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틸리히 조직신학 3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새물결플러스서론 • 18 제4부 생명과 영 Ⅰ. 생명과 그 모호성 및 모호하지 않은 생명 요청 Ⅱ. 영적 현존 Ⅲ. 신적인 영과 생명의 모호성들 Ⅳ. 삼위일체적 상징들 제5부 역사와 하나님 나라 서론 • 442 조직신학에서 제5부의 위치와 생명의 역사적 차원 • 442 Ⅰ. 역사와 하나님 나라 요청 Ⅱ. 역사 속에 있는 하나님 나라 Ⅲ. 역사의 종말로서의 하나님 나라 41 이 제목에 나오는 "정신"(spirit)이라는 용어는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정신은 스토아주의가 사용한 그리스어로는 프뉴마(pneuma), 라틴어의 스피리투스(spiritus), 히브리어의 루아흐(ruach), 독일어의 가이스트(Geist)에 해당한다. 이런 언어들에서는 의미론..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새물결플러스머리말 서론 A. 『폴 틸리히 조직신학 2』와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그리고 조직신학 전체의 관계 B. 제1권에서 제시된 대답의 재진술 제3부 실존과 그리스도 Ⅰ. 실존과 그리스도 요청 Ⅱ. 그리스도의 실재 164 기독교는 "그리스도"라고 불렸던 나사렛 예수가 현실적으로 그리스도, 즉 만물의 새로운 상태, 새로운 존재를 가져오는 자임을 인정함으로써 존재한다.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주장이 고수될 때마다 기독교의 메시지가 존재한다. 반면에 이 주장이 거부될 때마다 기독교의 메시지는 인정받지 못한다. 기독교는 "예수"라 불리는 사람의 탄생과 함께 태어난 것이 아니라 그의 추종자 중 하나가 그에게 "당신은 그리스도십니다"라고 말했던 순간..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새물결플러스머리말 서론 제1부 이성과 계시 Ⅰ. 이성과 계시에 대한 요청 Ⅱ. 계시의 실재 제2부 존재와 하나님 Ⅰ. 존재와 하나님에 관한 물음 Ⅱ. 하나님의 실재 37 모든 관심을 살펴볼 때,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어떤 존재"가 있다. 하지만 이 어떤 존재는 관심 없이도 알려질 수 있고 다루어 질 수 있는 분리된 대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 바로 신학의 첫 번째 형식적인 기준이다. 곧 신학의 대상은 우리에게 궁극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 대상이 우리에게 궁극적 관심의 문제가 될 수 있는 한, 그런 대상을 다루는 명제만이 신학적이다. 이 명제의 부정적 의미는 명확하다. 신학은 결코 궁극적 관심이라는 상황을 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