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불교 - 권오민 지음/민족사 권오민: 아비달마불교 머리말1장 아비달마란 무엇인가2장 존재의 분석3장 미혹한 세계4장 깨달음의 세계후기 머리말6 불타가 남긴 이른바 8만 4천의 법문은 말 그대로 진리에 들어가는 문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제자들은 그것의 해석을 통해 불타의 깨달음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불타교법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이른바 아비달마로 일컬어지는 방대한 논서를 작성하였는데, 이로 인해 이 시기의 불교를 아비달마불교라고 하기도 한다. 6 그들 성문의 제자들은 세속의 요란함을 떠나 폐쇄된 승원 깊숙한 곳에서 욕망을 억제하며 스승이 남긴 교법을 해석 연구하고 그것의 참다운 이해를 통하여 일체 괴로움의 원인인 자신의 무지와 번뇌를 소멸함으로써 적정의 열반을 획득하고자 ..
불교학과 불교 - 권오민 지음/민족사 제1장 무엇을 깨달을 것인가제2장 교학과 종학제3장 불교학과 불교제4장 뇌허 김동화의 불교학관제5장 우리나라 인도불교학의 반성적 회고제6장 인도불교사 연구 단상제7장 불교의 물질관에 관한 단상제8장 연기법이 불타 자내증이라는 경증 검토제9장 4성제와 12연기제10장 5종성론에 대하여 제1장 무엇을 깨달을 것인가18 불교는 결코 단일하지 않다. 불타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된 불교는 결국 인간 이성의 역사와 함께하였다고도 할 수 있다. 서로 대립하기도 하였고, 지양하기도 하였으며, 종합하기도 하였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불타의 말씀이 그의 깨달음을 근거로 한 가설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말씀이 바로 깨달음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깨달았던 것인가? ..
십이연기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 | 인도철학과 불교 연기설은 경전상에서 '매우 심오한 법', 혹은 '알기 어려운 법'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처럼 그 의미를 알기 어려우며, 각 지분 사이의 관계 역시 분명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12연기를 논리적인 상관관계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고래로 일 찰나 중에 이러한 12지가 동시에 함께 일어난다는 찰나연기설, 12지는 여러 생에 걸쳐 시간을 건너뛰어 상속한다는 것으로, 아득히 먼 과거의 무명과 '행'에 의해 '식' 등의 현생의 결과가 초래되고, 현생의 '유'에 의해 아득히 먼 미래세의 생과 노사가 초래된다는 원속연기설, 12찰나에 걸친 인과상속이라는 연박연기설, 그리고 과거 · 현재 · 미래의 생에 걸친 5온의 상속이라는 분위연기설 등 네 가지 해..
인도철학과 불교 - 권오민 지음/민족사 프롤로그 - 다양성과 통일성1장 인도철학의 일반적 특성2장 '우파니샤드'의 철학3장 '바가바드 기타'의 이념4장 인도의 반(反) 전통철학5장 초기불교6장 아비달마불교7장 대승불교의 성립8장 중관9장 유식10장 여래장11장 천태12장 화엄13장 선14장 정토에필로그 - 숲과 마을 프롤로그 - 다양성과 통일성7 불교는 결코 단일하지 않다. 불타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된 불교는 결국 ·인간이성의 역사와 함께 하였다고도 할 수 있다. 서로 대립하기도 하였고 지양하기도 하였으며 종합하기도 하였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불타의 말씀이 그의 깨달음을 근거로 한 가설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말씀이 바로 그의 깨달음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깨달았던 것인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