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 - 스티븐 하우 지음, 강유원.한동희 옮김/뿌리와이파리 한국어판 서문 서론: 나는 오늘자 신문을 읽는다 1장 누가 제국주의자인가? 2장 육상제국 3장 해양제국 4장 제국의 종말과 그 이후 5장 제국을 연구하고 판단하기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그림 목록 더 읽을거리 옮긴이의 말 조선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그것에서 벗어난 뒤 대한민국이 세워진 지 60년이 넘었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는 식민지 시대와 관련된 용어들이 여러 사람의 입과 매체에서 자주 오르내린다. 날카로운 정치적 쟁점이 되기도 하며 서로 편을 갈라 악을 쓰고 싸우는 일까지도 벌어진다. 형식적으로 따지면 일본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이다. 대한민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땅 위에 세워졌고, 더 나아가 그 일에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한국어판 서문 7 독일어판 서문 15 제1장 제국이란 무엇인가? 21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 필수적인 구분 57 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 117 제4장 문명화와 야만인 경계 : 제국적 질서의 과제와 특징 185 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241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 305 지도 365 감사의 말 388 옮긴이의 말 390 참고문헌 397 찾아보기 428 관련 공부 글 보기 책읽기 20분 | 2017 | 02 제국 1 책읽기 20분 | 2017 | 02 제국 2 책읽기 20분 | 2017 | 02 제국 3 책읽기 20분 | 2017 | 02 제국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10 [ 원문보기]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뮌클러, 참조 “강한 적에 막혀 제국이 좌절한 경우보다 훨씬 더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은 제국이 자기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하지 못한 약한 상대에 의해 무릎을 꿇게 되는 경우이다.”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 냉전 이후 미합중국(아메리카 제국)이 ‘유일하게 남은 초강대국’으로 남은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을 남겨두고 있는데 이 두 챕터는 앞서 1,2,3,4장에 나온 얘기들의 후속편에 해당한다. 오늘날의 상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어서 자세하게 얘기하려면 굉..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9 [원문보기]제4장 문명화와 야만인 경계: 제국적 질서의 과제와 특징 제국 지배 정당화 담론의 핵심은 ‘평화’. ‘로마의 평화’(Pax Romana) 제국의 사명과 정당화 야만인 담론 번영에 대한 약속 “제국의 사명이 제국의 중심부에 있는 엘리트를 주로 향하고, 야만인 담론을 통해 제국적 공간의 질서가 그것을 둘러싼 무질서와 구별된다면, 번영에 대한 약속은 제국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모든 거주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때 그것은… 제국이 자기의 경계 안에서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약속하는 확실한 이익이다.” “제국이 번영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고, 야만인 담론을 통해 상상의 경계를 세우고, 제국적 사명에 대한 설득력을 유지하고,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8 [원문보기]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3) – 제국의 발전과 쇠퇴는 상승과 하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건은 위기 국면인 저점을 빠르게 통과하는 것과 상승 국면에 오래 머무는 것이다. – ‘아우구스투스의 문턱’은 상승 국면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개혁 조치들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옥타비아누스의 개혁내용 1) 로마 농촌 귀족들의 신뢰를 획득함으로써 도시의 귀족을 견제 2) 헌정과 행정 질서에 대한 영향력 3) 행정체계 재구성을 통해 과두 집단의 축재蓄財 공간이었던 속주들을 효율적으로 통치되는 제국의 일부로. 이 모든 것은 “부패에 맞설 수 있는 행정 엘리트의 창출에 달..