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하 - 에릭 홉스봄 지음, 이용우 옮김/까치 제2부 황금시대3. 사회혁명―1945-90년4. 문화혁명5. 제3세계6. '현실사회주의' 제3부 산사태7. 위기의 몇십 년8. 제3세계와 혁명9. 사회주의의 종식10. 전위예술의 사멸 ― 1950년 이후의 예술11. 마법사와 도제 ― 자연과학12. 새로운 천년기를 향하여 제2부 황금시대3. 사회혁명―1945-90년402 20세기 후반의 가장 극적이고 가장 영향이 널리 미친 사회적 변화이자 우리를 과거세계로부터 영원히 단절시킨 변화는 농민층의 사멸이다. 왜냐하면 신석기시대 이래 대부분의 인간은 토지와 가축에 의존하여 살아왔거나 어부로서 바다에서 먹을 것을 수확해왔기 때문이다. 영국을 제외하고는, 공업화된 나라들에서조차 20세기가 ..
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상 - 에릭 홉스봄 지음, 이용우 옮김/까치 20세기 - 개관 제1부 파국의 시대1. 총력전의 시대2. 세계혁명3. 경제적 심연 속으로4. 자유주의의 몰락5. 공동의 적에 대항하여6. 1914-45년의 예술7. 제국들의 종식 제2부 황금시대1. 냉전2. 황금시대 20세기 - 개관22 세기 중반의 15년 동안 소련은 자신이, 전인류의 3분의 1을 이루는 '사회주의 진영'의 수뇌이자, 잠시 자본주의의 경제성장속도를 앞지른 것처럼 보였던 경제의 수뇌가 되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을 것이다. 33 마르크스와, 그 말고도 낡은 가치관 및 사회적 관계의 해체를 예언했던 사람들의 말은 옳았다. 자본주의는 영구적으로 계속 해서 혁명적 변화를 일으키는 힘이었다 논리상, 자본주의는 자기 자신..
만들어진 전통 - 에릭 홉스봄 외 지음, 박지향 외 옮김/휴머니스트 - 한국어판 서문 - 역자 서문 [ 서장 ] 전통을 발명해내기 - 에릭 홉스봄 [ 1장 ] 전통의 발명 : 스코틀랜드 고지대의 전동 - 휴 트레버 로퍼 [ 2장 ] 소멸에서 시선으로 : 낭만주의 시기 웨일스의 과거를 찾아서 - 프리스 모건 [ 3장 ] 의례의 역사적 맥락과 그 의미 : 영국 군주정과 '전통의 발명'(1820-1977) - 데이비드 케너다인 [ 4장 ] 빅토리아 시대 인도에서 권위의 표상 - 버나드 S. 콘 [ 5장 ] 식민지 아프리카에서 전통의 발명 - 테렌스 레인저 [ 6장 ] 대량 생산되는 전통들 : 유럽, 1870~1914 - 에릭 홉스봄 - 색인 - 역자 서문 전통의 창조가 특히 국민국가 형성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났..
제국의 시대 - 에릭 홉스봄 지음, 김동택 옮김/한길사 파국에 처한 부르주아 세계/김동택 서문 머리말 1. 혁명 100주년 2. 경제가 속도를 바꾸다 3. 제국의 시대 4. 민주주의의 정치 5. 세계의 노동자들 6. 휘날리는 깃발 : 민족들과 민족주의 7. 누가 누구인가? 부르주아의 불확실성 8. 신여성 9. 변화된 예술 10. 손상된 확실성 : 과학 11. 이성과 사회 12. 혁명을 향하여 13. 평화에서 전쟁으로 글을 마치며 87 100주년이란 19세기 후반의 발명품이다. 미국 형명 100주년(1876)과 프랑스 혁명 100주년(1889) 사이의 어느 시점에서 - 둘은 일상적인 만국바람회에서 축하되었다 - 교육받은 서구세계의 시민들은 세계 최초의 처교 건설과 미국의 독립선언 그리고 바스티유의 폭풍 사..
제 1부 혁명의 서막 01. '여러 국민들의 봄' 재 2부 전개 과정 02. 대호황 03. 하나가 된 세계 04. 분쟁과 전쟁 05. 국민들의 형성 06. 민주주의 세력들 07. 패배자들 08. 승리자들 09. 변화하는 사회 제 3부 결과 10. 토지 11. 인간의 이동 12. 도시/산업/노동자 계급 13. 부르주아의 세계 14. 과학/종교/이데올로기 15. 예술 16. 결론 제 1부 혁명의 서막 01. '여러 국민들의 봄' 85 1848년의 혁명은 잠재적으로 최초의 전 세계적 혁명이었으니, 그 직접적 영향은 1848년 페르남부쿠(브라질)에서 일어난 반란, 몇년 뒤 멀리 콜롬비아에서 일어난 반란 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어떤 의미로 그것은 그런 유의 '세계혁명'의 한 범례였다. 그 이후 혁명가들은 바로..
혁명의 시대 - 에릭 홉스봄 지음/한길사 이중혁명과 자본주의 세계의 형성/ 김동택 제 1부 전개과정 01. 1780년대의 세계 02. 산업혁명 03. 프랑스 혁명 04. 전쟁 05. 평화 06. 혁명 07. 민족주의 제 2부 결과 08. 토지 009. 산업세계를 향하여 010. 재능에 따른 출세 011. 노동빈민 012. 이데올로기: 종교 013. 이데올로기: 현세 014. 예술 015. 과학 016. 결론: 1848년을 향하여 이중혁명과 자본주의 세계의 형성 40 그는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가운데 그것이 압도적으로 승리하게 된 시기를 '장기 19세기'로 규정한 다음, 다시 그것을 세 단계(즉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로 구분한다. [혁명의 시대]에서는 그 가운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