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제 -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전혜선 옮김/역사비평사 시작하며 1 남북조시대 2 무천진 군벌의 발전 3 수문제의 등장 4 수문제의 집안 5 강남 평정 6 황태자 폐위 음모 7 수양제의 즉위 8 대운하와 장성 9 해 뜨는 나라 10 수·고구려전쟁 11 양현감의 반란 12 양주로 도망친 수양제 13 수양제의 최후 14 새로운 기운 후기 [부록] 수나라 역사에 관한 이런저런 생각(隋代史雜考) 해설 : 도나미 마모루(礪波護) 18 중국의 긴 역사를 볼 때 남북조시대만큼 어리석고 우매하며 음탕한 천자가 많이 출현한 시대는 없었다. 지금까지 서술한 내용은 상당히 강도를 낮추고 적당히 참작하여 소개했을 뿐이며, 실제 이루어진 천자의 난폭하고 음란한 행동은 더 심각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이렇게 추악하고 괴이한..
중국통사 -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조병한 옮김/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머리말 총론 제1편 고대사 제2편 중세사 제3편 근세사 제4편 최근세사 맺음말 저자 발문 주 색인 역자 후기 세계사간이 연표 아래 그림은 내가 고안한 세계사의 간이 연표로서 그 속에 나의 시대구분론에 따른 시간의 좌표가 제시되어 있다. 비스듬히 그어져 있는 곡선이 즉 그것이다. 고대古代부터 중세中世, 중세부터 근세近世의 경계선이 보통은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여기서 곡선을 사용하고 있는 데는 이유가 있다. 하나의 역사가 고대에서 중세로 옮겨가는 시기에 어느 시점에서 모조리 단번에 변한다는 것은 실제로는 있을 수 없다. 예컨대 960 년 송 왕조의 성립을 중국이 중세로부터 근세로 이행한 해로 삼는 것은 전적으로 편의적인 수단에 지나..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001-091 미야자키 이치사다, 중국통사 “대란 후에 만일 인구가 반감했다고 하면 성내의 거주지에도 여유가 생긴다. 경지에서는 가장 수리水利에 편하고 비옥한 토지를 먼저 경작하므로 기상에 의한 수확 감소의 염려가 적다. 과거의 상처만 잊으면 일하는 보람이 있고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던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전란이 전란을 야기한 원인을 소멸시키게 된다. 이것은 아주 잔혹한 사실이다. 하지만 실은 중국에서도 그 후에도 줄곧 이같은 비극이 되풀이되어 왔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역사에서 배워야 할 교훈이다. 당시에..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11-033 미야자키 이치사다, 수양제 당나라 2대 황제인 태종 이세민太宗 李世民에 대한 평가“당시로서는 이른바 새로운 유형의 인물이었다... 새로운 유형의 인물이란 기존의 구세력 위에 쉽게 편승하여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그 세력을 이용하는 능력밖에 없는 인간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힘으로 새로운 국면을 타개하려 했던 사람을 가리킨다.” 당나라 2대 황제가 태종 이세민이다. 645년에 30만 대군을 이끌고 요하를 건너서 요동성을 점령한 다음 그곳을 전진기지로 삼고 고구려의 안시성을 공격하였다. 그때 고구려는 약 ..
옹정제 -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차혜원 옮김/이산 미야자키 이치사다: 옹정제 첫머리에1장 고뇌하는 노황제2장 개가 되고 돼지가 되라3장 그리스도에 대한 맹세4장 천명을 받들어5장 총독 삼인방6장 충의는 민족을 초월한다7장 독재정치의 한계 - 참고연표-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첫머리에25 청조의 지배자는 만주에서 흥기한 이민족으로 한인이 아니다. 태조와 태종 2대의 황제는 만주에서 살았고 3대째의 순치제가 명 왕조 멸망의 뒤를 이어 서기 1644년 베이징에 입성하여 중국 전체를 통치하였다. 순치제의 아들이 4대 강희제이고 강희제의 아들이 옹정제이므로 옹정제는 건국 초부터 따지자면 5대째이고 청조가 베이징에 입성한 이후부터 헤아리면 3대째가 된다. 왕조가 홍할지 쇠할지는 대체로 3대째 정도에 결판나므로 ..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서문 / 책머리에 학이學而 제1(1-16) 위정爲政 제2(17-40) 팔일八佾 제3(41-66) 이인里仁 제4(67-92) 공야장公冶長 제5(93-119) 옹야雍也 제6(120-147) 술이述而 제7(148-184) 태백泰伯 제8(185-205) 자한子罕 제9(206-235) 향당鄕黨 제10(236-253) 선진先進 제11(254-278) 안연顔淵 제12(279-302) 자로子路 제13(303-332) 헌문憲問 제14(333-379) 위령공衛靈公 제15(380-420) 계씨季氏 제16(421-434) 양화陽貨 제17(435-460) 미자微子 제18(461-471) 자장子張 제19(472-496) 요왈堯曰 제20(497-499) 후기 / 공자 연보 /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