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학문 - 잠바티스타 비코 지음, 조한욱 옮김/아카넷 이 저작의 개념 이 저작의 서론 몫을 하면서 안표지에 있는 그림에 대한 설명 제1권 원리의 확립에 관하여 제2권 시적 지혜에 관하여 제3권 참된 호메로스의 발견에 관하여 제4권 민족들이 밟는 과정 제5권 민족이 다시 일어났을 때 인간사의 반복 옮긴이 해제 옮기면서 [1] 테베 사람 케베스가 도덕에 관한 도판을 만들었던 것처럼 여기에서 우리는 문명에 관한 도판을 보여주려고 하는데, 그것은 독자가 이 저작을 읽기 전에 그 개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책을 읽은 뒤에도 상상력이 제공할 수 있는 도움을 통해 이 책의 개념을 더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2] 지구의 또는 자연의 세계 위에 올라서 있으며, 관자놀이에 날개가 달..
비코 자서전 - 잠바티스타 비코 지음, 조한욱 옮김/교유서가 옮긴이 서문 I. 유소년기(1668~1686) II. 바톨라 시기의 자기완성을 위한 공부(1686~1695) III. 나폴리로 귀환: 초기 비코 철학의 형성(1695~1707) IV. 비코 철학의 두번째 형성(1707~1716) V. 비코 철학의 결정적인 형태와 1723년의 공채(1717~1723) VI. 『새로운 학문』 초판본(1723~1724) VII. 부차적 저술들(1702~1727) VIII. “반론”과 『새로운 학문』 재판본(1728~1731) 부록 I. 비코의 말년: 빌라로사 후작이 1818년에 계속하여 쓰다 부록 II. 시 「절망한 자의 사랑」 부록 III. 시 「절망한 자의 사랑」 원문 15 잠바티스타 비코 Giambatti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