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12-034 논어, ‘선진’先進 편 “자로, 증석, 염유, 공서화가 모시고 앉아 있었다.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하루쯤 너희보다 어른이지만 나를 생각하지 말아라. 보통 때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 하나 혹여 너희를 알아주면 무엇을 하겠는가...점아 너는 어떠하냐. 비파 타기를 중단하고 소리를 굵게 낸 뒤 대답하였다. 세 사람이 갖추어 말한 것과는 다릅니다.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무엇을 탓하겠는가. 각자 자신의 뜻을 말한 것이다.말하였다. 늦봄에 봄옷으로 갈아입고 성인이 된 자 5, 6명 동자 6, 7명과 기수..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622-020 논어의 첫 구절 人不知而不溫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음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공자는 그것을 참는게 군자라고 하고 있으니 이는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견디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역설적으로 말하고 있다. 남이 나를 알아준다는 느낌, 그것은 어쩌면 스쳐도 죽는 독약일지도 모른다. 강유원, 강유원의 책과 세계, 공자, 논어 논어, 정말 누구나 쉽게 인용할 수 있는 고전이다. 특히 논어의 첫 구절은 논어를 읽지 않은 사람도 알 수 있다. 배우고 때로..
논어를 읽다 - 양자오 지음, 김택규 옮김/유유 서문: 동양고전 읽는 법 제1장 『논어』의 연원 제2장 스승으로서의 공자 제3장 공자는 진리의 확성기가 아니었다 제4장 본래의 공자로 돌아가기 제5장 스승에게는 정답이 없었다 결론 지금 공자를 읽는 의미 역자 후기: 자공의 눈에 비친 공자 31 『논어』 의 두 가지 발음 현대 중국어에서는 보통 '論語'(논어)의 첫 번째 글자인 '論'을 2성으로 읽습니다. 이렇게 읽는 것은 동한 말, 유희의 『석명』 「석전예」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논어』는 공자가 제자들과 나눈 말을 기록한 책이다. '論'은 '倫'(륜)이니 조리가 있다는 것이고, '語'는 '敍'(서)이니 자기가 하려는 말을 서술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여, 『논어』를 '조리있게 자기가 하려는 말을 ..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1121 37강 논어(1)20131128 38강 논어(2)20131205 39강 논어(3)20131212 40강 논어(4) 20131212 40강 논어(4)春秋라는 말이 봄하고 가을이라는 말인데 공자님이 春秋라는 말을 썼다. 언어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문화적인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춘추라고 말을 하면 봄여름가을겨울의 계절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고, 자연의 순환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동시에 역사를 가리키는 은유의 표현이기도 하다. 동시에 공자가 쓴 역사 책 이름이기도 하다. 동..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205 39강 논어(3) 유가는 왜 계속 고귀한 것에 대해서 자꾸 애기하는가. 그것이 없으면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 한없이 전락할 수 있기 때문. 현실 정치에 대해서만 계속하게 되면 나중에는 현실 정치 자체가 망가진다.. 그래서 막스베버도 Politik als Beruf, 직업이 아닌 소명이라는 의미로도 썼던 것. 그냥 계속해서 나아가야하는 idea..
