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012-100 엔리코 모레티, 직업의 지리학 전통적 제조업은 지리적 여건이 중요했지만 혁신기업의 입지는 그러한 배경에 따라 결정되지 않는다. 혁신 일자리는 예상하지 못했던 곳에서 발견되고 인적자원과 인간의 독창성을 집중적으로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혁신기업은 그 자체의 수와 일자리는 적지만 그것과 관련된 지역서비스를 늘려 추가 일자리를 간접적으로 창출한다. 혁신도시의 입지와 성공은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결정되는데, 끌어당기는 힘은 두툼한 노동시장과 전문적 서비스 제공자들의 존재, 그리고 창의적 근..
직업의 지리학 - 엔리코 모레티 지음, 송철복 옮김/김영사 들어가는 글1. 제조업의 흥망2. 스마트 노동 : 마이크로칩, 영화, 승수효과3. 거대한 분리의 물결4. 끌어당기는 힘5. 이동성과 생활비의 불평등6. 빈곤의 덫과 매력적인 도시들7. 새로운 인적 자본의 세기감사의 글옮긴이의 글미주 관련 공부 글 보기책읽기 20분 | 06 직업의 지리학 1책읽기 20분 | 06 직업의 지리학 2 들어가는 글26 미국의 혁신 부문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이냐가 아니라, 그보다는 미국의 혁신 중심지들, 즉 오스틴,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더럼, 시애틀 같은 곳들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말이다. 다시 말해, 더 싼 지역으로 갈 수 있는데도 무엇 때문에 혁신적 기업들은 이처럼 비싼 지역에 한데 모이느냐라고 물어야 할 것..
직업의 지리학 - 엔리코 모레티 지음, 송철복 옮김/김영사 책읽기 20분 | 직업의 지리학 [ 원문보기] 3. 낙후된 지역에서 혁신이 가능하려면 다양한 정책들이 요구된다. 낡은 도심을 재개발하여 성장정책을 펼쳐야 하고 혁신부문이 자리잡아 뭉침의 힘이 생길 때까지 정부의 단호하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학계의 스타를 유치하여 지역의 경제발전을 이끌게 하는 방법이나 기업과 고용주를 유치해 근로자의 수요를 만들어 내는 수요 측면의 접근법도 있다. 동시에 새로운 인적자본을 육성하기 위해 교육개혁도 필요하다. 대학이 설립되면 학문적 연구의 결과로 기업이 창설되거나 지식 전파의 효과로 혁신부문을 발전시키고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을 통한 의료서비스로 수요효과를 볼 수도 있다. 대졸자의 수효가 많을수록 지역경제는 변화하..
직업의 지리학 - 엔리코 모레티 지음, 송철복 옮김/김영사 책읽기 20분 | 직업의 지리학 [ 원문보기] 엔리코 모레티(지음), 송철복(옮김), , 김영사, 2014.원제: Enrico Moretti, The New Geography of Jobs: How Innovation is Reshaping How We Work and Where We Live (2012) 전체 개요세계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제조업 중심지가 변화하면서 미국 내의 오래된 제조업 본거지들은 낙후되고 있는 반면 새로운 혁신 중심지들은 성장하고 있으며, 근로자의 소득부터 교육수준, 기대수명에 이르기까지 지역간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혁신도시는 지리적 물리적 입지로써 설명되는 전통산업과 다른 방식으로 생성되며 서로 뭉쳐있으려는 경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