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니카 - 크세노폰 지음, 최자영 옮김/아카넷 옮긴이 서문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내용 요약 크세노폰의 생애 크세노폰의 성격, 가치관, 작품 크세노폰의 저서『헬레니카』 찾아보기 43 I.7.11 한편, 페이시아낙스의 아들 에우립톨레모스와 몇몇 사람들은 칼릭세노스가 불법으로 표결을 제안했다고 비난했다. 일부 민중들은 이 말에 박수를 쳤으나, 많은 사람들이 민중이 원하는 대로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처사라며 고함을 질렀다. 이런 상황에서 리키스코스가, 이의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이 문제도 장군들에 대한 판결과 같은 투표로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군중이 다시 소동을 부리는 바람에 이들의 이의는 묵살되었다. 그런데 일부 ‘대표 행정위원’들이 이런 불법적 표결을 용납하..
파리, 모더니티 - 데이비드 하비 지음, 김병화 옮김/생각의나무 서문: 단절로서의 근대성 [1부] 묘사: 파리 1830~1848 1. 근대성의 신화: 발자크의 파리 2. 신체정치를 꿈꾸다: 혁명적 장치와 유토피아 요강, 1830~1848 [2부] 물질화: 파리 1848~1870 3. 프롤로그 4. 공간관계의 조직 5. 화폐, 신용, 금융 6. 임대료와 부동산 이권 7. 국가 8. 추상적ㆍ구체적 노동 9. 노동력의 판매와 구매 10. 여성의 여건 11. 노동력의 재생산 12. 소비자중심주의, 스펙터클, 여가 13. 공동체와 계급 14. 자연적 관계 15. 과학과 감정, 근대성과 전통 16. 수사법과 표현 17. 도시 변형의 지정학 [3부] 코다 18. 사크레쾨르 바실리카의 건설 원주 그림 목록 표 목록 참..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 존 엘리스 지음, 정병선 옮김/마티 글머리 문명 한복판의 사막‥‥‥‥‥‥‥‥‥7 1부 땅 속의 일상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다 ‥‥‥‥‥‥‥‥‥13 세상에서 점점 멀어져 ‥‥‥‥‥‥‥‥‥‥37 제발 전투 중에 죽을 수 있기를 ‥‥‥‥‥‥59 참호 밖으로 머리를 내밀지 마라 ‥‥‥‥‥82 2부 전투의 실상 한밤의 외출 ‥‥‥‥‥‥‥‥‥‥‥‥‥‥99 기계 시대의 ‘돌격 앞으로’ ‥‥‥‥‥‥‥111 돌격 속에 와해된 자아 ‥‥‥‥‥‥‥‥‥123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 ‥‥‥‥‥‥‥‥‥146 3부 고향에서 온 편지 덜 먹고 배설량도 줄이자 ‥‥‥‥‥‥‥‥185 살아 있다는 달콤한 만족감 ‥‥‥‥‥‥‥208 4부 금지된 우정 크리스마스가 선물한 평화 ‥‥‥‥‥‥‥237 땅 속보다 깊..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도널드 케이건 지음, 허승일.박재욱 옮김/까치 제1부 전쟁을 향하여 제2부 페리클레스 전쟁 제3부 새로운 전략 제4부 거짓된 평화 제5부 시칠리아에서의 재앙 제6부 제국과 아테네에서의 혁명 제7부 아테네의 몰락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자료들 역자 후기 인명 색인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라디오 인문학 | 2013 | 04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 제35장 키로스와 리산드로스, 그리고 알키비아데스의 몰락 (기원전 408-406년) 560 기원전 404년 3월의 어느 날, 전쟁이 시작된지 27년이 조금 넘은 시점에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대전쟁은 끝이 났다. 그 달 후반부에 리산드로스는 평화조약의 조건들을 실행하기 위해서 도착했다. 그와 함께 돌아온 망명객들은 이것이 아테네 ..
지중해의 기억 - 페르낭 브로델 지음, 강주헌 옮김/한길사 지중해로 역사의 긴 시간을 관통하다|저자의 말·38 천부적인 이야기꾼 브로델이 전해주는 지중해 이야기|서문·40 브로델이 남긴 원고로 책을 펴내다|편집자 서문|46 1 문명의 바다, 지중해 1 바다를 보라·55 2 문명세계를 향한 대장정·75 3 두 번 태어난 지중해·117 4 통합의 세기: 기원전 2500~1200년의 동지중해·185 5 모든 것이 변했다: 기원전 12~8세기·271 2 지중해, '우리'의 바다 6 식민지 개척 또는 아메리카의 발견: 기원전 10~6세기·297 7 그리스의 기적·367 8 로마, 지중해를 넘어서·427 지중해 관련 자료·491 브로델의 전체사|고원·511 지중해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옮긴이의 글·529 찾아보..
중세의 가을 -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연암서가 옮긴이의 말 네덜란드어 판 서문 독일어 번역본 서문 영역본 서문 제1장 중세인의 열정적이고 치열한 삶 제2장 더 아름다운 삶에 대한 갈망 제3장 영웅적인 꿈 제4장 사랑의 형식들 제5장 죽음의 이미지 제6장 성스러운 것의 구체화 제7장 경건한 퍼스낼리티 제8장 종교적 흥분과 판타지 제9장 상징주의의 쇠퇴 제10장 상상력에 대한 불신 제11장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되는 사고방식 제12장 생활 속의 예술: 반에이크의 예술을 중심으로 제13장 이미지와 말: 그림과 글의 비교 제14장 새로운 형식의 등장: 중세와 르네상스의 비교 주석 참고문헌 용어.인명 풀이 작품 해설 | 중세의 아름다움은 어디에 요한 하위징아 연보 찾아보기 네덜란드어 판 서문 23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