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 관한 분석적 비판 - 김영건 지음/라티오 1장 맹자의 성선설2장 도덕적 마음과 자연적 마음3장 심외무물(心外無物), 심외무리(心外無理), 심외무사(心外無事)4장 언어와 도5장 노자의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장자의 내재적 실재론6장 동양철학과 글쓰기7장 노장의 사유 문법과 철학적 분석8장 유가의 현대화와 지성 주체9장 모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과 칸트10장 모종삼의 '지적 직관'과 칸트의 심미성11장 유(類)의 자연성과 규약성12장 보편철학과 한국 성리학 1장 맹자의 성선설32 도덕의 문제가 바로 실천적 영역에서 성립하는 문제라면 그 실천이 유지되기 위해서 맹자가 생각한 것처럼 반드시 성선설이 요구되는 것인가? 본성적으로 착한 존재이거나 악한 존재이거나에 상관없이 중요한 사실은 인간이 바로 여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