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와 정토 - 시모다 마사히로,닛타 토모미치(지은이),원영상 (옮긴이) 제1장 정토사상의 이해를 향해서 시모다 마사히로 제2장 대승의 붓다의 연원 닛타 토모미치 제3장 정토에 태어나는 여인들-문헌학으로서 불교학의 의의 폴 해리슨 / 야오 후미 번역 제4장 『유마경』의 불국토 다카하시 히사오.니시노 미도리 제5장 아촉불과 그 불국토 사토 나오미 제6장 아미타불 정토의 탄생 스에키 후미히코 제7장 정토와 예토-『비화경(悲華經)』 개관 이와가미 카즈노리 제8장 정토교의 동아시아적 전개 니시모토 테르마 7 첫 번째 반론은 불교학의 방법론을 검토하기 위한 중요한 문제 제시이다. 이것에 대한 회답은 정토사상 연구의 기본적 의의의 이해와 관련되어 ..
지혜.세계.언어 - 시모다 마사히로 외 지음, 김천학.김경남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초기 대승경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대승불교기원 재고 시모다 마하시로 제2장 반야경의 형성과 전개 와타나베 쇼고 제3장 반야경의 해석 세계 스즈키 겐타 제4장 『화엄경』 원전의 역사-산스크리트 사본 단편 연구의 의의 호리 신이치로 제5장 『화엄경』의 세계상-특히 성문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타케 스스무 제6장 동아시아의 화엄세계 김천학 제7장 『법화경』의 탄생과 전개 오카다 유키히로 제8장 『법화경』의 중국적 전개 간노 히로시 제9장 『법화경』 수용의 일본적 전개 미노와 겐료 101 반야경은 최초로 대승(마하연)을 제창한 초기 대승경전의 선구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반야경 사본 중에 가장 오래된 바주르 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