공자 - 인간과 신화 - H.G. 크릴 지음/지식산업사 譯者의 말 著者序 I. 背景 배경 II. 孔子 공자 III. 儒敎 / 유교 後記 / 후기 35 주 왕조가 해를 거듭할 수록 초대 제후들의 자손들은 조상들과는 달리 더 이상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게 되었으며, 점점 더 왕의 명령을 무시하게 되었다. 그들 상호간의 전쟁은 더욱 빈번하여졌으며 강대국은 약소한 이웃 나라의 영토를 병탄하였다. 공자가 나기 220년 전인 기원전 771년, 봉건 제후들과 '이적(夷狄)'의 연합군이 주의 서도를 공격하여, 왕은 살해되었고 '서주' 시대는 종말을 고하였다. 그 후의 왕들은 동쪽으로 왕도를 옮겼는데, 오늘날의 허난성 뤄양이 바로 그곳이다. 이 때문에 이 이후의 시대를 '동주'로 부르는데, 동주의 왕들은 일부 제..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세상을 바꾸리라 - 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장원철 옮김/한길사 + 책이 절판되어 구하지 못하고 교보문고 e-book으로 구매하여 읽음 목차 1. 동서남북을 떠도는 사람 2. 유교의 원류 3. 공자의 자리 4. 유교의 비판자 5. 논어에 담긴 뜻은 - 옮긴이 주(註) - 지은이 후기 : 깜깜한 바다 위를 홀로 떠다니듯이 - 옮긴이 후기 : 인간 세상을 향한 이상과 광기 - 찾아보기 14 2,000년에 걸친 관료제 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봉건성의 기초를 세운 것은 공자였지만, 역사가 전개되는 중에도 혁명가들은 대부분 유교에서 혁명의 근거를 찾았다. 그리고 근대에서도 그 유파 가운데 하나인 공양학파가 체제 부정을 주창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15 공자는 비천한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128 38강 논어(2) 324페이지에 논어 관련 지도가 있다. 지도를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춘추전국시대 지도인데 중국사를 열심히 하지 않더라도 이 지도 정도는 머릿속에 항상 담고 있어야 한다. 도대체 진나라가 어디에 있었는지 주나라가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아야 한다. 진(秦)나라에서 조금 동쪽으로 오면 주나라, 진나라 밑에 보면 종주 라고 되어..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121 37강 논어(1) 본격적으로 논어에 들어가기 전에 이블린 언더힐의 소개한다. 원어로는 Advent with Evelyn Underhill.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오는 사건이야말로 정말 목숨을 걸고 기다려야 하는 사건. 종교는 본래 무엇인가, '신성한 우주를 건립하는 기획' 이것이 종교다. 유교를 종교로 볼 수 있는가, 사상체계로 볼 것인..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서문 / 책머리에 학이學而 제1(1-16) 위정爲政 제2(17-40) 팔일八佾 제3(41-66) 이인里仁 제4(67-92) 공야장公冶長 제5(93-119) 옹야雍也 제6(120-147) 술이述而 제7(148-184) 태백泰伯 제8(185-205) 자한子罕 제9(206-235) 향당鄕黨 제10(236-253) 선진先進 제11(254-278) 안연顔淵 제12(279-302) 자로子路 제13(303-332) 헌문憲問 제14(333-379) 위령공衛靈公 제15(380-420) 계씨季氏 제16(421-434) 양화陽貨 제17(435-460) 미자微子 제18(461-471) 자장子張 제19(472-496) 요왈堯曰 제20(497-499) 후기 / 공자 연보 / 관..
공자 평전 - 안핑 친 지음, 김기협 옮김, 이광호 감수/돌베개 감사의 말 프롤로그 2,500년의 세월 우울한 출발 공자 시대의 정치 젊은 길동무들 고달픈 유랑 돌아오는 길 가르친다는 일 삶과 죽음의 예법 두 사람의 후계자 에필로그 옮긴이의 말 주 집필 자료에 관한 한마디 참고문헌 찾아보기 259 공자의 후계자 1 - 맹자 제자들의 떠받듦을 받아 하늘 꼭대기까지 올라간 공자는 높이 올라간 만큼 위치가 불안하게 되었다. 세상에 누가 그의 뒤를 이을 수 있는가? 누구에게 그런 자격이 있겠는가? 제자들이 해답을 찾을 수 없던 질문이었다. 얼마 동안 유약이 그 역할을 일부 맡았다. 유약은 노나라 정계에서 비중을 가진 젊은 축의 제자였다. 공자의 장례 후 몇몇 제자가 유약을 따르며 스승이라 부르기는 했지만 공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