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천황상의 형성 - 야스마루 요시오 지음, 박진우 옮김/논형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장 과제와 방법 2장 근세 사회와 조정.천황 3장 민속과 질서의 대항 4장 위기의식의 구조 5장 정치 카리스마로서의 천황 6장 권위와 문명의 심벌 7장 근대 천황상에 대한 대항 8장 근대 천황제의 수용기반 9장 코멘트와 전망 천황제와 젠더 바이어스 이와나미 현대문고판의 후기에 대신하여 저자후기 역자후기 저자주 인용문헌 일람 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16_7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 18세기 말까지의 이데올로기 상황 속에서 질서의 정당화: “막부와 번의 권력과 결합하여 유교적인 仁政觀을 전제로 한 질서상” – 19세기 이후 등장한 천황숭배론과 국체론으로써 체제(regime)의 통일성을 이루는 기본요소가 전면적으로 교체됨 – 천황권위의 내면화: “학교 교육과 청년단, 재향군인회 등을 통해서 천황 숭배와 국체관념은 점차 깊숙히 국민의식 속에 파고 들어가게 되며, 근대화 과정의 성과는 천황의 권위와 결부되어 국민의 통념적인 부분을 형성” – “천황에게 권위 중추를 두고 국민국가로서의 통합과 발전을 꾀한다는 지상의..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09_6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전통적 권위로서의 천황: “교토를 중심으로 의례적 질서나 우주론적인 차원에서 조정숭배나 신국론으로 경사(傾斜)하여 스스로의 사회적 존재를 권위지우는 경향”– 현실 권력으로서의 막부의 장군: “장군=국왕설의 입장에서 막부의 전제적 지배권을 명확히 하려는 동향”– 체제의 위기: “권력이 구성하려는 질서나 질서의식과 사회의식의 다양한 흐름과의 사이에 균열” “여기에 일정한 형태의 새로운 질서관념이 적극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이라는 별도의 매개가 필요”– 대립되는 체제 정당화 기제들의 충돌, 위기의식의 돌출, 새로운 질서를 내재..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02_5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천황을 파악하는 두 가지 방법: 연속설(고대부터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 단절설(“우리가 천황제라고 할 때 흔히 통념적으로 연상하는 것들도 실은 메이지 유신을 경계로 하는 근대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 근대 천황제의 기본관념들이 명확하게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정리되는 것은 근대 후기 이후의 일본 사회 전체가 전환하는 과정에서였다.– 근대 천황제의 네 가지 기본 특징1) 萬世一系의 皇統: 現人神 천황과 여기에 집약되는 계통적 질서의 절대성과 불변성 — 전통성과 정통성2) 祭政一致라는 神政旳 理念 — 초월적 권위성3) 천황과..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26_4– 일본제국의 ‘근대국민국가’ 편성원리로 등장한 천황과 신민(臣民)개념 – “신민이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이며, 민권이나 공권을 상실한 사람도 또한 제국의 신민임에는 틀림없다.” – “신(臣)과 민(民)을 융합시켜 ‘천황의 자식’으로 만들어 버리면 모든 ‘일본인’을 천황과의 관계하에서 일원화시킬 수 있다.” – ‘입헌주권’과 ‘천황대권’이라는 이중성 위에 세워진 대일본제국 헌법은 흠정헌법(欽定憲法)이므로 비민주적이지만 폐지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내각은 의회, 정당에 의한 민주적 요구를 받게 된다. – 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에서 제시..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18_3–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경제적 자유주의를 근거로 한 ‘강한 자의 자유’ 하에서 누구의 도움도 기대하지 않으며, 지역이나 직장에서 ‘불결’하고 ‘태만한 자’라고 불리지 않도록 스스로를 규제하고, 가혹한 노동조건과 높은 소작료에도 인내하면서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려고 자신과 가족을 위해 열심히 노동해야 하는 ‘근대’라는 시대의 막이 본격적으로 열린 것이다.”– 초대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 有礼)의 국민주의 교육– 학력주의, 기회의 평등, 우승 열패, 자기책임– 내국식민지와 탈아론(脱亜論)– 만국공법의 기초로서의 근대적 소유권의 논리에 따라 주인없는 땅과 미개지에 대한 점령을 통해 ‘영토’ 획..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차례 머리말-5 제1장 자유 민권 운동과 민중 19 제2장 ‘헌법과 의회’를 둘러싼 공방 53 제3장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85 제4장 내국 식민지와 ‘탈아’로의 길 121 제5장 학교 교육과 가족 159 제6장 근대 천황제의 성립 195 맺음말-241 저자 후기 247 역자 후기 250 연표 255 참고문헌 258 색인 264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12_2– 다루는 순서: 제1장 자유 민권 운동과 민중 – 제2장 ‘헌법과 의회’를 둘러싼 공방; 제3장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 제5장 학교 교육과 가족; 제4장 내국 식민지와 ‘탈아’로의 길; 제6장 근대 천황제의 성립–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 ‘평등’을 역설하고 ‘학문’을 장려했던 것은 민중의 客分意識을 불식시켜 ‘국민’으로서의 자각,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를 지니게 하기 위해서였다. 근대국가 건립의 매개로서의 학문과 국민교육으로 轉化– 민권파는 객분의식을 가진 민중과 생각이 달랐다. “군대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한, ‘천하와 우락(憂樂)을 함께 하는’ 민권파에게 병역은 당연한 의..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05_1–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다섯 가지 주제들: 제국헌법체제 형성과정; ‘근대국가’를 둘러싼 메이지정부, 자유민권운동, 민중파의 三極관계; 사회의 근대화가 초래한 변화; ‘문명’의 대외적·대내적 층위; 일본의 독자성 형성 요인 – 보론인 제10권 제2장의 논의 주제: 왜 메이지국가는 천황을 필요로 했던가? – 천황제와 관련하여 참고할 책: 야스마루 요시오, , 논형. – 근대국민국가(Modern Nation State)라는 체제[regime]의 구성요소: 특정한 영토, 영토에 살고 있는 국민, 이것들로써 성립되는 주권 – 근대국민국가 설립의 기본 요건으로서의 헌법 – 근대국민국가 성립 이전 시기의 전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