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교 사상사 - 폴 틸리히 지음, 송기득 옮김/대한기독교서회 독일어판 엮은이의 머리말 영어판 엮은이의 머리말 옮긴이의 말 머리말: 도그마의 개면 제1장 그리스도교 신학의 예비 제2장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시작 제3장 서방의 그리스도교적 사고의 발전 제4장 중세교회 제5장 트리엔트회의로부터 현재까지의 로마 가톨리시즘의 발전 제6장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 제7장 종교개혁 이후의 프로테스탄트 신학의 발전 문헌해제 41 우리는 이제껏 '카이로스'의 시대에서 그리스 철학의 부정적 측면을 다루어 왔는데, 거기에는 적극적인 요소도 실재한다. 우리는 먼저 플라톤적 전통을 들 수 있다. 초월의 관념 곧 경험적 현실을 초월한 그 무엇이 존재한다는 사상은 플라톤적 전통에 의해서 그리스도교 신학의 준비를 위해 마련되어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