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강해 - 한자경 지음/불광출판사 해제: 의 세계서분귀경게정종분유통분회향송 해제: 의 세계 26 대승불교 유식의 ‘유심(唯心) ’일체의 법이 모두 공이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고락을 안겨주며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이 현상세계는 과연 무엇인가? 일체가 연기한 것이라면, 그러한 연기를 성립시키는 터전은 무엇인가? 일체가 공이라고 설하는 공사상으로부터 한걸음 더 나아가 유식불교는 바로 이러한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유식불교는 우리의 일상 의식이 실재라고 여기는 현상세계는 사실은 우리의 심층 마음이 그려 놓은 허상일 뿐이며 따라서 가유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유식불교가 이것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요가수행을 통해 일상적 표층의식(제 6의식)보다 더 심충에서 활동하는 마음(재8아뢰..
칸트 철학에의 초대 - 한자경 지음/서광사 서론 - 인간이란 무엇인가? 1장 인식과 존재: 아는 나와 알려진 세계는 어떤 관계인가?2장 유한과 무한: 세계는 유한한가, 무한한가?3장 욕망과 자유: 도덕의 근거는 무엇인가?4장 덕과 행복: 덕복일치의 최고선은 실현가능한가?5장 아름다움과 숭고함: 미적 판단은 무엇에 근거하는가?6장 기계와 유기체: 자연은 어떤 존재인가?7장 도덕과 법: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법은 어떤 관계인가?8장 인간과 역사: 인류의 역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결론 - 칸트와 독일관념론 1장 인식과 존재: 아는 나와 알려진 세계는 어떤 관계인가?40 합리주의의 독단론과 경험주의의 회의론을 피해 제3의 길을 개척해나간 것이 바로 칸트의 비판철학이다. 수학이나 이론물리학적 진리가 세계의 ..
실체의 연구 - 한자경 지음/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지은이의 말서론: 형이상학의 근본물음 제1부 고대의 실체론제1장 플라톤: 보편적 이데아와 개별적 실체에의 물음제2장 아리스토텔레스: 개별적 실체와 순수 이성(신)제3장 플로티노스: 개별적 실체 너머의 일자(一者) 제2부 중세의 실체론제4장 아우구스티누스: 무로부터의 창조제5장 아퀴나스: 개별자의 실체성제6장 에크하르트: 개별자의 비실체성 제3부 근대의 실체론제7장 데카르트: 합리주의적 실체 이원론제8장 로크: 경험주의적 실체 이원론제9장 라이프니츠: 실체 이원론의 극복제10장 흄: 실체의 부정제11장 칸트: 범주로서의 실체(현상)와 그 너머의 무제약자 제4부 현대(탈근대)의 실체론제12장 니체: 의지의 형이상학제13장 비트겐슈타인: 언어적 전회제14장 ..
불교의 무아론 - 한자경 지음/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부 근본 불교의 무아론1장 무아론의 의미2장 유업보(有業報) 무작자(無作者)의 논리3장 작자 없는 연기적 순환 2부 유부의 무아론: 인무아1장 유부(有部)의 존재론2장 업과 업력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물음3장 유부에서 업과 업력: 표색(表色)과 무표색(無表色)4장 유부적 설명의 한계와 다른 부파의 설명 3부 경량부의 무아론: 상속전변차별1장 경량부에서 업과 업력: 사(思)와 종자(種子)2장 종자의 상속전변차별3장 업 상속의 제 현상4장 미세식의 발견 4부 유식의 무아론: 인무아와 법무아1장 유식성과 그 자각의 의미2장 식의 전변3장 식의 삼성 5부 무아론에 담긴 불교 존재론1장 현상 세계 존재론: 5온 12처 18계2장 윤회의 길과 해탈의 길3장 ..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 한자경 지음/예문서원 들어가는 말 제1장 색의 실유성 비판1. 유부의 극미실재론2. 극미실유성에 대한 유식의 비판3. 전오식의 소연경으로서의 개체 제2장 명의 실유성 비판1. 유부의 명구문신실재론2. 명구문신실유성에 대한 유식의 비판3. 제6 의식의 소연경으로서의 관념 제3장 식의 심층 구조1. 식전변의 사분설2. 능변식의 심층분석3. 식전변의 두 차원 제4장 식과 경의 관계1. 연기적 관계2. 식과 경의 순환성3. 식의 실성 맺는말 들어가는 말13 오식이 인식하는, 즉 연緣하는 감각 대상이 바로 색 · 성 · 향 · 미 · 촉의 오경五境이며, 이것이 곧 개체적인 물질적 존재로서의 색법色法 또는 색온이다. 그리고 감각과 구분되는 사유는 불교 용어로 표현하면 전오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