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유마경 - 이시다 미즈마로 지음, 이원섭 옮김/현암사 1. 만인을 위한 것2. 공(空)과 반야(般若)3. 부처와 보살4. 공(空)의 실천5. 병6. 구원7. 침묵8. 정토(淨土)와 예토(穢土) 1. 만인을 위한 것12 이 연기를 하나의 틀로서 제시 한 것은 이것이 있을 때, 그것이 있다. 이것이 일어날 때, 그것이 일어난다. 라는 것으로, 여기서 이것이라 하는 것은 연을 말한 것이어서 즉 조건을 가리키며, 그것이란 존재를 말한다. 따라서 이 틀은 여기에 어떤 것이 존재하는 것은 거기에 응한 조건이 있어서 존재한다는 것, 또 그런 조건 자체도 처음부터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어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말하는 셈이 된다. 그러고 보면, 이것은 결국 나라고하는 존재의 주체적인 것과 객체적인 것은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