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유교화 과정 -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이훈상 옮김/너머북스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말 서론 사회와 이데올로기 1장 신유학 수용 전의 과거, 고려 사회의 재구성 2장 신유학, 조선 초기 개혁 입법의 이데올로기적 기초 3장 종법과 계승 문제, 그리고 제사 4장 상장례의 변화 5장 상속, 균분에서 장자 우대로 6장 신유학의 입법화와 여성에게 일어난 결과 결론 종족사회의 출현 저자 후기 옮긴이 개정판 후기 옮긴이 초판 후기 부록1 친족용어 풀이와 개념 부록2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연구 업적 21 한국 사회의 재조직화가 엄청났음을 보여주려면 17세기에 나타나서 20세기까지 존속한 한국 사회의 특징을 간단히 묘사하는 것이 순서일 것 같다. 바로 이러한 사회상이 '전통 한국사회'라는 통념이 되었으며, 이것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