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 지음, 최형익 옮김/비르투출판사 제2판에 부치는 마르크스의 서문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 계급투쟁과 보통선거제의 정치적 동학 / 최형익 마르크스와 근대성의 문제: 그의 「브뤼메르 18일」에 대한 푸코의 계보학적 읽기 / 이구표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10 헤겔은 어디선가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들은 반복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으로 끝난다는 사실 말이다. 당통에 대해서는 꼬씨디에르가, 로베스피에르에 대해서는 루이 블랑이, 1793~1795년의 산악당에 대해서는 1848~1851년의 산악당이 그러하며,..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 - 테리 이글턴 지음, 황정아 옮김/길 서문 7 1. 마르크스주의는 끝났다? 13 2. 마르크스주의는 이론적으로만 괜찮다? 23 3.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이다? 39 4. 마르크스주의는 유토피아를 꿈꾼다? 69 5. 마르크스주의는 만사를 경제로 환원한다? 105 6. 마르크스에게 세계는 물질 덩어리였다? 123 7. 마르크스주의는 이미 사라진 노동계급에만 집착한다? 151 8.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폭력적인 정치 행동을 선호한다? 167 9. 마르크스주의는 전권을 가진 국가를 믿는다? 181 10. 마르크스주의는 최근의 급진적 운동에 기여한 바 없다? 193 결론 216 옮긴이의 말 : 다시 마르크스에서 출발하는 길 218 찾아보기 225 18 마르크스주의의 신빙성을 떨어뜨린 것은 자..
l.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ll.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들 lll.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문헌들 1.반동적 사회주의 a)봉건적 사회주의 b)소부르주아적 사회주의 c)독일 사회주의 또는"진정한"사회주의 2.보수적 사회주의 또는 부르주아적 사회주의 3.비판적-유토피아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lV.여러 반정부 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입장 1872년 독일어판 서문 1882년 러시아어판 서문 1883년 독일어판 서문 1888년 영어판 서문 1890년 독일어판 서문 1892년 폴란드어판 서문 이탈리아의 독자들에게 후주 트로츠기,1937년 아프리칸스어판 서문 홉스봄,1998년 Modern Edition서문 역자후기_선언 160주년에 부쳐 공산당 선언 7 하나의 유령이 유럽에 떠돌고 있다 - 공산주의라는 유령. 옛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