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황의 세계 - 찰스 P.킨들버거/부키 1. 역자 서문 2. 저자 서문 3. 서론 4. 제1차 세계대전으로부터의 회복 5. 붐 6. 농업 불황 7. 1929년의 주식 시장 붕괴 8. 깊은 수렁으로의 전락 9. 1931년 10. 디플레이션의 격화 11. 세계경제회의 12. 회복의 시작 13. 금 블록의 굴복 14. 1937년의 경기 후퇴 15. 해체되는 세계 경제와 재군비 16. 1929년의 불황에 관한 한 가지 설명 17. 참고 문헌 제14장 1929년의 불황에 관한 한 가지 설명 387 원래의 문제로 돌아가자. 1929년 세계 대공황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불황이 그토록 광범위하고 그토록 장기적이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실물 요인 때문인가, 화폐 요인 때문인가? 그 기원은 미국에 있는가, 유럽에 있..
경제 강대국 흥망사 1500-1990 - 찰스 P. 킨들버거 지음, 주경철 옮김/까치 서문감사의 글 제1장 서론제2장 국가 주기제3장 선두의 연쇄적 변화제4장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제5장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제6장 저지대 국가들제7장 영원한 도전자 프랑스제8장 영국, 전형적이 사례제9장 지각생 독일제10장 미국제11장 다음 차례는 일본?제12장 결론 주용어 해설역자 후기참고 문헌 서론13 이 책은 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역할에 대한 논쟁이 한창일 때 쓰였다. 이때 미국의 일부 정치학자들은 미국은 "지도적 위치에 있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비해서 역사에 대한 안목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국가든 리더의 지위에서 떨려날 수 있고 또 실제 그래 왔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대외적 과일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