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 이광수 지음/푸른역사 책머리에 인도 지도 인도 종교사 연표 1부 총론 1. 힌두교란 무엇인가 2. 종교학과 종교사 2부 힌두교 형성사 1. 힌두교의 두 가지 원천 2. 베다후後 시기의 힌두교의 체계화와 불교의 발생 3. 서사시 시기의 종교의 대중화 4. 초기 중세의 종교 5. 후기 중세의 힌두교 6. 근대 힌두교 3부 힌두교의 성격과 의의 1. 여러 전통의 통합 2. 구동 장치로서 바르나(카스트) 3. 관용과 박해 그리고 개종 4. 범신론의 여러 층위 5. 윤회의 시간과 역사로서의 신화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머리에 6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역사를 일원론과 윤회와 탈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 보면 어떨까? 원인과 결과가 과학의 잣대로 분명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