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논 - 플라톤 지음, 이상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 작품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작품해설10 프로타고라스는 정치적 탁월함의 교사를 자처했지만, 고르기아스는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설득하는 수사학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할 뿐이다. 이처럼 소피스트들 내부에서도 입장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11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는 비판과 논쟁의 역사를 새롭게 개척한 철학자들이라는 점에서 공통되더라도, 그리스 철학의 미시적 전개사 속에서 보면 그들의 입장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메논》은 이 세 철학자 들 간의 차이의 양상과 논쟁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13 소크라테스는 메논의 질문에 직접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