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세계.언어 - 시모다 마사히로 외 지음, 김천학.김경남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초기 대승경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대승불교기원 재고 시모다 마하시로 제2장 반야경의 형성과 전개 와타나베 쇼고 제3장 반야경의 해석 세계 스즈키 겐타 제4장 『화엄경』 원전의 역사-산스크리트 사본 단편 연구의 의의 호리 신이치로 제5장 『화엄경』의 세계상-특히 성문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타케 스스무 제6장 동아시아의 화엄세계 김천학 제7장 『법화경』의 탄생과 전개 오카다 유키히로 제8장 『법화경』의 중국적 전개 간노 히로시 제9장 『법화경』 수용의 일본적 전개 미노와 겐료 101 반야경은 최초로 대승(마하연)을 제창한 초기 대승경전의 선구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반야경 사본 중에 가장 오래된 바주르 사본..
대승불교의 실천 - 스에키 후미히코 외 지음, 김재권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대승불교의 실천 스에키 후미히코 제2장 계율과 교단 이자랑 제3장 신앙과 의식 하카마야 노리아키 제4장 대승불교의 선정실천 야마베 노부요시 제5장 불탑에서 불상으로 시마다 아키라 제6장 보살과 보살신앙 가츠모토 가렌 제7장 대승계-인도에서 중국으로 후나야마 도루 제8장 중국 선사상의 전개-「평상무사」와 「깨달음」 츠치야 다이스케 10 빌헬트는 '실천'이라는 것에 네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이하에서는 빌헬트의 논의를 부연해가면서, 실천의 종류를 살펴보자. 첫째는 불교도라는 의미로 규정된 가르침을 믿고, 규정된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넓은 의미의 실천이다. 구체적으로는 계 · 정 · 혜 삼학의 실천 등에 해당되고..
대승불교의 탄생 - 사이토 아키라 외 지음, 이자랑 옮김/CIR(씨아이알) 제1장 대승불교의 성립 사이토 아키라 제2장 경전을 창출하다-대승 세계의 출현 시모다 마사히로 제3장 대승불전에서 법멸과 수기의 역할-반야경을 중심으로 와타나베 쇼고 제4장 변용하는 붓다-불전(佛傳)의 현실미와 진실미 히라오카 사토시 제5장 상좌부불교와 대승불교 바바 노리히사 제6장 아비달마불교와 대승불교-불설론을 중심으로 혼조 요시후미 제7장 힌두교와 대승불교 아카마츠 아키히코 제8장 중세 초기에 있어 불교 사상의 재형성-언설의 이론을 둘러싼 바라문 교학과의 대립 요시미즈 기요타카 머리말 대승불교는 외형적으로 보는 한 기원전후 무렵에 탄생하였다. 반야경 계통의 경전을 시작으로 법화경, 무량수경, 십지경, 입법계품 등의 많은 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