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6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7일 by 강유원 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1) 마이클 만, 권력의 네 가지 원천 팽창 단계: 군사적 우위, 경제적 우위(물리적 위력) 공고화 단계: 정치적 힘, 이데올로기적 힘(무형의 위력) — 지배공간의 통치와 관련된 비용의 규모, 제국이라는 짐을 짊어지려는 주민들의 의지 도일Doyle, “아우구스투스의 문턱”: 팽창에서 공고화로 이행하는 과정, 로마공화정(Respublica Romana)에서 로마제국(Imperium Romanum)으로. 참조.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5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0일 by 강유원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위신 추구와 권력경쟁: 정치적 제국주의 이론 – 이론의 원천: 마르크스가 에서 제시한 ‘보나파르트주의’. 좌·우 세력이 균형상태에 이르러 어느 한 쪽도 다른 쪽은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상황에서, 쿠데타를 통해 찬탈한 지배권을 대외전쟁을 거듭함으로써 연장하려는 시도에서 이 전쟁이 제국주의 전쟁으로 전개되는 것. 권력과 영향력을 두고 벌이는 국가들 간의 경쟁을 설명하는 방식 — 소프트파워 제국과 패권의 구별 – 마이클 만, 찰머스 존슨, 헨리 키신저 등의 구별방식 – 하인리히 트리펠: 패권은 국가가 경계가 뚜렷한 반면 제..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4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13일 by 강유원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식민주의적 제국주의를 설명하는 이론들– 경제적 제국주의 이론(제국주의를 자본주의적 합리성에 따른 것으로 이해)홉슨: 제국주의는 금융자본의 추동에 의한 것, 경제적으로 진보한 사회에서의 내적 분배기획로자 룩셈부르크, 레닌: 자본주의의 내재적 압박이 불러온 팽창 중심부-주변부 문제영제국: 인도와 아프리카에서는 영토 제국의 비용과 부담을 짊어졌으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느슨한 지배, 군사적 직접 개입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선택적 개입과 철수주변부에서의 변화: 새로운 지구화 과정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들, 기존의 제국주의 이론으로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3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6일 by 강유원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도널드 트럼프 당선 이후 미합중국 사태에 대한 최소한의 개념적 준거 제도적 영토국가로서의 미합중국과 제국으로서의 미제국(American Empire)의 구분이 요구됨 제국, 제국주의에 관한 이론들 1) 자본주의의 자기파괴적 동학: 경제적 제국주의 이론 2) 위신추구와 권력 경쟁: 정치적 제국주의 이론 3) 패권과 제국의 구분 평소에 우리가 접해보지 않았던 까탈스런 학술적인 용어들이 많이 있고 그러다보니 읽고 있으면 내가 제대로 읽은 건가 그런 생각이 드는 분들이 꽤 있을지 모르겠다. 그래도 쉽게 생각하고 간단하게 요약..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2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1월 30일 by 강유원 제1장 제국이란 무엇인가 제도적 영토국가와 제국의 구별 제도적 영토국가는 국가간 경계가 분명하나 제국은 ‘반투과적 경계’를 가지고 있다. 제국은 문화적·경제적 매력에 의해 그 위력이 관철된다. 제국과 패권국의 구별 동맹 —> 패권 —> 지배 제국과 구별되는 제국주의는 제국이 되려는 의지가 있음을 의미한다. 세계제국은 시간적 지속과 공간적 팽창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영토국가의 정치적 경계와 주권 너머의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 이 책은 다 해서 6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번째 장이 "제국이란 무엇인가?"이고, 여기에 "제국의 특징에 대한 간략한 설..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1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1월 23일 by 강유원 이 책이 다루는 것 제국적 지배의 유형, 팽창과 공고화의 형식, 제국건설을 완성시키는 매체들 한국어판 서문 – 동아시아 세계에서 전통적 제국이었던 중국의 재등장은 한국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 한때 동아시아의 제국적 행위자였던 일본을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가? – 폭력과 억압에 의존하는 제국건설과 경제적 침투의 형태로 또는 문명의 지배에 기초해 이루어지는 제국건설을 구분해야 한다. – 제국 건설의 네 가지 힘: 정치적 힘, 경제적 힘, 군사적 힘, 이데올로기적·문화적 힘 오늘 읽을 책은 《제국》이다. 번역본의 부제는 평천하의 논리라고 되어있는데, 세계지배의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