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사 - 헨리 채드윅 지음, 박종숙 옮김/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01. 예루살렘에서 로마로 02. 신앙과 직제 03. 확장과 성숙 04. 저스틴과 이레니우스 05. 부활절, 단일신론 논쟁, 그리고 버툴리안 06.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오 오리겐 07. 제3세기의 교회, 국가, 사회 08. 콘스탄티누스와 니케아 공의회 09.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아리우스 논쟁 10. 4세기에 이교와 기독교 사이에 벌어진 투쟁 11. 율리아누스로부터 테오도시우스까지의 교회와 국가와 사회 12. 금욕주의 운동 13. 오리겐에 관한 논쟁과 요한 크리소스톰의 비극 14. 그리스도의 위격 문제 15. 라틴 기독교 사상의 발전 16. 교황제 17. 교회와 야만족 18. 예배와 예술 19. 결론 참고문헌 7 최초의 그리스도..
속죄와 새 언약 - 마이클 고먼 지음, 최현만 옮김/에클레시아북스 감사의 말 | 11서론: 속죄의 초점을 바꾸다 | 171장 새 언약의 약속 | 292장 신약에 나타난 십자가와 새 언약: 복음서와 사도행전 | 633장 신약에 나타난 십자가와 새 언약: 바울에서 요한계시록까지 | 934장 메시아의 죽음에로 세례 되다: 새 언약의 실천- 십자가를 본 받는 신실함 | 1335장 메시아의 죽음에로 세례 되다: 새 언약의 실천- 십자가를 본 받는 사랑 | 1776장 평화의 (새) 언약 | 2197장 메시아의 죽음에로 세례 되다: 새 언약의 실천- 십자가를 본 받는 평화 | 2758장 통합적인 새 언약 속죄 모델: 참여와 연기 | 327인용 문헌 | 383주제 색인 | 397인명 색인 | 405성경 및 고대 문헌 ..
라이프 성경사전 - 중(中) - 가스펠서브 엮음/생명의말씀사 + 성경책을 읽으면서 궁금한 부분들을 찾아보기 위해 구입 목차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부록 성경 Review 1. 성경역사 연대표 2. 성경개관 3. 구약 시대의 근동 4. 성경 & 정경 5. 신구약 성경 분류표 6. 외경과 위경 7.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본 신구약 대조 8. 삼위 하나님의 거룩한 명칭들 9. 시작의 책 창세기 10. 천지 창조의 순서 11. 성경의 주요 언약들 12. 이스라엘의 12지파 13. 출애굽 직전에 시행된 10대재앙 14. 출애굽 연대와 그 여정 15. 십계명 16. 이스라엘의 광야 생활 중 장막 배치 및 행진순서 17. 성막의 모형도 18.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 19. 구약 시대 ..
한 번 받은 구원 영원한가 - 마이클 호튼 외 지음, 이한상 옮김/부흥과개혁사 들어가는 글1장 고전적 칼빈주의 관점-마이클 호튼 2장 온건 칼빈주의 관점-노먼 가이슬러 3장 개혁주의적 아르미니우스주의 관점-스티븐 애슈비 4장 웨슬리주의적 아르미니우스주의 관점-스티븐 하퍼 주요 용어 해설 편집자.집필자 소개 8 들어가는 글기독교 신학의 역사에서 가장 뜨겁게 논쟁이 되어 온 주제 가운데 하나는 성도의 견인에 대한 것이다. 아마 이에 대한 강렬한 관심의 이유는 견인 교리가 구원의 확신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종종 그리스도인들은 "내가 구원 받은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과 "나는 나의 구원에 있어서 영원히 안전한가?"라는 질문을 연관시킨다. 이 가운데 한 질문에 대한 통상적인 대..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역사 - 위르겐 몰트만/대한기독교서회 제1부 삼위일체의 역사에 관하여01. "나는 하나님 아버지를 믿습니다." / 하나님을 가부장적으로 말할 것인가, 비가부장적으로 말할 것인가02. 어머니와 같은 아버지와 그의 자비의 능력 03. 신정론에 대한 물음과 하나님의 고통 04. "나는 하나님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 그리스도를 형제로서 말하기05. 희생자와 가해자를 위한 정의 06. "성령의 사귐" : 삼위일체적 성령론 07. "성령이여 오소서, 온 피조물을 새롭게 하소서." 08. 삼위일체 하나님의 초대하는 일치성 제2부 삼위일체적 역사 이해에 관하여01. 그리스도교의 희망 : 메시아적인가 아니면 초월적인가? / 요아킴 피오레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화적 대화02. 그리스도..
이야기 마가 - 데이빗 로즈 외 지음, 양재훈 옮김/이레서원 추천의 글 | 제2판 서문 서론 | 이야기로서의 마가복음제1장 | 마가복음서제2장 | 내레이터제3장 | 배경제4장 | 플롯제5장 | 등장 인물 1: 예수제6장 | 등장 인물 2: 정치 지도자들, 제자들, 백성들결론 | 독자 후기 | 대화로서의 읽기: 읽기의 윤리 부록 1: 마가복음의 전체적인 문학적 분석을 위한 연습부록 2: 토막 이야기의 내러티브 분석을 위한 연습주석 서론 | 이야기로서의 마가복음25 마가복음은 여러 문학 양식을 골고루 반영하는 복합된 장르일지도 모른다. 많은 사람들은 마가가 새로운 양식의 문학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이 새로운 문학 양식은 다름 아닌 하나님이 나사렛 예수를 통해 하셨고, 앞으로도 하실 것에 대한 '기쁜 소식'..
