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티오의 책들 | 문학 고전 강의 — 33 제13강(2) 구약 성서 〈욥기〉

 

2023.07.08 문학 고전 강의 — 33 제13강(2) 구약 성서 〈욥기〉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13강(2) 
“멀리서 바라보니, 그의 몰골이 알아볼 수 없게 되었으므로 그들은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2.12)

 

《문학 고전 강의》13강 〈욥기〉 두 번째 시간이다. 앞에서 욥기 1장을 살펴봤는데 욥기 2장까지 읽으면 프롤로그를 다 읽게 되는 셈이다. 욥기 2장을 살펴보겠다. 책을 읽어가면서 자잘한 것들을 보충해서 말하려고 한다. 

욥기 2장 3절 하늘에서 야훼와 사탄이 대화를 나눈다.  "야훼께서 사탄에게, 너는 내 종 욥을 눈여겨보았느냐? 그만큼 온전하고 진실하며 하느님을 두려워하고 악한 일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사람은 땅 위에 다시 없다. 그는 여전하지 않느냐? 네가 나를 충동하여 그를 없애려고 했지만 다 헛일이었다." 여기서 그를 없애려다. 그것이 죽이려고 했다 라는 뜻이 아니라 여기서 그를 없앤다는 게 무엇일까.  이번에 이제 《문학 고전강의》 해설을 하면서 욥기를 다시 이렇게 읽어본다. 예전에 강의하기 위해서 읽었고 주석서들도 읽고 했는데 많이 읽지 않았던 것 같다. 그러니까 책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은 가성비를 따져가면서 그냥 휙휙 읽고 그럴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런 욥기 같은 책들은 그렇게 읽기가 어렵다. 그리고 그렇게 읽어봐야 남는 게 없으니까 시간 낭비가 돼 버린다. 그때도 강의를 해야 하니까 찬찬히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또 다시 찬찬히 읽어보니까 좀 더 세밀하게 읽을걸, 촘촘하게 읽을 걸이 아니라, 정말 찬찬히 읽을 걸 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게 지금 방금 제가 멈춰 선 지점이다. "그를 없애려고 했지만 다 헛일이었다." 그러니까 제가 예전에 욥기를 읽을 때와 지금의 제가 달라진 것을 느끼는 것이다.  그 사이에 어떤 축적이라면 축적이고 단순하게 변화해버린 그런 것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을 없애려고 했다. 우리가 그런 말 쓴다. "누구를 지웠다." 그 사람을 지웠다라는 게 없애서 죽였다는 뜻이 아니라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어떤 존재의 또는 그가 아주 강하게 지키고 있는 하나의 정체성 그런 것들을 가리킬 때 그를을 지웠다, 그를 없앴다 그런 말을 쓴다. 인간이라고 하는 존재는 단순하게 그 생물체로서만 이 땅 위에 존립하지 않는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하는데 이름도 잊혀지는 사람이 많다.  그에 비하면 뭔가 자신의 족적을 남긴다고 그러는데, 그것은 그가 살아 생전에 뭔가를 이룩했던 정체성들, 그런 것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그런 표현이 가능하겠다.  

〈욥기〉 2.3 야훼께서 사탄에게, "너는 내 종 욥을 눈여겨보았느냐? 그만큼 온전하고 진실하며 하느님을 두려워하고 악한 일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사람은 땅 위에 다시 없다. 그는 여전하지 않느냐? 네가 나를 충동하여 그를 없애려고 했지만 다 헛일이었다."  

 

그래서 2장 3절에 사탄이 야훼를 충동하여 욥의 본질적인 모습을 지워 없애려고 했다. 그런데 욥은 여전하지 않는가. 경건함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다.  그렇게 얘기를 하고 있다.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 어떤 것들은 고집스럽게 지우고 있을 필요가 없지만, 어떤 것들은 아주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 그것이 필요하겠다.  욥은 어쨌든 경건함이라고 하는 것을, 그런데 여기 욥은 가족이나 재산의 상실에서도 경건함이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제 사탄이, 욥기의 해설서들을 보면 여가 등장하는 사탄은 악한 존재는 아니다. 그런데 정말 사탄 같은 말을 한다. "손을 들어 그의 뼈와 살을 쳐보십시오. 제가 보장합니다. 그는 반드시 당신께 면전에서 욕을 할 것입니다. 야훼께서 사탄에게 이르셨다. 좋다! 이제 내가 그를 네 손에 부친다. 그러나 그의 목숨만은 건드리지 마라." 

