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철학 1 -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강유원 옮김/사람생각 1. 서문 2. 서론 1) 철학적 법학 2) 의지의 개념 3) 즉자대자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의 추상적 개념 4) 자유의 추상적 이념의 전개 역자후기 서문 이 강요(綱要)를 출간하는 직접적인 동기는 나의 직책상 법철학에 대해서 행하는 강의를 위한 입문서를 나의 청강자들에게 갖게 할 필요성이다. 이 교재는 철학의 이 부분에 관한 나의 강의를 위하여 언젠가 지정한 『철학집성』(Heidelberg, 1817)에 이미 포함된 것과 동일한 근본개념에 대한 확장된, 특히 더욱 체계적인 상술이다. 그러나 이 강요가 출판되어 나오고, 그에 따라 더욱 광범한 대중 앞에 등장한다는 것은 최초에는 유사하거나 어긋나는 생각들과 확장된 귀결들 그리고 강의 중에 적절..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119-126 헤겔, 역사철학강의 세 가지 종류의 역사. 원천적 역사는 세계에서 일어난 사건들과 그것을 기록한 것들, 반성적 역사는 우리가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역사책, 철학적 역사는 헤겔이 자신의 역사철학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오늘날의 용어로 바꾸어 본다면 ‘역사관’ 우리가 역사라고 부르는 것은 엄밀하게 따지면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원천적 역사이고, 둘째는 반성적 역사이며, 셋째는 철학적 역사이다. 이 세가지 구분은 독일의 철학자 헤겔이 강의한 내용을 후대에 사람들이 묶어서 펴낸 에서 제시된 것이다..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05-029 이성은 ‘모순을 견디는 힘’ 절망과 희망이 공존하는 모순적 상황에서 절망이 아닌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전망을 지켜나가는 정신력을 이성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에서 이성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사용하면서 그 말이 정확하게 무엇을 가리키는지 크게 신경을 쓰지는 않는다. 대체로 제정신인 상태,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추론하는 능력 이런 것들을 가리킨다. 어떤 경우에는 도덕적으로 행동할 줄 아는 사람, 이런 사람을 이성적인 사람이라 하기도 한다. 이처럼 이성이라는 말만큼 일상에서도 또 철학자들이 다..
논리학 서론.철학백과 서론 -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김소영 옮김/책세상 제1장 논리학 서론논리학의 일반적 개념논리학의 일반적 분류 제2장 철학백과 서론 해제-사유와 존재, 이성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의 변증법1. 헤겔의 생애와 사상2. 과 의 탄생 배경3. 과 의 주요 내용4. 과 의 영향과 계보5. 과 의 현대적 의미 용어 해설주더 읽어야 할 자료들옮긴이에 대하여 헤겔의 사변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을 파악하였으므로 이제부터 《철학백과》 서론을 읽기로 하겠습니다. 1절부터 18절까지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1절부터 5절까지는 철학적 사유, 사유가 무엇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개념 파악적 사유에 대한 것입니다. 6절과 7절은 사유와 세계 그리고 경험에 대해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