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제대로 다시 읽기 | 마커스 J. 보그 - 마커스 J. 보그 (지은이),염승철 (옮긴이)동연출판사머리말 옮긴이의 글 제1부 기초 제2부 히브리 성서 제3부 신약성서 30 이 옛 방식의 그리스도교 이해는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전통적인 그리스도교였다. 그것은 근본주의자들과 많은 보수적인 그리스도인들 속에서 여전히 일반적인 이해이다. 나는 그것을 여섯 개의 형용사를 가지고 기술하고 그 각각을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첫째, 이미 언급했듯이, 옛 방식의 그리스도교 이해는 (보다 완고한 형태이든 보다 유연한 형태이든 간에) 문자주의적(literalistic)이었다. 둘째, 그것은 교리적(doctrinal)이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그리스도교의 핵심 교리 내용을 믿는 것을 의미했다. 사도신경이나 혹은..
마커스 보그의 고백 | 비아의 말들 | 마커스 J. 보그 - 마커스 J. 보그 (지은이),민경찬,손승우 (옮긴이)비아들어가며 1. 상황은 중요하다 2. 신앙은 여정이다 3. 하느님은 실재하며 신비이다 4. 구원은 내세보다 여기에서의 삶에 관한 것이다 5. 예수는 성서의 규범이다 6. 성서는 문자적으로 사실이 아니어도 참일 수 있다 7. 예수의 십자가 죽음은 중요하다 - 그러나 우리의 죗값을 치렀기 때문은 아니다 8. 성서는 정치적이다 9. 하느님은 정의를 열망하시며 가난한 이들을 깊이 돌보신다 10. 그리스도인은 평화와 비폭력으로 부름받았다 11.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하느님처럼 사랑하는 것이다 15 일흔이 되니 뜻밖의 변화도 있다. 놀랍게도, 알 수 없는 힘이 솟아나는 것이다. 삶을 살며 배운 가장..
그리스도교 신앙을 말하다 - 마커스 J. 보그 지음, 김태현 옮김/비아 서문01 그리스도교 언어를 말한다는 것 …… 24. 주의 기도 25. 결론 - 무엇이 위기인가: 그리스도교의 심장 서문12 이 책의 목적은 성서와 근대 이전의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길어 올린 그리스도교 언어의 대안적인 의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나는 오늘날 그리스도교 언어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다루며, 이를 성서에 바탕을 두고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내려오는 의미와 비교하고 대조할 것이다. 그리고 문자 그대로 이해하거나 천국과 지옥이라는 틀로 해석하는 방식이 그리스도교 언어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볼 것이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교 언어를 말하는 것'의 보다 고전적이고 진정한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13 이 책은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