목숨만은 건드리지 마라. 이건 이제 죽지 않을 만큼만 패라 그런 얘기다. 뼈와 살을 친다.  뼈와 살은 직접적으로는 이제 몸을 겨냥해야 한다는 것인데, 몸을 겨냥해야 한다는 것은 아주 굉장히 엄혹한 고난을 가하겠다는 것이겠다.  욥은 어쨌든 그의 몸에 심각한 그 고난이 닥쳐온다.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심한 부스럼이 나게 하였다." 이게 7절인데 2장 7절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7절 안에 하늘과 땅, 이 장면이 다 같이 있다. 다시 말해서 신의 세계가 인간 세계로 침투하는 것이다. 야훼 앞에서 물러 나오는 것은 하늘에서 물러나와서 땅으로 향한다는 것이고, 욥을 쳐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심한 부스럼이 나게 하였다는 것이 땅 장면이다. 토기 조각으로 몸을 긁고 욥의 아내가 "당신은 아직도 요지부동이군요.  하느님을 욕하고 죽으시오." 정말 쌀쌀맞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만한 그런 이야기지 않겠는가. 그런데 욕은 그런 말을 듣고도 입술로 죄를 짓지 않았다.  

〈욥기〉 2.5-7 이제 손을 들어 그의 뼈와 살을 쳐보십시오. 제가 보장합니다. 그는 반드시 당신께 면전에서 욕을 할 것입니다." / 야훼께서 사탄에게 이르셨다. "좋다! 이제 내가 그를 네 손에 부친다. 그러나 그의 목숨만은 건드리지 마라." / 사탄은 야훼 앞에서 물러 나오는 길로 곧 욥을 쳐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심한 부스럼이 나게 하였다. / 욥은 잿더미에 앉아서 토기 조각으로 몸을 긁었다. / 그의 아내가 그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아직도 요지부동이군요? 하느님을 욕하고 죽으시오." 

 

이렇게 고전 텍스트들이 좋은 점이 이런 것이다. 프롤로그 안에 결론까지 다 들어있다. 그러니까 게으른 사람들은 프롤로그 읽으면 어떻게 끝나겠구나 짐작하고 안심하고 끝까지 읽어갈 수가 있다. 그런데 이 프롤로그의 마지막에 보면 이런 부분이 있다. 오늘은 참 이 부분이 와 닿았다. "세 친구가 각기 제 고장을 떠나 그를 찾아왔다. 그들은 데만 사람 엘리바즈와 수아 사람 빌닷과 나아마 사람 소바르였다. 그들은 함께 문병와서 그를 위로해 주기로 서로 약속이 되어 있었다." 

참 표현이 좋다. 길게 설명하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그런데 지금 친구는 3명인데 욥기 32장을 보면 엘리후가 나온다. 그런데 엘리후는 지금 여기 없다. 엘리후는 여기 느닷없이 나타난 사람이다. 그러니까 결국 욥에 대해서 이렇게 뭐라고 한 사람은 지금 여기 거론된 엘리바즈와 빌닷과 소바르인데, 일장 연설을 퍼붓는 엘리후는 나중에 나온다. 이게 이제 욥기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미묘한 지점일 텐데, 여기 보면 "그들은 함께 문병와서 그를 위로해 주기로 서로 약속이 되어 있었다." 이렇게 한 문장이다. 함께 문병 와서, 이걸 보면 각기 제 고장을 떠났으니까 함께 문병하기로 했는데, 출발과 도착 시간의 시간 간격이 있지만 어쨌든 어디서 우리 미리 만나자 했던 것 같다.  어떻게 서로 그 메시지를 주고받았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약속을 했다. 이게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이 이삭을 데리고 가던 장면 있는데, 그런 장면에도 주변 풍경이나 이런 얘기는 일체 없고 딱 그 장면들만 신과 아브라함과 이삭, 이렇게 주고받은 얘기만 나오는 장면이 있다.  이런 표현들이 굉장히 간명하면서도 사태를 쓸데없는데 한눈 팔지 않게 해주는 좋은 표현이다. 우리가 고전 텍스트 읽으면서 이런 표현을 보고 배우는 것도 있다. "그들은 함께 문병와서 그를 위로해 주기로 서로 약속이 되어 있었다." 

