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126-131 마키아벨리, 군주론 모세의 무력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세가 시나이 산으로 신의 전갈을 받으러 간 뒤 오래도록 그가 오지 않자, 금송아지를 만들어 그것을 숭배하기 시작한다. 모세는 산에서 내려와 이들이 송아지를 숭배하는 광경을 목격한다. 그러고나서 그가 “야훼의 편에 설 사람은 다 나서라”고 외치자 레위 후손들이 모여든다. 모여든 레위 후손들에게 모세는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이스라엘의 하느님 야훼께서 명하신다. ‘모두들 허리에 칼을 차고 진지 이 문에서 저 문까지 왔다 갔다 하면서 형제든 친구든 이..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620 18강-2 군주론(1)20130627 19강 군주론(2)20130704 20강 군주론(3)20130711 21강 군주론(4) 가타야마 모리히데, 《미완의 파시즘》20130711 21강 군주론(4)근대국민국가가 생겨나는데 밑돌이 되는 아이디어들이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나왔다. 피렌체 공화주의 이런 것들을 묶어서 마키아벨리즘이라고 한다. 마키아벨리즘이라고 하면 착한 것이 정치의 미덕이다 라는 것을 부정하고 더러 필요에 따라 정치가는 악을 행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620 18강-2 군주론(1)20130627 19강 군주론(2)20130704 20강 군주론(3)20130711 21강 군주론(4) A. N. 윌슨, 《사랑에 빠진 단테》아이자크 도이처, 《무장한 예언자 트로츠키》아이자크 도이처, 《비무장의 예언자 트로츠키》아이자크 도이처, 《추방된 예언자 트로츠키》 20130704 20강 군주론(3)마키아벨리가 이탈리아 사람이라고 하면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우리가 삼국시대 김유신을 얘기할 때 한국 사람이다라고 하지 않는다. 마키아벨..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620 18강-2 군주론(1)20130627 19강 군주론(2)20130704 20강 군주론(3)20130711 21강 군주론(4) Harvey Mansfield, 《The Prince》닐 그레고어, 《HOW TO READ 히틀러》이언 커쇼, 《히틀러》랄프 게오르크 로이트, 《괴벨스, 대중 선동의 심리학》 모리 가즈코, 《현대 중국정치》오카다 데쓰, 《돈까스의 탄생》소공권, 《중국정치사상사》 20130627 19강 군주론(2)《군주론》은 시카고 대학에서 나온 하비 맨스..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0620 18강-2 군주론(1)20130627 19강 군주론(2)20130704 20강 군주론(3)20130711 21강 군주론(4) 이탈리아어 출처: http://www.liberliber.it/online/autori/autori-m/niccol-machiavelli/il-principe/ Il Principe군주론 DedicaNICOLAUS MACLAVELLUS AD MAGNIFICUM LAURENTIUM MEDICEM.[Nicolò Machiavelli al Ma..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머리말 번역 방침과 범례들 헌정사 제01장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식에 대하여 제02장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제03장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제04장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된 다리우스의 왕국은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왜 그의 후계자들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05장정복되기 전에 자신의 법제하에서 살던 [도시]국가(civitates)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제06장자신의 군대와 비르투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7장타국의 무력과 행운을 바탕으로 정복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8장사악한 방법으로 군주 지위에 오른 사람에 대하여 제09장시민형 군주국 제10장여러 군주국들의 힘은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가 제11장교회 군..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강정인.김경희 옮김/까치 의 이해를 위한 지도 | 3 의 이해를 위한 당대의 이탈리아 역사 개관 | 5 헌정사 :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 11 제1장 _ 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법들 13 제2장 _ 세습 군주국 15 제3장 _ 복합 군주국 17 제4장 _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33 제5장 _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38 제6장 _ 자신의 무력과 역량에 의해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41 제7장 _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47 제8장 _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 ..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년 CBS 라디오에서 진행하였던 강유원 선생님의 '라디오 인문학' 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itunes.apple.com/kr/podcast/jumal-nyuseusyo-bagmyeong/id576954501 2013-09-07 45회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1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군주론이 제시하는 새로움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본다. 군주론이 제시하는 새로움이라는 것은 그 당시 사회의 새로움이기도 하면서 오늘날에까지 통용되는 것이다. 텍스트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시대 배경을 얼마나 어디까지 알아야 하는가가 고민이 될 것이고, 그런 시대 배경을 알아내는데 필요한 참고서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