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타사르의 구원 이야기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김관희/바오로딸(성바오로딸) 추천사 1장 쟁점과 고발 2장 신약성경 3장 오리게네스와 아우구스티노 4장 토마스 아퀴나스 5장 심판의 개별적 성격 6장 성인 성녀들의 증언 7장 블롱델의 딜레마 8장 지옥의 영원성 9장 악이 스스로 소멸할까? 10장 사탄 11장 정의와 자비 232 하느님의 자비와 정의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사표인 토마스 아퀴나스를 보는 것으로 족할 것이다. 그는 「신학대전」에서 "하느님의 자비와 정의"를 다루면서 역시 안셀모의 대어록을 인용한다. "당신이 죄인을 벌하신다면, 그것은 응당 옳은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행동에 결과가 상응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그들을 용서하신다고 해도 그것 역시 옳은 일입니다. 왜냐하..
발타사르의 지옥 이야기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지음, 김관희 옮김/바오로딸(성바오로딸) 이 책에 대하여 1장 지옥론 현황 2장 그리스도교 신앙 3장 성경의 가르침 4장 타인을 위한 지옥? 5장 남이 잘못되는 꼴을 보고 좋아할 사람이 있을까? 6장 내가 저주받아서라도 형제가 구원되기를 바라기 7장 만인의 구원을 희망해야 하는 이유 부록 총체적 구원론_ 의미/여러 가지 반응 50 이 외에도 모든 이의 구원에 호의적인 텍스트는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위협성 언명 때문에 이런 텍스트들의 진의가 희석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위협성 언명들이 보편적 구원에 대한 언명들의 가치와 효력을 무산시켰다는 것이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다름 아니라 보편적 구원 언명은 모든 이가 구원될 수 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