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창비 목차 제1장 자연주의와 인상주의 1. 1830년대의 세대 2. 제2제정기의 문화 3. 영국과 러시아의 사회소설 4. 인상주의 제2장 영화의 시대 제1장 자연주의와 인상주의 1. 1830년대의 세대 16 이 시대의 가장 특징적 산물이며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예술형태인 자연주의 소설은 그 창시자들의 낭만주의적 취향, 이를테면 스땅달의 루쏘주의라든가 발자끄의 멜로드라마적 과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세대의 비낭만적 정신을 표현한다. 계급투쟁이라는 범주에서의 정치적 사고와 더불어 경제적 합리주의는 소설가에게 사회적 현실과 사회심리학적 매커니즘의 연구를 불가피하게 했다. 17 18세기까지는 작가란 단지 자기 독자층의 대변인데 불과했다. 하인과..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창비 목차 제1장 로꼬꼬와 새로운 예술의 태동 1. 궁정예술의 해체 2. 새로운 독자와 관객 제2장 계몽시대의 예술 1. 시민극의 형성 2. 독일과 계몽주의 제3장 낭만주의 1. 혁명과 예술 2. 독일 및 서유럽의 낭만주의 제1장 로꼬꼬와 새로운 예술의 태동 1. 궁정예술의 해체 25 '귀족'(gentlilhomme)이 16세기의 정신적 대표자이고 '신사'(honnête homme)가 17세기의 그것이라면 18세기의 정신적 대표자는 '교양인', 즉 볼떼르의 독자이다. 프랑스 시민이 모범으로 받드는 볼떼르를 알지 못하고서는 프랑스의 시민계급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한 사람도 있었지만, 그러나 또한 볼떼르가 영주와 같은 태도를 하고 왕들을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창비 목차 제1장 르네쌍스 제2장 매너리즘 제3장 바로끄 제1장 르네쌍스 1. 르네상스의 개념 14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자연과학적 세계상이 본질적으로 르네쌍스의 산물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세계상의 형성을 가능케한 새로운 방향정립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 중세의 유명론(Nominalismus, nominalism)이다. 하나하나의 사물에 대한 관심이나 자연법칙에 관한 연구, 그리고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자연주의적 감각은 결코 르네쌍스에 이르러 처음 시작된 것이 아니다. 15세기의 자연주의는 하나하나의 사물에 대한 개체적 파악이 이미 뚜렷이 나타나고 있던 고딕적 자연주의의 계속에 불과한 것이다. 15 르네쌍스에 의한 자연의 발견..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창비 목차 1권-선사시대부터 중세까지 제1장 선사시대 제2장 고대 오리엔트의 도시문화 제3장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4장 중세 제1장 선사시대 1. 구석기시대: 마술과 자연주의 15 구석기 시대 자연주의 미술의 특징은, 근대 인상주의의 출현이 있기까지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직접적이고 순수하며 어떠한 이지적인 작용이나 제약도 받지 않는 형태로 시각적인 인상을 재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15 우리 현대인들이 복잡한 기구를 동원해서야 발견해낸 갖가지 뉘앙스를 구석기 시대 화가들은 그대로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능력은 신석기 시대에 이미 상실되었으며, 이 단계에서 벌써 인간은 감각적 인상의 직접성 대신 개념의 고정불변성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