 / 인도, 아리아인의 이동 시작 / 이집트, 힉소스의 지배를 받음 / 크레타문명과 미케네문명 흥성 BC 1470년 > BC..
곁에 두는 세계사 - 수요역사연구회 엮음/석필 머리말 일러두기 선사시대 연표 : 구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고대 연표 : BC4000년~AD394년 중세 연표 : AD395년~AD1453년 근대 연표 : AD1454년~AD1875년 현대 연표 : AD1876년~AD2000년 부록: 주요 국가의 역대 왕조·통치자·연호 일람 찾아보기 Ⅰ 찾아보기 Ⅱ 참고문헌 연표정리 고대 BC 4300 ~ AD 394 BC4300 메소포타미아, 전기 우바이드 문화 형성3100 이집트, 초기왕조시대 형성2500 인더스 문명, 계획 도시 형성2333 단군, 고조선 건국1700 바빌로니아, [함무라비법전] 편찬1600 중국, 은 왕조 시작(상나라 전기)1500 아리아인, 인도 펀자브 지역 정착911 헤브라이 왕국, 남북으로 분열8..
칠일 밤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현대문학 차례 일일 밤-신곡 이일 밤-악몽 삼일 밤-천 하룻밤의 이야기 사일 밤-불교 오일 밤-시 육일 밤-카발라 칠일 밤-실명 에필로그 옮긴이의 글 일일 밤-신곡 48 다시 한번 나는 이렇게 열린 방식으로 을 읽으며 느끼는 기쁨을 그 누구도 빼앗을 권리는 없다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나주에 이에 대한 평들이 나올 것입니다. 즉 신화를 언급하는 각각의 대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단테가 어떻게 베르길리우스의 위대한 시를 차용했고, 그것을 번역하면서 어떻게 더 낫게 만들었는지 알고 싶은 욕망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처음에 우리는 어린아이의 믿음을 가지고서 책을 읽고, 그 책에 빠져야만 합니다. 그러면 그 책은 끝까지 우리와 함께 갈 것입니다. 이 책은 수..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의 철학의 기본개념들 2강의 교재: 소광희.이석윤.김정선 강의 목차: 1강 : 철학의 개념 -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 2강 :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3강 : 진리와 인식 2 - 비판과 종합 4강 : 존재의 탐구: 형이상학과 존재론 5강 : 보편과 개체, 물질과 생명 6강 : 가치란 무엇인가 7강 : 선의지와 공리주의, 미와 예술 8강 : 사회철학과 역사철학의 기본개념들 도서 목록: 데카르트: 방법서설 서준식: 옥중서한 2006년 가을 풀로엮은집철학의 기본개념들강사: 강유원필사: 임경준2강: 진리와 인식 1 - 진리의 기본 개념, 합리와 이성 # 지혜가 만들어지는 과정지난 시간에 외워오라 한 문장을 되새겨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