통째로 예수 읽기 - 김진 지음/왕의서재 들어가는 말 ┃ 4생각하는 기독교인이어야 산다! 프롤로그 ┃ 81장 예수, 어떤 시대를 살았나?2장 예수 출생에 얽힌 비밀들3장 예수는 기독교인이 아니라 유대교인이었다4장 예수, 세상의 무대에 등장하다5장 예수의 하나님 나라 6장 예수 삶의 양식樣式7장 예수의 영성8장 예수의 죽음과 그 이후 9장 예수의 길을 따라서에필로그 ┃ 358참고 문헌 ┃ 362 들어가는 말5 예수가 하나님을 유대교에서 해방했듯이 지금은 기독교에 갇혀 있는 '예수'를 해방시켜야 한다. 그것은 그가 기독교의 창시자도 아니며, 더욱이 "기독교의 예수"로만 남기에는 너무도 소중한 삶을 살다간 존재이기 때문이다. 우상처럼 굳어진 기독교의 예수를 살아 있는 진리로 다시 드러내지 않고서 기독교에 희망..
공관복음서 이해 - 키트 F.니클 지음, 이형의 옮김/대한기독교서회 머리말제1장 복음서의 시작제2장 왜 복음서를 저술하는가? : 마가복음제3장 왜 복음서를 확대하는가? : 마태복음제4장 왜 복음서를 확대하는가? : 누가복음제5장 보충적 고찰참고문헌역자후기 마가복음의 개요 I. 서론 1:1-13 1. 세례 요한의 메시지 1:1-8 2. 예수 의 수세 1:9-11 3. 시험 받으심 1:12-13 II. 갈릴리와 그 인근에서 예수의 사역 1:14-8:26 1. 갈릴리에서 1:14-5:43 1) 가르침과 기적의 사역 1:14-45 (1) 예수의 선포 1:14-15 (2) 처음 제자들을 부르심 1:16-20 (3) 요약: 권세를 가지고 가르치심 1:21-22 (4) 귀신을 쫓아내심과 병고치심 1:40-45 (5)..
역사적 예수 논쟁 - 로버트 M. 프라이스 외 지음, 손혜숙 옮김/새물결플러스 역사적 예수 탐구: 서론 _폴 로즈 에디, 제임스 K. 베일비) 1. 소실점에 선 예수 _로버트 M. 프라이스 2. 예수와 공동 종말론의 도전 _존 도미닉 크로산 3. 인간 예수 배우기: 역사비평과 문학비평 _루크 티모시 존슨 4. 예수를 기억하며: 어떻게 역사적 예수 탐구가 길을 잃었는가? _제임스 D. G. 던5. 역사적 예수: 복음주의 관점 _대럴 L. 복인명 색인 / 역자후기 역사적 예수 탐구: 서론 _폴 로즈 에디, 제임스 K. 베일비) 73 제3의 탐구 내에서 예수의 모델들.물론 어느 탐구자에게나 궁극적인 목표는 나사렛 예수에 관해 역사적으로 책임 있는, 그래서 다른 학자들이 수긍하거나 더 나아가서 역사기술학적으로 ..
기독교의 발흥 - 로드니 스타크 지음, 손현선 옮김, 이현수 감수/좋은씨앗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2장 초기 기독교의 계급적 기반 3장 유대인 선교: 성공의 개연성과 성공 요인 4장 역병, 네트워크, 개종 5장 기독교의 성장과 여성의 역할 6장 도시 제국의 기독교화: 정량적 접근 7장 도시의 혼돈과 위기: 안디옥의 사례 8장 순교자: 희생은 합리적 선택이었다 9장 기회와 조직 10장 미덕에 관한 소고(小考) 도서 소개: http://ratiopress.com/editio/?cat=3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17 결국 기독교의 발흥에 관한 모든 물음은 하나로 수렴된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어떻게 로마 제국 변방에서 시작된 미약하고 이름 없는 메시아 운동이 고전시대의 이방 종교를 밀어내고 ..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기독교 역사 - 마이클 콜린스 외 지음, 김승철 옮김/시공사 목차 기독교의 뿌리 교회와 제국 기독교 제국 유럽의 개종 십자군부터 르네상스까지 종교개혁 계몽주의와 신앙의 부흥 선교와 혁명 세계적 교회 기독교의 뿌리 / 기원전 2000 ~ 기원후 64 기독교는 지나간 과거에 깊이 뿌리 내려 있다. 그래서 오늘날의 독자들이 기독교 신앙의 깊이와 넓이를 충실히 이해하려면 기독교가 지닌 유대교 근원을 살펴보지 않으면 안 된다. 기독교인들에게 큰 의미를 지니는 신조나 사상들은 구약성서나, 구약 성서에 등장하는 사건과 위대한 지도자들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구약성서 이야기의 주 무대인 팔레스타인은 예수가 태어났을 당시 로마제국 변경에 있는 하나의 식민지에 불과하였다. 하지만 성장한..
중세: 기독교 역사46-62 사도 바울로 전도여행을 시작하다. 새로운 지방교회들이 증대하다. 4세기까지 교회가 만들고 공인한 신약성서가 집필되다. 도나투스주의가 북아프리카에서 교회 분리를 일으키다. 324 니케아 공의회가 아리스우파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니케아 신경을 만들다; 1차 세계 교회 공의회. 337 최초의 그리스도인 황제인 콘스탄티노플 대제가 죽다. 354-430 히포의 아우구티누스가 활동하다. 381 콘스탄티노플 공의회가 니케아 신경을 승인하다; 2차 세계교회 공의회. 5세기 성 패트릭이 아일랜드를 개종시키다. 431 에페소스 공의회; 3차 세계교회 공의회 480년경-550년경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 베네딕투스 교단의 창시자 451 칼케돈 공의회. 동방의 비칼케돈 교회가 분리됨; 4차 세계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