〈욥기〉 2.11-2 욥이 이 같은 재난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세 친구가 각기 제 고장을 떠나 그를 찾아왔다. 그들은 데만 사람 엘리바즈와 수아 사람 빌닷과 나아마 사람 소바르였다. 그들은 함께 문병와서 그를 위로해 주기로 서로 약속이 되어 있었다. / 멀리서 바라보니, 그의 몰골이 알아볼 수 없게 되었으므로 그들은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 

 

그 다음 한 문장이 정말로 문장 표현의 진수이다. 멀리서 바라보니, 참 친구답지 않다. 서둘러서 욥에게 와서 이렇게 어떤 지를 봐야 되는데 멀리서 한번 간을 보는 것이다. 멀리서 바라보니, 느낌이 딱 온다. 이런 이런 표현들이, 우물쭈물했다라는 표현 쓸 필요가 없는 것이다. 멀리서 바라보니, 정말 정말 좋은 표현이다. 선뜻 다가오지 못했다고 하는, 그들이 꺼려하고 있음을, 저어고 있음을 이 멀리서 바라보니 라는 표현에서 드러내 보여준다. "그의 몰골이 알아볼 수 없게 되었으므로", 욥을 몰라봤다는 것이 아니라 이게 욥을 욥으로서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말이다. 멀리서 보고, 가까이 와서 본 것도 아니고 멀리서 보고 말이다. 이게 욥을 지우는 행위이다. 그러니까 욥은 얼마나 괴롭겠는가. 이 고난으로 온몸에 부스럼이 났는데 친구들마저도 멀리서 자기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니까 고통스러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겠다. 우리가 알고 있던 욥이 아니네 이렇게 하는 것이다. 친구들에게도 눈밖에 난 사람이 된 것이고 완전한 소외 상태에 빠졌는 것이다. 토기로 몸을 긁었다. 이게 하나의 행위로서, 욥이 내 몸이 내 몸이 아니구나 라고 생각했다. 그러면 그게 이제 친구들에게도 네 몸이 네가 아니고, 욥은 욥이 아니구나 라는 것이, 욥의 소외 상태가 친구들에게도 소외 상태로서 인정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게 친구야 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 그러더니 “그들은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 그냥 행동만을 쭉 얘기를 하고 있다. 그들의 심정이 어떠했다라든가 슬퍼했다라든가 이런 것들, 추상적인 표현을 쓰지 않고 그들의 행동만을 쓴다.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 이것은 히브리 사람들의 애도 의식이다. 애도 의식이 무엇을 말하는가. 사람이 죽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멀리서 바라보고 그 다음에 얼굴을 알아보지 못했다. 소외된 상태로 욥을 제쳐두고 그러더니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 

이 프롤로그에서 이제 여기까지 얘기를 하면, 욥의 친구들이 이제 본문에 들어가면 친구들도 뭐라고 뭐라고 말하는데 그 얘기가 다 쓸데없는 얘기들이라는 게 이미 프롤로그에서 짐작이 되어버린다. 이미 엘리바즈와 빌닷과 소바르는 욥을 소외시켜버린 상태이다. 그러니 그들이 본문에서 뭐라고 뭐라고 해봐야 그건 욥에 대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어떤 마음에서 욥을 걱정해서 나오는 그런 얘기들은 아니다.  내 일은 아닌데 내 일처럼 여겨서도 아니고 그냥 친구도 아니다. 이제는 이미 애도를 해버렸기 때문에, 이제 프롤로그가 가지고 있는 결론이 이미 여기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오늘 제가 이 표현이 좋다고 한 것, "멀리서 바라보니, 그의 몰골이 알아볼 수 없게 되었으므로 그들은 목을 놓아 울며 겉옷을 찢고 하늘에 먼지를 날려 머리에 뒤집어썼다." 이런 표현들을 외워 두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쓰는구나 하고 외워 두었다가 뭔가 글을 쓸 때가 있으면 이런 식으로 써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다. 이게 우리가 욥기 같은 오래되고 많은 이들이 이렇게 읽어왔던 텍스트를 읽는 이유가 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