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009-097 카를로 치폴라, 대포, 범선, 제국 14세기말 이후의 유럽 인들이 어떻게 머나먼 향신료 제도로 가는 항로를 개척했을 뿐 아니라 모든 주요 해로를 장악하고 해외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는가? 무엇이 유럽 인으로 하여금 불안한 수비적 위치에서 대담하고 공격적인 팽창 국면으로의 극적이고 갑작스러운 전환을 가능케 했는가? 이 물음에 답을 하려면 해로를 장악할 수 있는 군사력에 관한 사실들을 가져오면 될 터인데, 그것은 커다란 대포를 실은 범선이었다는 것. 산업혁명시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기술문명에 관한 ..
+ 책읽기 20분의 녹음파일과 강의 내용은 이제 라티오출판사에서 배포된다. [책읽기 20분] 대포 범선 제국 – 3Posted on 2016년 8월 1일카를로 치폴라(지음), , 미지북스, 2010.2장 유럽 너머의 대포와 범선5. 중국은 왜 우수한 대포를 만들지 못했는가6. 정크선의 탄식7. 아시아, 기술 혁신에서 길을 잃다 에필로그1. 대포로 무장한 배와 상업적 모험의 결합2. 해상의 승리, 지상의 패배3. 대양에 군림한 유럽4. 야포의 발전과 불균형의 심화5. 포탄 너머로 가는 길 중국이 만족스러운 대포를 생산하지 못한 원인: “기술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가치관과 문화적 자부심, 제도의 문제”중국의 정크선이 효과적인 전함으로 발전하지 못한 원인: “함포의 전략적 가능성과 잠재력을 깨닫지 못했고 그..
+ 책읽기 20분의 녹음파일과 강의 내용은 이제 라티오출판사에서 배포된다. [책읽기 20분] 대포 범선 제국 – 1 Posted on 2016년 7월 18일카를로 치폴라(지음), , 미지북스, 2010. 이탈리아 어 판, Vele e cannoni(범선과 대포) 영어판, Guns, Sails and Empires(대포 범선 그리고 제국) 차례 1장 유럽의 도약 1. 초창기의 거대한 대포 2. 대포 부족에 시달린 에스파냐 3. 영국의 혁신, 주철 대포의 등장 4. 영국산 대포, 유럽 시장을 평정하다 5. 에스파냐의 좌절 6. 네덜란드의 자립 노력, 대륙으로의 기술 확산 7. 스웨덴의 맹렬한 추격 8. 독일과 러시아의 진입 9. 영국의 연료 위기, 스웨덴산 대포를 부르다. 10. 해군과 대포를 향한 프랑스의..
대포, 범선, 제국 - 카를로 M. 치폴라 지음, 최파일 옮김/미지북스 서문프롤로그 1장 유럽의 도약 2장 유럽 너머의 대포와 범선에필로그부록1부록2감사의 말참고 문헌역자 후기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1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2 4 서문파니카 교수가 썼듯이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캘리컷 도착부터 1947년 영국군의 인도철수 그리고 1949년 중국에서 유럽 해군의 철수까지 지난 450년은 근본적으로 매우 주목할 만한 일관성을 보여준다. 그 일관성이란 아시아의 광대한 대륙을 해상력이 좌지우지했다는 것과 바다를 장악한 유럽 민족들의 지배로 요약할 수 있다." 12 프롤로그1453년 5월 28일 투르크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