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철학 공부의 기초 - 하비 맨스필드 지음, 이재만 옮김/유유 들어가며당파적 차이자연적 올바름의 기원정치적 동물신적 정치영원한 공화국정치 체계부르주아적 자아역사로의 전회더 읽을거리 15 각 당파는 예컨대 교사 대 주식중매인 구도로 자기네 이해 관계를 옹호하지만, 공통되는 무언가에, 곧 공동선에 호소하기도 합니다. 당파들은 자기네 이해 관계를 옹호하면서 저마다 공동선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와 동시에 당파들은 공통되는 누군가에게, 곧 그들 간의 쟁점을 판결해 줄 공통 심판에게 호소합니다. 17 오늘날 정치학과를 지배하는 이런 정치학은 정치철학의 경쟁자입니다. 자연과학을 흉내내는 정치학은 시민과 정치가의 당파적 쟁점을 제기하기는 커녕 회피하고, 당파적인 어휘를 과학 용어로 대체합니다. 그런 부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