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연기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 | 인도철학과 불교 연기설은 경전상에서 '매우 심오한 법', 혹은 '알기 어려운 법'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처럼 그 의미를 알기 어려우며, 각 지분 사이의 관계 역시 분명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12연기를 논리적인 상관관계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고래로 일 찰나 중에 이러한 12지가 동시에 함께 일어난다는 찰나연기설, 12지는 여러 생에 걸쳐 시간을 건너뛰어 상속한다는 것으로, 아득히 먼 과거의 무명과 '행'에 의해 '식' 등의 현생의 결과가 초래되고, 현생의 '유'에 의해 아득히 먼 미래세의 생과 노사가 초래된다는 원속연기설, 12찰나에 걸친 인과상속이라는 연박연기설, 그리고 과거 · 현재 · 미래의 생에 걸친 5온의 상속이라는 분위연기설 등 네 가지 해..
인도철학과 불교 - 권오민 지음/민족사 프롤로그 - 다양성과 통일성1장 인도철학의 일반적 특성2장 '우파니샤드'의 철학3장 '바가바드 기타'의 이념4장 인도의 반(反) 전통철학5장 초기불교6장 아비달마불교7장 대승불교의 성립8장 중관9장 유식10장 여래장11장 천태12장 화엄13장 선14장 정토에필로그 - 숲과 마을 프롤로그 - 다양성과 통일성7 불교는 결코 단일하지 않다. 불타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된 불교는 결국 ·인간이성의 역사와 함께 하였다고도 할 수 있다. 서로 대립하기도 하였고 지양하기도 하였으며 종합하기도 하였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불타의 말씀이 그의 깨달음을 근거로 한 가설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말씀이 바로 그의 깨달음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깨달았던 것인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