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정치 - 막스 베버 지음, 전성우 옮김/나남출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926 30강 직업으로서의정치(1)20131010 31강 직업으로서의정치(2) 관중, 《관자》존 롤스, 《정의론》마사 누스바움, 《시적 정의》C.B 맥퍼슨,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나치시대의 일상사》이언 커쇼, 《히틀러》노마 필드,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20131010 31강 직업으로서의정치(2)현재 우리가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권력과 정의'라는 주제로 묶을 수 있다 막스베버의 책 뒤에 보면 책임윤리와 신념윤리가 나오는데 베버 같은 사람은 ..
직업으로서의 정치 - 막스 베버 지음, 전성우 옮김/나남출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926 30강 직업으로서의정치(1)20131010 31강 직업으로서의정치(2)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학문》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경제와 사회》 앤서니 다운스,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정병호,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20130926 30강 직업으로서의정치(1)흔히 막스 베버와 칼 마르크스가 19세기 사회과학의 탁월한 텍스트를 만들어낸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데 막스 베버는 어떻게 보면 그 중요성에 비해서 사람들에게 숭배를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