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강명구 옮김/나무연필 옮긴이의 글 | 허시먼이 인도하는 ‘화이부동’의 정치경제학 머리말 1장 서론과 이론적 배경 2장 이탈 3장 항의 4장 이탈과 항의를 결합할 때 겪는 특별한 어려움 5장 게으른 독점은 어떻게 경쟁을 악용하는가 6장 공간적 복점과 양당체제의 역학 관계에 대하여 7장 충성심의 이론 8장 미국의 이데올로기와 관행을 통해 살펴본 이탈과 항의 9장 이탈과 항의의 최적 조합은 왜 어려운가 부록 A. 단순 도형으로 살펴본 이탈과 항의 B. 이탈과 항의 사이의 선택 C. 반전 현상 D. 몇몇 전문가적 재화의 가격 상승과 품질 하락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E. 가입 조건의 엄격성이 집단 활동에 미치는 효과: 실험 디자인 찾아보기 38 도덕주의자들..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이근영 옮김/웅진지식하우스 추천사│허무주의는 우리의 적이다 _ 우석훈 서문│그들에게 매혹당하지 않기 위하여 1장. 시간을 거꾸로 돌리려 했던 사람들 _ 지난 200년을 지배해온 반동 레토릭 2장.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_ 역효과 명제 3장. “그래 봐야 기존의 체제가 바뀌지 않을 것이다”_ 무용 명제 4장. “그렇게 하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질 것이다”_ 위험 명제 5장. 세 명제의 불편한 동거 6장. 보수에게서 배우는 진보 레토릭 7장. 어떻게 새로워질 것인가 후기 주 찾아보기 21 나와 함께 포드재단의 모임에 참여했던 랠프 다렌도르프는 모임을 여는 개막사를 통해, 영국 사회학자 토머스 마셜이 1949년에 했던 서유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