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시대의 일상사 -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지음, 김학이 옮김/개마고원서문 서론 1. 비상사태에 처한 "일상" 2. "민족공동체"와 "인민저항" 사이에서 3. "민족의 동지"와 "공동체의 이방인" 나치즘을 근대의 병리사(病理史)로 경험하기 위한 13가지 논거 역자해설 12 독일사의 특수성 이론을 수정한 해석과 나치즘에서 의도와 달리 근대화 동력이 가해졌다는 해석은, 1945년 이후 경악한 세계가 도덕적으로는 정당하지만 분석적으로는 부당하게 뒤집어씌웠던 특수한 악마성으로부터 독일사를 해방시켰다. 그런데 그렇게 독일사를 근대사회의 정상적인 발전 과정에 위치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1914년까지의 독일사가, 다른 한편으로는 1945년 이후의 독일사가 정상’이었다고 주장한다면 나치즘의 잔혹함과 야만성과 대량 범죄..