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김진송 지음/현실문화 1. 책을 위한 변명 2. 우리에게 현대란 무엇인가 3. 현대를 바라보는 눈 4. 물질과 과학의 시대 5. 지식인, 룸펜과 데카당 6. 유행과 대중문화의 형성 7. 신식 여성의 등장 8. 도시의 꿈과 도시의 삶 9. 현대적 인간의 탄생 13 현대가 시작될 무렵의 상황을 상상하기 위해 간단하지만 널리 알려진 두 개념축을 마련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나(주체)'와 '나에게 다가오는 다른 것(타자)'이며, 다른 하나는 '새로운 좋은 것(현대, 서구)'과 낡은 나쁜 것(봉건, 전통)'이라는 개념이다. 그 두가지 각기 다른 줄기는 서로 교차하면서 여러가지의 가능한 패러다임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낡은 나'와 새로운 남'을 가정하면 이에 대응하는 '나쁜 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