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아함경 - 고익진 엮음/담마아카데미 고익진: 한글 아함경1. 수행본기경2. 불설중본기경3. 반니원경4. 아함경정선 범례4. 아함경정선은 편자가 장·중·잡·중일 4아함에서 중요한경전을 정선하여 정연한 교리적 체계로 새로 엮은 것이다. 아함경은 장아함 22권, 중아함 60권, 잡아함 50권, 중일아함 51권, 총 183권에 이르는 방대한 양일뿐만 아니라, 교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잡아함은 현재 권수가 흐트러진 착간의 상태로 전해지고 있어, 초학자를 위해서는 아함경을 그렇게 새로 엮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5. 아함경정선의 맨 처음에 외도를 비판하는 경전들을 모았는데, 이것은 불교가 당시 인도의 여러 가지 잘못된 종교사상을 비판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한 것이므로, 불교를 바로 이해하는 것도 거기에서부..
불교의 체계적 이해 - 고익진 지음/광륵사 머리글 제1부 불교의 근본교설제2부 불교, 어떻게 믿을 것인가?제3부 불교와 기독교제4부 한국사회와 불교 윤리제5부 일불승의 보살도 24 '깨달음'이라는 말은 계시라는 말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인간의 인식으로는 알 수 없는 것을 신이 특정한 인간에게 보여주는 것이 계시라면, 깨달음은 인간이 스스로의 노력으로 마침내 진리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26 중생들의 '깨닫는 능력'을 점진적으로 성숙시켜 가서 마침내 최상의 깨달음을 얻게 한다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론을 불교에서는 방편시설이라고 부른다. 방편은 접근한다는 말이고 시설은 알아내게 한다는 뜻이다. 64 연기라는 말은 '연하여 결합해서 일어난다'는 뜻인데, 각 지분은 자기 앞의 지분에 연하여 일어나,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