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테판 츠바이크의 에라스무스 평전 -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정민영 옮김/아롬미디어 옮긴이의 글 1장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은 자유로운 삶 2장 탐험의 시대, 열광의 시대 3장 신학교에서 보낸 어두운 청년시절 4장 시대를 밝히는 위대한 스승의 초상 5장 종교의 르네상스를 꿈꾸던 시절 6장 인문주의의 위대성과 한계 7장 투쟁가의 천성을 타고난 루터와의 갈등 8장 종교전쟁에서 중립을 지키려는 고독한 투쟁 9장 루터와의 위대한 논쟁 10장 에라스무스의 패배와 방랑 11장 에라스무스의 유산 27 "난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자신의 좌우명을 마지막까지 사실로 만들며 그는 자기 자신만을 대표하는 사람이라는 자세를 끝까지 지킨다. 예술가나 에라스무스의 뜻에 따르는 정신적 인간은 정치가들이나 지도자들, 그..
도스토옙스키를 쓰다 -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원당희 옮김/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공감 얼굴 삶의 비극 운명의 의미 도스토옙스키의 작중 인물들 사실주의와 환상 건축술과 열정 한계의 초월자 신에 대한 고뇌 삶의 승리 삶의 비극 21 도스토옙스키의 경우 우리의 첫 인상은 늘 공포이며, 그다음에야 비로고 그의 위대성이다. 그의 운명 역시 얼핏 보면 농부같고 비범함이라곤 없는 그의 얼굴처럼 대단히 비속해 보인다. 우선 그의 얼굴은 고통으로 일그러져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60년이란 세월은 온갖 고통의 수단으로 그의 허약한 육체를 고문했기 때문이다. 궁핍이라는 줄칼은 그의 청춘과 노년의 단맛을 빼앗고, 육체적 고통의 톱날의 그의 뼈마디를 갈았으며, 결핍이라는 나사는 그의 자율신경까지 파고든다. 그런가 하면 신경..
위로하는 정신 -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유유 역자 서문 츠바이크가 남긴 유언 머리말 몽테뉴에 대한 회고 1 평민에서 귀족으로 2 몽테뉴가 된 몽테뉴 3 창작의 10년 4 자아를 찾아서 5 자신만의 보루 지키기 6 여행 7 마지막 나날들 원서 편집자 후기 몽테뉴 연보 서문 몇몇 작가들은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생애의 모든 시기에 활짝 열려 있다. 이를테면 호메로스, 셰익스피어, 괴테, 발자크, 톨스토이 같은 작가들이다. 그 밖에 특정한 순간에야 비로소 그 완전한 의미가 분명하게 밝혀지는 작가들도 있다. 몽테뉴는 후자에 속한다. 아직은 젊어서 경험이 부족하거나 좌절을 겪은 적이 없는 사람은 그를 제대로 평가하거나 존중하기가 어렵다. 자유롭고도 흔들림이 없는 그의 사색은 우리 세대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