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이상인 옮김/길(도서출판)해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인류 최초의 문학 이론서 9 제1~5장 시 예술 자체와 그 개별적 종류에 대한 고찰 제1장 저술의 목표, 모방으로서의 예술, 모방의 수단 59 제2장 모방의 대상 71 제3장 모방의 방식 75 제4장 시 예술의 기원, 시 예술의 개별적 형태의 등장과 그 역사적 발전 81 제5장 희극의 정의와 역사, 서사시와 비극의 기초적 비교 93 제6~22장 비극 자체와 그 개별적 부분에 대한 고찰 제6장 비극의 정의와 그 부분들 99 제7~12장 구성의 조직을 위한 통칙 제7장 전체적 완결성과 크기의 적정성 115 제8장 통일성 121 제9장 성격의 보편성과 가능성의 개별적 실현으로서 행위의 개연적 또는 필연적 모방 125 제1..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손명현 옮김/고려대학교출판부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시학 해설 아리스토텔레스 연보 + 강유원 선생님의 강독 일정에 맞추어 책을 읽는다. 제1장 우리의 주제는 작시술인데, 우리는 그 일반적인 본질과, 그 여러 종류와, 그 각 종류의 기능과, 좋은 시는 그 플롯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및 시의 구성부분은 얼마나 되며, 어떠한 성질의 것인가, 그리고 또 이와 동일한 연구 영역에 속하는 다른 사항에 관하여 우선 자연적 순서에 따라 제1차적인 사항에서부터 시작하여 논하려고 한다. 서사시, 비극시, 희극시, '디티람보스' 및 대부분의 관악과 현악은 모두 모방의 양식이지만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상호 간에 차이가 있다. 즉 모방의 매재가 그 종류에 있어서 상이하든지, 혹은 그 대상이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