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 비극 전집 3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튀에스테스 11 오이테산의 헤라클레스 75 옥타비아 19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51 튀에스테스 272 이 작품은 세네카 비극 중 최고 걸작으로 꼽히기도 한다. 플롯이나 인물, 설정, 언어적 표현 등 모든 요소가 효율적으로 결합되어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세네카의 비극 중 후기에 속하여, 대략 서기 62년쯤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78 이 작품에 그려진 튀에스테스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엇갈린다. 그가 스토아적 현자로 그려졌다는 설, 그가 스토아적 인물을 풍자한다는 설, 튀에스테스가 세네카 자신을 반영한다는 설 등이다. 이렇게 여러 해석이 가능한 것은 여기 그려진 튀에스테스에게 그..
세네카 비극 전집 2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메데이아 11 파이드라 77 오이디푸스 151 아가멤논 21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77 메데이아 229 세네카 비극 중 중기에 속하는 이 작품은 대체로 네로가 황제가 되기 전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메데이아가 자신을 배반한 남편 이아손에게 잔인하게 복수한다는 것이다. 이 복수극은 이전에 메데이아가 행했던 여러 범죄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아손은 이러한 범죄에서 이득을 보았었다. 235 메데이아가 독약을 만드는 제4막 내용은 희랍극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면모이다. 여기서 그녀는 자신의 '야만적' 기술에 확신과 긍지를 지닌 것으로 그려졌다. 마지막에 그녀가 아이들을 죽이는 것도 그 냥 복수..
세네카 비극 전집 1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옮긴이 머리말 5 일러두기 11 헤라클레스 17 트로이아 여인들 95 포이니케 여인들 165 옮긴이 해제: 세네카의 비극 10편에 대하여 20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99 해제 204 세네카의 비극작품은 현재까지 온전히 전해지는 유일한 로마 비극이다. 세네카의 비극은 얼핏 보기에 희랍 비극 작가들이 이용했던 주제들을 재활용한 듯하지만, 그의 작품을 그가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 희랍의 작품들과 대조해 보면 세네카가 희랍 작기들을 무조건 추종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로마의 다른 비극 작가들이 희랍의 작품을 충실하게, 거의 번역하고 있을 때, 그는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고, 희랍 작가들이 시용-했던 요소도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